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곽노의, 임은정 (2013). 부모용 유아 스마트기기 이용 수준척도 개발 및 분석. 한국초등교육, 24(4), 183-201. |
미소장 |
2 |
곽민옥, 이경님 (2017). 만 2세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정서표현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171-190. |
미소장 |
3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
미소장 |
4 |
권대희 (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4. |
미소장 |
6 |
김미숙 (2001). 교사가 지각한 5세 유아의 놀이성에 관한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김미연 (2012). 아버지의 유아놀이신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여름 (2014). 부모의 성격특성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영희 (1995). 아동의 놀이성 군 확인과 관련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
미소장 |
11 |
김영희 (2013). 유아 및 어머니의 놀이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4(3), 17-240. |
미소장 |
12 |
김우석 (2004). 정서표현성, 자기방어기제 및 대처방식간의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3 |
김윤숙 (1991). 어머니의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와놀이 활동성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김은주 (2009). 유아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참여수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정선 (2000). 유아놀이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김진영 (2012). 부모 놀이신념 수준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및 리더십의 차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김현지, 전경아 (2011). 어머니의 정서표현력, 양육효능감,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73-299. |
미소장 |
18 |
나은영 (2016).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정서표현 양가성, 유아의 정서조절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문성영, 심성경 (2020). 부모의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놀이성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2(1), 163-190. |
미소장 |
20 |
박상미 (2013). 어머니 양육행동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박영애, 김리진 (2011).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2), 37-56. |
미소장 |
22 |
보건복지부 (2018). 아동종합실태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742018_A073&conn_path=I2에서 2021년 4월 20일 인출. |
미소장 |
23 |
신말예 (1994). 유아기 부모의 놀이 인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신선희, 우수경 (2012).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과 유아의 정저능력 및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12(11), 244-245. |
미소장 |
25 |
신혜경 (2009).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심미영 (2018). 어머니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역할수행과유아의 놀이성, 사회성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심윤희 (2011).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여은진 (2009). 유아와 어머니 정서성, 어머니의 정사사회화행동 및 유아 정서 조절간의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오정미 (2014).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정서지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우남희, 김유미, 신은수 (2009). 조기교육/사교육. 한국아동학회지, 30(6), 249–265. |
미소장 |
31 |
유미 (2008).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유애열 (1994). 유아의 상상놀이와 교사개입에 관한 관찰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윤연정, 이미숙 (2007). 가족건강성이 아동의 자아존중감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05-122. |
미소장 |
34 |
이경님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질 및 자아존중감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6), 1209-1219. |
미소장 |
35 |
이미선 (2011). 부모의 놀이신념과 놀이성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이숙재 (2005).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37 |
이영환, 임영옥, 오가영 (2006). 유아의 창의성,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한국가정과학회지, 9(1), 15-24. |
미소장 |
38 |
이한별 (2008). 부모의 유아 놀이신념에 따른 유아의 놀이성과 의사소통능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9 |
이현주 (2019). 놀이와 학습에 대한 부모의 태도, 교육열, 가정에서의 놀이와 학습 관련 유아 일상생활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이현지 (2016). 부모의 놀이신념, 놀이참여, 유아의 행복감간의 관계: 부모의 놀이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1 |
임혜진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정서표현성과 유아의또래유능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장미령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3 |
장은정 (2001).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장정윤 (2014).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전유진 (2019). 유아 기징, 모 애착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놀이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정경자 (2018). 부모의 놀이 신념, 사교육의 실시 현황 및유아의 불만족도가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7 |
정은주 (2007). 어머니의 정서 표현성 및 정서 수용태도가유아의 성격특성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8 |
조송림, 문혁준 (2013).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6), 125-138. |
미소장 |
49 |
천지혜 (2012). 어머니의 유아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최혜정 (2003).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통계청 (2020). 생활시간조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019_121_1TM4021X&conn_path=I2에서 2021년 4월 25일 인출. |
미소장 |
52 |
허자연 (2017).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부모-자녀 상호작용, 가족건강성이 유아의 배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허혜경 (2013). 유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3(2), 83-102. |
미소장 |
54 |
홍정유 (2007).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5 |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ing,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4), 319-336. |
미소장 |
56 |
Damast, A. M., Tamis-LeMonda, C. S., & Bornstein, M. H. (1996). Mother-child play: Sequential interactions and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67(4), 1752-1766. |
미소장 |
57 |
Denha, S. A., & Burton, R. (1996). A social-emotional intervention for at-risk four-year old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4(3), 225-245. |
미소장 |
58 |
Dunsmore, J. C., & Halberstadt, A. G. (1997). How does family emotional expressiveness affect children's schemas?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77, 45-68. |
미소장 |
59 |
Dunsmore, J. C., & Karn, M. A. (2004). The influence of peer relationships and maternal socialization on kindergartners'developing emotion knowledg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5(1), 39-56. |
미소장 |
60 |
Eisenberg, N., Valiente, C., Morris, A. S., Fabes, R. A., Cumberland, M. R., Reiser, M., ... Losoya, S. (2003).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parental emotional expressivity. children's regulation and quality of socioemotional functio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9(1), 3-19. |
미소장 |
61 |
Farver, J. M., & Howes, C. (1993). Cultural differences in American and Mexican mother-child pretend play. Merrill-Palmer Quarterly, 39(3), 344-358. |
미소장 |
62 |
Fiese, B. (1990). Playful relation ship: A contextual analysis of mother-toddler inter action and symbolic play. Child Development, 61(5), 1648-1656. |
미소장 |
63 |
Fogle, L. (2003). Parent beliefs about play: Relations with parent-child play interactions and child peer play compete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le Hill, USA. |
미소장 |
64 |
Fogle, L., & Mendez, J. (2006). Assessing the play beliefs of african american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4), 507-518. |
미소장 |
65 |
Fröbel, F. (1887). The education of man. New York: Appleton. |
미소장 |
66 |
Ginsburg, K. (2007).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es, 119(1), 182-191. |
미소장 |
67 |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r,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ment, 7(1), 93-103. |
미소장 |
68 |
Lewis, J. (1979). The relation of individual temperament to intial social behavior. In R. C. Smart, & M. S. Smart (Eds.). Reading in child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pp. 45-77). New York: Macmillan. |
미소장 |
69 |
Lieberman, J. N. (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An investiga 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9-224. |
미소장 |
70 |
Manosevitz, M., Prentice, N. M., & Wilson, F. (1973). Individual and family correlates of imaginary companions in presc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8(1), 72-79. |
미소장 |
71 |
Piaget, J. (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ren. New York: Norton. |
미소장 |
72 |
Saarni, C. (1989).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PACES). Unpublished Manu script, Sonoma States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7301).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