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lex, C. (2007). Design and Art . Cambridge: MIT Press. | 미소장 |
2 | Choi, B., & Kim, D. (2013) 아트퍼니처에서 나타나는 예술과 디자인의 비경계적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Art and Design in Artfurniture]. Korea Furniture Society, 24 (3), 227. | 미소장 |
3 | George, D. (1974). Art and the Aesthetic: An Institutional Analysis . New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 | George, D. (1997). The Art Circle: A Theory of Art . Kentucky: Chicago Spectrum Press. | 미소장 |
5 | George, D. (2001). Art and Value . UK:Blackwell Publishers Oxford. | 미소장 |
6 | Jung, S. (1991). 산업디자인 150년-오늘의 시각예술 1830-1980 [150 years of Industrial Design-Today's visual arts 1830-1980] . Seoul: Mijinsa. | 미소장 |
7 | Jung, S. (1976). 한국의 현대 디자인: 현대 한국 디자인의 근원과 한국에서의 현황 [Korean modern design:The origins of modern Korean design and its current status in Korea]. Seoul: Youlhwadang Publishers. | 미소장 |
8 | Kang, H., & Kim, S. (2012). 디자인아트:개념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Design-Art: Focusing on the Concept-Forming Process of Design-A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 (8). | 미소장 |
9 | Kim, S. (2021). 관내분실:1999년 이후의 디자인 전시 [Lost in Museum : Design Exhibition after 1999] . Seoul:Nuha. | 미소장 |
10 | Kim, S. (2003, November). 왜, 디자인은 미술관으로 진입하는가 -한국디자인 전시의 현황과 과제 [Why Does Design Enter Art Museums?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Korean Design Exhibitions]. Art in Culture , 140-143. | 미소장 |
11 | Kim, J. (2016). 디자인아트와 새로운 공예의 부흥 [A Study on Designart and New Crafts Revival :Focusing on the Analysis of Radical Dutch Design since 1990]. Society of Art & Design, 19 , 100. | 미소장 |
12 | Kim, S. (2019) 디자인 아트 유형 확장에 관한 연구 - 국내 서울옥션 낙찰 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tension of Design Art Type - Focusing on Seoul Auction Promotion Items in Korea].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 (5), 101-116. | 미소장 |
13 | Park, A. (2009). 한국 근현대디자인사의 전개와 정리 -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을 중심으로 [Theorem for Korean modern design history: focused on Modern Design Museum]. Seoul National University Visual Arts Institute Form Archives, 1 . | 미소장 |
14 | Lee, B. (1999), 예술-디자인, 디자인-예술 [Art-Design, Design-Ar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a collection of papers for an autumn academic conference, 32 , 98-99. | 미소장 |
15 | Paul, R. (1981). Politics of Design, Graphics Annual . Zurich: Graphis Press. | 미소장 |
16 | Park, G., & Oh, C. (2013) 디자인 전문잡지 창간사를 통해 본 디자인에 대한 인식 변화-1960년 ~ 2012년까지창간된 디자인 전문잡지를 중심으로 [The Changes of the Notion of Design in Editorial Introductions from the First Issues of Design Magazines : Based on Reviews of Design Magazines' First Issues Published from 1960 to 2012].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 (2), 109-125. | 미소장 |
17 | Suh, S. (1999). 디키의 <예술제도론>의 관점에서 본 예술로서의 패션의 본질 -패션계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Essentials of Fashion as art from the Perspective of George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 -Focus on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Fashion World].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20 (5), 1-15. | 미소장 |
18 | Shin, H. (2007). 한국디자인비평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Korean Design Criticism: Focusing on After 1990s] . Graguation School KyungHe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