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타이완의 음식문학은 1990년대 말 질적·양적 발전을 거듭해 현재 타이완 문학에서 확고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음식문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음식산문은 그 작가층이 1970년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제1세대 량스추(梁實秋, 1903-1987)・탕루쑨(唐魯孫, 1907-1985), 제2세대 루야오둥(逯耀東, 1933-2006), 제3세대 쟈오퉁(焦桐, 본명: 葉振富, 1956-) 등 이 있다. 제1세대 작가들이 음식을 통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다면, 제2세대 작가들은 역사적 요소를 가미하여 사회·문화적 맥락을 더했다. 그리고 제3세대 작가들은 다양한 소재와 문체를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은 이들 중 제2세대 작가인 루야오둥의 음식산문을 검토하여 그의 작품에 나타난 외성인(外省人) 1.5세대의 문화적 정체성과 역사학자로서의 글쓰기를 분석했다. 루야오둥은 현대사회에서 급격하게 변화하는 민족 공동체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목도하면서 전통을 보존하고자 하는 열망을 그의 음식산문에 투영했다. 그는 역사학적 지식과 문학적 감성을 활용해 음식문화에 대한 역사와 개인의 기억을 그의 작품에 담았다. 이를 통해 루야오둥은 음식문화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기록하고 후세에 전승하여 중화민족의 문화정체성을 강화하고자 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逯耀東(2005), 『中國飲食文化散記之二-寒夜客來』, 北京: 三聯書店. | 미소장 |
2 | 逯耀東(2006), 『魏晋史學的思想與社會基礎』,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3 | 逯耀東(2016), 『出門訪古早』, 臺北: 東大. | 미소장 |
4 | 逯耀東 (2016), 『胡適與當代史學家』, 臺北: 東大. | 미소장 |
5 | 逯耀東(2018), 『肚大能容-中國飲食文化散記』, 臺北: 三民. | 미소장 |
6 | 逯耀東(2018), 『似是閒雲(e-book)』, 東大圖書股份有限公司. | 미소장 |
7 | 逯耀東(2020), 『那年初一(e-book)』, 東大圖書股份有限公司. | 미소장 |
8 | 逯耀東(2022), 『窗外有棵相思(e-book)』, 東大圖書股份有限公司. | 미소장 |
9 | 고영희 (2022), 「일상의 탐미(耽味)와 문학적 재현 - 20세기 중국 지식인의 음식산문을중심으로」, 『중국학보』, (101), 한국중국학회, pp. 357-379. | 미소장 |
10 | 김민호, 이민숙, 송진영 등 (2019), 『중화미각』, 파주: 문학동네. | 미소장 |
11 | 김수현 (2020), 「『홍루몽』음식 묘사 속 사치의 감각」, 『외국문학연구』, (80), 외국문학연구소, pp. 43-66. | 미소장 |
12 | 마이클 사오, 메이창, 메이-후이첸(저), 권정화(역) (2015), 「1980년대 이후 대만음식(cuisine)형성: 민난(閩南)과 하카(客家) 음식의 대두」, 『아시아리뷰』, (9),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pp. 123-138. | 미소장 |
13 | 박남용 (2020), 「중국 현대문학 속의 음식문화와 사회변화 연구」, 『중국학연구』, (91), 중국학연구회, pp. 127-162. | 미소장 |
14 | 알라이다 아스만(저), 변학수, 채연숙(역) (2011), 『기억의 공간-문화적 기억의 형식과변천』, 서울: 그린비. | 미소장 |
15 | 태지호 (2014), 『기억 문화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16 | 國立臺灣文學館, 『臺灣文學年鑑』, https://db.nmtl.gov.tw/Site4/s8/index, 2023.06.15검색. | 미소장 |
17 | 潘宗億(2016), 「瑪德萊娜時刻:以戰後臺灣飲食書寫中的食物記憶爲例」, (12卷1期), 『中國飲食文化』, 財團法人中華飲食文化基金會, pp. 91-176. | 미소장 |
18 | 葉衽榤(2012), 「世紀初的華麗- 李昂『鴛鴦春膳』中的食色宰制」, 『咁仔店電子報』, (4), 臺北教育大學臺灣文化研究所, pp. 1-20. https://taiwan.ntue.edu.tw/var/file/29/1029/img/698/776684007.pdf, 2023.06.15.검색. | 미소장 |
19 | 王皖佳(2012), 「臺灣飲食文學類體形構與演變(1980-2011)』, 淡江大學中國文學系碩士論文. | 미소장 |
20 | 任志輝(2011), 「第三代飲食文學家- 焦桐」, 『尋找一片寧靜山海交錯在香港』, 香港:城市文學文庫, pp. 275-277. http://lbms03.cityu.edu.hk/citylit/citylit-2011/6.4.pdf, 2023.03.15검색. | 미소장 |
21 | 張碧純(2011), 「逯耀東飲食散文研究」, 國立中央大學碩士論文. | 미소장 |
22 | 張巍騰(2008), 「臺灣當代飲食散文的流變(1949-2008)」, 靜宜大學中國文學研究所碩士論文. | 미소장 |
23 | 張曉風主編(2002), 『九十年散文選』, 臺北: 九歌. | 미소장 |
24 | 鄭淑娟(2007), 「臺灣飲食文學出版概況」,『全國新書資訊月刊』, (102), 國家圖書館, pp. 47-64. | 미소장 |
25 | 周作人(著), 鍾叔河(編) (2017), 『周作人散文全集』, 北京: 中華書局. | 미소장 |
26 | 陳思和(2013), 『從魯迅到巴金-陳思和人文學術演講錄』, 上海: 中西書局. | 미소장 |
27 | 陳玉箴(2014), 「從溝通記憶到文化記憶: 1960-1980年代臺灣飲食文學中的北平懷鄉書寫」, 『臺灣文學學報』, (25), 國立政治大學臺灣文學研究所, pp. 33-68. | 미소장 |
28 | 焦桐(2009), 『臺灣味道』, 台北: 二魚文化. | 미소장 |
29 | 焦桐(2009), 『暴食江湖』, 台北: 二魚文化. | 미소장 |
30 | Anthony Smith (1986), The Ethnic Origins of Nations,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