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경석. 「진실의 습격: 민주주의와 문학 그리고 자본주의」. 『창작과비평』 49-4, 창비, 2021, 55〜72쪽. |
미소장 |
2 |
김무연. ‘타임 ‘올해의 인물에 머스크 선정 “그는 인류의 자산”’. 『이데일리』, 2021. 12. 14.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 94486629278520&mediaCodeNo=257&OutLnk Chk=Y. |
미소장 |
3 |
김재인.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동아시아, 2017. |
미소장 |
4 |
김재희. 『시몽동의 기술철학』. 아카넷, 2017. |
미소장 |
5 |
김초엽‧김원영. 『사이보그가 되다』. 사계절, 2021. |
미소장 |
6 |
김초엽. 「로라」. 『방금 떠나온 세계』, 한겨레출판, 2021. |
미소장 |
7 |
김초엽. 「마리의 춤」. 『방금 떠나온 세계』, 한겨레출판, 2021. |
미소장 |
8 |
김휘택. 「포스트휴먼과 사이보그, 이념과 경험」. 『다문화콘텐츠연구』 36,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269〜295쪽. |
미소장 |
9 |
곽노필. ‘머스크, 뇌에 뉴럴링크 칩 심은 돼지 공개’. 『한겨레』, 2020. 08. 29, http://www.hani.co.kr/arti/science/technology/959856.html. |
미소장 |
10 |
노대원.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인간 향상과 취약성」. 『한국문학이론과비평』 86,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0, 151〜174쪽. |
미소장 |
11 |
도나 해러웨이. 『해러웨이 선언문』. 황희선 역, 책세상, 2019. |
미소장 |
12 |
로버트 월드 서스먼. 『인종이라는 신화』. 김승진 역, 지와사랑, 2022. |
미소장 |
13 |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이경란 역, 아카넷, 2015. |
미소장 |
14 |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미소장 |
15 |
마이클 샌델. 『완벽에 대한 반론』. 김선욱‧이수경 역, 와이즈베리, 2016. |
미소장 |
16 |
마크 오코널. 『트랜스휴머니즘』. 노승영 역, 문학동네, 2018. |
미소장 |
17 |
맥스 테그마크. 『라이프 3.0』. 백우진 역, 동아시아, 2017. |
미소장 |
18 |
몸문화연구소. 『포스트바디: 레고인간이 온다』. 필로소픽, 2019. |
미소장 |
19 |
박미영. 「포스트-시네마적 미학과 신자유주의 시대의 포스트휴먼 -<언프렌디드: 친구삭제>와 <서치>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9,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741〜764쪽. |
미소장 |
20 |
박윤영. 「엄마의 자리에 서서: 돌봄과 자기윤리 - 황정은, 김유담, 김초엽의 소설을중심으로」. 『실천문학』 137, 실천문학사, 2020, 185〜196쪽. |
미소장 |
21 |
복도훈. 「SF와 새로운 리얼리티를 찾아서: 김초엽과 박문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창작과비평』 47-4, 창비, 2019, 53〜71쪽. |
미소장 |
22 |
셰릴 빈트. 『에스에프 에스프리』. 전행선 역, 아르테, 2019. |
미소장 |
23 |
슈테판 헤어브레히터. 『포스트휴머니즘』. 김연순‧김응준 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
미소장 |
24 |
신상규.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 아카넷, 2014. |
미소장 |
25 |
신성환. 「‘확장된 마음’과 인간-기술의 올바른 연합 : 김초엽 소설 두 편을 중심으로」. 『동남어문논집』 49, 동남어문학회, 2020, 137〜167쪽. |
미소장 |
26 |
신승환. 『포스트휴머니즘의 유래와 도래』. 서강대학교출판부, 2020. |
미소장 |
27 |
심완선. 『우리는 SF를 좋아해』. 민음사, 2022. |
미소장 |
28 |
야니나 로.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조창오 역.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
미소장 |
29 |
오윤주. 「기술 문명 시대 문학의 대응 양상 연구 –2000년대 이후 한국 SF 소설을중심으로-」. 『우리말글』 88, 우리말글학회, 2021, 337〜371쪽. |
미소장 |
30 |
오소영. ‘“뇌 절제 없이도 칩 이식 가능” 中,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 『The Guru』, 2022. 07. 05.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 no=38046. |
미소장 |
31 |
오소영. ‘뉴럴링크 경쟁사 싱크론, 美임상 개시. . .중증 마비 환자 6명 참여’. 『THE GURU』, 2022. 05. 09. https://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 =35183. |
미소장 |
32 |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김명주 역. 김영사, 2017. |
미소장 |
33 |
유발 하라리.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전병근 역. 김영사, 2018. |
미소장 |
34 |
이양숙.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한국문학과 예술』 34,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0, 227〜259쪽. |
미소장 |
35 |
임도한.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 『문학과환경』 17-2, 한국문학과환경학회, 2018, 215〜243쪽. |
미소장 |
36 |
이종관. 『포스트휴먼이 온다』. 사월의책, 2017. |
미소장 |
37 |
이인식. 『미래교양사전』. 갤리온, 2006. |
미소장 |
38 |
이현우. 『책에 빠져 죽지 않기』. 교유서가, 2018. |
미소장 |
39 |
안숭범. 『SF, 포스트휴먼, 오토피아』. 문학수첩, 2018. |
미소장 |
40 |
앤디 클락. 『내추럴-본 사이보그』. 신상규 역, 아카넷, 2015. |
미소장 |
41 |
앨런 뷰캐넌. 『인간보다 나은 인간: 인간증강의 약속과 도전』. 심지원‧박창용 역, 로도스, 2015. |
미소장 |
42 |
올리버 색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조석현 역, 알마, 2016. |
미소장 |
43 |
질베르 시몽동.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에 대하여』. 김재희 역, 그린비, 2011. |
미소장 |
44 |
천현순. 「포스트휴먼의 원형과 문학적 상상력 - 프랑켄슈타인의 피조물 vs. 호문쿨루스」. 『독일언어문학』 78,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209〜235쪽. |
미소장 |
45 |
추재욱. 「『프랑켄슈타인』과 『멋진 신세계』에 나타난 과학과 생명윤리 연구 -포스트휴먼 시대의 생태학적 생명윤리-」. 『현대영미소설』 16-2,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09, 27〜48쪽. |
미소장 |
46 |
캐서린 헤일스.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허진 역, 플래닛, 2013. |
미소장 |
47 |
케빈 워릭. 『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 정은영 역, 김영사, 2004. |
미소장 |
48 |
테드 창. 「인류과학의 진화」. 『당신 인생의 이야기』, 김상훈 역, 행복한책읽기, 2004. |
미소장 |
49 |
프랜시스 후쿠야마. 『부자의 유전자 가난한 자의 유전자』. 송정화 역, 한국경제신문, 2003. |
미소장 |
50 |
홍성욱. 『포스트휴먼 오디세이』. 휴머니스트, 2019. |
미소장 |
51 |
홍성욱.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인간 너머의 인간』, 사월의책, 2021. |
미소장 |
52 |
Hughes, James. Citizen Cyborg: Why Democratic Societies Must Respond to the Redesigned Human of the Future. Westview Press, 2004. |
미소장 |
53 |
Neuralink, ‘Monkey MindPong’. 『유튜브』, 2021. 04. 09. https://youtu.be/rsCul1sp4hQ.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