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2 |
김경희, 엄정애 (2007). 노래 그림책이 걸음마기 영아의 읽기 흥미 및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8(1), 75-94. |
미소장 |
3 |
김기중 (2022.1.30.). 다문화학생 비율 첫 3%... 부모국 1위‘베트남’.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0128500213&wlog_tag3=naver에서2023년 1월 30일 인출. |
미소장 |
4 |
김범수 (2009). 다문화사회의 유래와 다문화가족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다문화가족의 대상⋅현황을 중심으로.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3, 55-76. |
미소장 |
5 |
김선애, 윤지영 (2019). 음악요소 중심의 새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예술교육연구, 17(4), 221-240. |
미소장 |
6 |
김영미, 김영천, 이용숙, 이혁규, 조덕주, 조재식 (2005).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하는 실행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7 |
김용현 (2015). 영화 자막번역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가능성에 관하여-<나의 가족 나의 도시>에 나타난 스테레오타입을 예로 삼아서. 독일어문학, 68, 101-123. |
미소장 |
8 |
김정숙 (2012). 유아 수학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협력적실행과정과 의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지원 (2023). 음률놀이와 연계한 유치원 적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만 3세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지혜 (2011). 유치원 과학영역의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실행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혜경 (2012).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본 통섭: 2009개정미술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28(4), 201-223. |
미소장 |
12 |
김희성, 김정미 (2016). 어린이집 만 2세 학급의 조작, 탐색영역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73-304. |
미소장 |
13 |
김희연 (2004).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유아교육연구, 24(6), 235-255. |
미소장 |
14 |
도미향, 김순천 (2010). 다문화 가족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인식 증진 방안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3), 163-181. |
미소장 |
15 |
마송희 (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
미소장 |
16 |
박수미 (2013). 서양음악사를 접목한 음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박수미 (2014). 유치원 음률영역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와 유아의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88, 63-92. |
미소장 |
18 |
박찬옥, 김진희, 이경진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전통문화 내용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5), 441-464. |
미소장 |
19 |
박창렬 (2005). 음악활동이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공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방은영 (2015). 음악활동의 실제에 초점을 맞춘 영유아음악교육. 경기도 파주: 공동체. |
미소장 |
21 |
서정숙, 남규 (2020). 유아문학교육.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22 |
신지원 (2022). 음양을 활용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방안-다문화 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3(3), 2347-2362. |
미소장 |
23 |
안재신, 김혜숙, 안경숙, 김소향, 이옥주, 정수진 (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4 |
엄승애, 김영연 (2015). 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수록된 음악과 음률활동 분석. 음악교육공학, 24, 1-15. |
미소장 |
25 |
이규식, 석동일, 국미경, 강창욱 (2001). 청각장애아 언어지도와 치료방법. 대구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6 |
이성미 (2012). 다문화정책론. 서울: 박영사. |
미소장 |
27 |
이숙희 (2002).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이영애 (2015).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초등학교 1학년 통합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의 특성 분석. 음악교육연구, 44(1), 77-109. |
미소장 |
29 |
임여진 (2007). 유아기 음악교육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0 |
장금옥 (2003). 통합환경에서의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동작모방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정수량, 이지영, 손명균, 이지우 (2018). 말-리듬을 활용한음악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언어문제해결력향상과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9(1), 175-195. |
미소장 |
32 |
통계청 (2021). 2021 다문화인구통계. http://kosis.kr/search/searcj/query=에서 2023년 1월 30일 인출. |
미소장 |
33 |
Bredekamp, S., & Rosegrant, T. (1995). Reaching potentials:Transforming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assessment (2nd ed.). Washington, DC: NAYEC. |
미소장 |
34 |
Chomsky, N. (1995). BAre phrase structure. In H. Campos, & P. Kempchinsky (Eds.). Evolution and revolution in linguistic theory (pp. 51-109). Washington, DC:Georgetow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5 |
Keats, D. M. (1997). Culture and the child: A guide for professionals in child care and development.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36 |
Kemmis, S., & McTaggart, R. (1988). The action research planner. Victoria: Deaki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Zdinski, S. F. (2001). Instrumental music for special learners:By making miner adaptations, instrumental music teachers can find ways to include special learners in their classes. Music Educators Journal, 87(4), 27-3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