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has made the remarkable achievement of publishing 25 monographs by 2019 since its founding in 1992. In honor of the Society’s 30th anniversary, this article attempts to make suggestions for a publication project of the Society. The emergence of ChatGPT in the era of the ‘humanities crisis’ has paradoxically increased the value of the humanities. In the era when AI will become commonplace, the humanities must maintain its expertise as a discipline and fulfill the role of the humanities while keeping in mind the urgent concerns of the public. Following reflection on the roles of the humanities,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each chapter of the monograph should include a ‘think about’ section to provide food for thought. This will help foster the power of thought and critical consciousness, the creativity to connect seemingly unrelated things, and empathy, which are the essences of the humanities. Second, the book should ideally address timely topics which are relevant to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that surround us today. Third, I propose publishing a book that provides a chronological overview of an issue and allows us to see how it has changed over time. This will increase the ability to keep changing while looking at the big picture of th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AI such as ChatGPT. Fourth, I suggest connecting the study of modern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with other disciplines. It is desirable to publish a monograph that combines modern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with the issue of human rights, which will become a more relevant topic in the age of A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출판사업 회고와 제언 =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and publishing : the role of humanities in the age of ChatGPT : 챗GPT 시대 인문학의 역할 고영란 p. 5-32

근대 영국 여성의 여행과 글쓰기의 다양성 = Modern british women's traveling and the diversity of writing 박선화 p. 33-52

『근대영미소설』 연구 경향(1994~2022 )과 소설론 =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1994~2022) and a theory of the novel 박종성 p. 53-84

『전염병 연대기』와 『프랑켄슈타인』에 나타난 전염병과 기후 변화 = Plague epidemics and climate change in A Journal of the Plague Year and Frankenstein : recent studies on disaster narratives : 재난 서사 연구 동향 박하정 p. 85-109

인류세 전회 = The anthropocenic turn : recent studies on ecocriticism : 생태비평 국외 연구 동향 이근성 p. 111-127

문학 연구의 고유성과 디지털인문학의 가능성 = The uniqueness of literary studies and the potential of digital humanities : recent trends in DH research with a modest proposal : 연구 동향 분석 및 겸허한 제안 정서현 p. 129-157

19세기 미국 흑인 여성 문학 연구와 교차성 = African American women's literary criticism in the 19th century and intersectionality 한우리 p. 159-182

Growing up in antebellum Philadelphia : black childhood in Frank J. Webb's The Garies and Their Friends Joohee Seo p. 183-208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주안.「오피니언: 강주안의 직격인터뷰: 서울대 AI연구원 장병탁 원장」.『중앙일보』. 2023. 2. 17. https://www.jocngang.co.kr/article/25141235. 미소장
2 고영란.「머리말」.『20세기 영국소설 강의』. 서울: 신아사, 2019. 5-7. 미소장
3 고영란.「머리말」.『미국소설과 서술기법』. 서울: 신아사, 2014. 5-6. 미소장
4 고영란.「머리말」.『영국소설과 서술기법』. 서울: 신아사, 2010. 7-8. 미소장
5 고영란.「머리말」.『영미소설과 영화의 만남』. 서울: 동인, 2020. 5-10. 미소장
6 고영란.「머리말」.『영미소설 속 장르』. 서울: 신아사, 2019. 5-6. 미소장
7 김설자.「머리말」.『영국 소설사』.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역. 서울: 신아사, 2000. 3-4. 미소장
8 김일영.「간행사」.『영국고딕소설: 공포와 일탈의 상상력』. 서울: 신아사, 2015. 3-4. 미소장
9 김설자. 「인간과 사회의 초상화로서의 고딕소설」.『영국고딕소설: 공포와 일탈의 상상력』. 서울: 신아사, 2015. 5-21. 미소장
10 김정숙.「머리말」.『18세기 영국소설 강의』. 서울: 신아사, 1999. 3. 미소장
11 김정희.「책머리에」.『영국소설 명장면 모음집』. 서울: 신아사, 2004. 34. 미소장
12 김정희.「『영미소설 해설총서』를 발간하며」.『영미소설 해설총서』. 서울: 신아사, 2004. 3-4. 미소장
13 「다가온 ‘인문학 위기’」.『대학저널』. 2021. 12. 23. https://rn.dhnews.co.kr/news/ view/179524117770666. 미소장
14 문소영. 「FOCUS: 피노키오 뺨치는 AI의 놀라운 거짓말 실력」.『중앙SUNDAY』. 2023. 4. 29-30: 2. 미소장
15 「AI로 인류 멸망? ‘만능 비서’두고 일하는 르네상스 열릴 것」.『중앙일보』. 2023. 6. 7: 4. 미소장
16 「“AI, 인간처럼 추론하기 시작”... MS, ‘AI 특이점 접근’ 주장」.『연합뉴스』. 2023. 5.17. https://www.yna.co.kr/vieWAKR20230517007500072. 미소장
17 오정화.「『영화로 읽는 영미소설 I: 사랑이야기』를 발간하며」.『영화로 읽는 영미 소설 I: 사랑 이야기』. 서울: 신아사, 2010. 5-6. 미소장
18 이준기. 「INSIGHT. 이준기의 빅데이터」.『중앙 SUNDAYj. 2023. 3. 18-19: 26. 미소장
19 이준기. 「INSIGHT. 이준기의 빅데이터」.『중앙 SUNDAYj. 2023. 7. 8-9: 25. 미소장
20 이혜수.「서론: 소설 하부 장르를 통해 본 영미소설사의 이해」.『영미소설 속 장르』. 서울: 신아사, 2019. 11-39. 미소장
21 조정호.「머리말」.『19세기 영국소설 강의』. 서울: 신아사, 1999. 3스. 미소장
22 존 리셰티.「서문」. 김정숙 역.『영국 소설사』.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역. 서울: 신 아사, 2000. 7-15. 미소장
23 「촘스키 “AI가 사람 뇌 추월하려면 멀었다... 원시적 인지 단계”」.『연합뉴스』. 2023. 3. 9. https://www.yna.co.kr/view/AKR20230309012700072. 미소장
24 Harari, Yuval Noah. “AI and the Future of Humanity: Yuval Noah Harari at the Frontiers Forum.” YouTube. YouTube, 14 May 2023. Web.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