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Visualizing the complexity of children's digital well-being in South Korea : a systems thinking approach based on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Shannen Patricia Widjaja, Joon Sang Baek p. 7-24

(The) co-creation of luxury brand hedonic experiences in social media : luxury brand strategies from a design perspective Sindy Wu, So Yeon Kim p. 27-47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위한 가변형 헬멧 디자인 = Transformable helmet design for micro-mobility 김승민, 김현찬 p. 49-64
한글 글꼴 분류체계 개선을 위한 글꼴 변별요소 대분류 제안 = A proposed font distinguishing element categorization for improvement of the Korean font classification system 이애리, 박지은, 양효정, 정영훈, 김동환, 안병학 p. 67-88

화상미팅 메타버스의 아바타-화상 레이아웃 및 인터랙션 디자인 개선 = Improving avatar-video layout and interaction design for video meeting metaverses 이승연, 김헌 p. 91-108
마이데이터 서비스 내 다크패턴 사례 분석 및 금융 지식과 개인정보 보호 수준에 따른 다크패턴 인식도 연구 = Dark patterns in MyData service and the awareness of dark patterns according to financial knowledge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levels 정주미, 송수진, 송채은, 전수진 p. 111-126
데이터 내용 특성에 기반한 사용자와 자기 추적기 간의 성찰적 관계 형성 모델 제안 = Proposal of a reflective relationship formation model between users and self-trackers based on data content characteristics 이주연, 정의철 p. 129-147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과 시각적 표현 방식이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청소년의 정서와 행동 변화 유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oticons expression types and visual expression method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change induc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이영규, 김현석 p. 149-165
수요자 중심의 근미래 정책의제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발굴 프로세스 및 공동디자인 도구 제안 = Proposal of a scenario planning process and co-design tool for developing a user-centered future policy agenda 박수민, 구유리 p. 167-191

동기부여에 효과적인 홈 트레이닝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 Development of user-centered design guidelines for the motivation of home training services : focused on South Korean generation MZ : 한국 MZ세대를 중심으로 박가현, 한혜미, 이여름, 강효진 p. 193-217
NFT를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유한 약속으로 새롭게 활용한 인터렉티브 NFT 아트 = Interactive NFT art that utilizes NFT as unique promises for social responsibility 오나예, 강지수, 송해민, 박진완 p. 219-234

MZ세대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선호색채 연구 = Color preferences of generation MZ in relation to demographic factors : factors by generation, gender, purchasing power, and education level : 세대, 성별, 구매력, 학력별 요인을 중심으로 백민영, 현은령 p. 237-251
긴급상황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연구 = Design research for rational decision making and behavior change in emergency situations 김만수, 최명주, 최수지, 정아영, 김소연, 이상원 p. 253-270
설문지 디자인에서 지시문 및 질문의 색상이 응답자의 '설문 인지, 응답 시간, 응답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lor of the instructions and questions on the respondents’ ‘survey recognition, response time, and response accuracy’ in designing a survey 김정현, 현은령 p. 273-287
공예품의 선택속성 평가척도 개발 = Scale development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rafts 황민우, 김태선, 고보형 p. 289-303
조지 딕키의 예술 제도론을 통해 살펴본 한국의 디자인 예술의 형성 과정 = The establishing process of 'design art' in South Korea through George Dickie's art institutional theory : the supplementary role : '뒷받침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노현지, 윤주현 p. 305-315
자율 방역 로봇 표정 감정 강도 요소 도출에 따른 최적 HRI(휴먼-로봇 인터랙션) 표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Optimal human-robot interaction facial expression design based on derivation of expression emotional intensity factors of an autonomous quarantine robot 정혜승, 홍성수 p. 317-339
디자인 콘셉트 형성 과정에서의 추론과 오류에 관한 프로토콜 분석 = A protocol analysis of designers’ reasoning and fallacies in design concept generation 정하영, 박영목 p. 341-355
한국적 스타일로 스타일링에서 벗어나기 = Changing the role and status of designers in the development of Goldstar's Korean-style home appliances in the early 1990s : 1990년대 초반 금성사의 한국형 가전제품 개발과 디자이너의 역할 및 위상 변화 박해천 p. 357-379

1990년대 초중반 한국형 전자레인지의 번성과 퇴조 = The growth and decline of Korean-style microwaves in the early to mid-1990s : the cases of Samsung Electronics and GoldStar : 삼성전자와 금성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오창섭 p. 381-400
1960~70년대 문우식 관광포스터의 특징과 배경 =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Moon Woosik’s tourism posters in the 1960s and the 1970s 강현주 p. 403-416
모던 디자인 운동으로서 1970년대 농촌 새마을운동 재평가 = Reassessing the 1970s Rural Saemaul Movement as a modern design movement 김종균 p. 419-432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lex, C. (2007). Design and Art . Cambridge: MIT Press. 미소장
2 Choi, B., & Kim, D. (2013) 아트퍼니처에서 나타나는 예술과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Art and Design in Artfurniture]. Korea Furniture Society, 24 (3), 227. 미소장
3 George, D. (1974). Art and the Aesthetic: An Institutional Analysis . New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미소장
4 George, D. (1997). The Art Circle: A Theory of Art . Kentucky: Chicago Spectrum Press. 미소장
5 George, D. (2001). Art and Value . UK:Blackwell Publishers Oxford. 미소장
6 Jung, S. (1991). 산업디자인 150년-오늘의 시각예술 1830-1980 [150 years of Industrial Design-Today's visual arts 1830-1980] . Seoul: Mijinsa. 미소장
7 Jung, S. (1976). 한국의 현대 디자인: 현대 한국 디자인의 근원과 한국에서의 현황 [Korean modern design:The origins of modern Korean design and its current status in Korea]. Seoul: Youlhwadang Publishers. 미소장
8 Kang, H., & Kim, S. (2012). 디자인아트:개념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Design-Art: Focusing on the Concept-Forming Process of Design-A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8). 미소장
9 Kim, S. (2021). 관내분실:1999년 이후의 디자인 전시 [Lost in Museum : Design Exhibition after 1999] . Seoul:Nuha. 미소장
10 Kim, S. (2003, November). 왜, 디자인은 미술관으로 진입하는가 -한국디자인 전시의 현황과 과제 [Why Does Design Enter Art Museums?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Design Exhibitions]. Art in Culture , 140-143. 미소장
11 Kim, J. (2016). 디자인아트와 새로운 공예의 부흥 [A Study on Designart and New Crafts Revival :Focusing on the Analysis of Radical Dutch Design since 1990]. Society of Art & Design, 19 , 100. 미소장
12 Kim, S. (2019) 디자인 아트 유형 확장에 관한 연구 - 국내 서울옥션 낙찰 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tension of Design Art Type - Focusing on Seoul Auction Promotion Items in Korea].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 (5), 101-116. 미소장
13 Park, A. (2009). 한국 근현대디자인사의 전개와 정리 -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을 중심으로 [Theorem for Korean modern design history: focused on Modern Design Museum]. Seoul National University Visual Arts Institute Form Archives, 1 . 미소장
14 Lee, B. (1999), 예술-디자인, 디자인-예술 [Art-Design, Design-Ar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a collection of papers for an autumn academic conference, 32 , 98-99. 미소장
15 Paul, R. (1981). Politics of Design, Graphics Annual . Zurich: Graphis Press. 미소장
16 Park, G., & Oh, C. (2013) 디자인 전문잡지 창간사를 통해 본 디자인에 대한 인식 변화-1960년 ~ 2012년까지창간된 디자인 전문잡지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the Notion of Design in Editorial Introductions from the First Issues of Design Magazines : Based on Reviews of Design Magazines' First Issues Published from 1960 to 2012].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 (2), 109-125. 미소장
17 Suh, S. (1999). 디키의 <예술제도론>의 관점에서 본 예술로서의 패션의 본질 -패션계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Essentials of Fashion as art from the Perspective of George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 -Focus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Fashion World].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20 (5), 1-15. 미소장
18 Shin, H. (2007). 한국디자인비평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Korean Design Criticism: Focusing on After 1990s] . Graguation School KyungHe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