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지난 30여년간의 교육재정경제 연구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재정경제 연구 분야가 향후 지향해 나가야 할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교육재정경제 분야의 연구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창간호부터 최근호까지 총 712편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교육재정경제 분야의 연구는 1)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연구 증가 2) 교육경제 분야 연구 증가 3) 교육부, 교육청, 학교, 대학, 지자체 등으로 연구대상의 다변화 4) 문헌자료에서 정량자료(행정데이터, 설문자료)로 분석자료의 변화 5) 문헌연구 중심의 연구에서 양적연구 중심의 연구로 전환 6) 연구자 간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 증가 등과 같은 특징을 도출하였다. 교육행정학 분야의 연구동향과 비교한 결과, 교육재정경제 연구는 질적 연구의 활용도가 낮고 교육부 정책에 관한 실증연구가 상당한 것을 확인하였다. 2002년 이후 주제어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교육재정과 교육경제의 키워드가 균형 있게 다루어졌고, 2) 효율성, 형평성, 공평성과 같은 가치 준거에 관한 연구와 학교회계, 학교재정, 학교규모 등 학교 단위의 연구와 3) 아울러 DEA, PSM, FE, HLM 등과 같이 정교화된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해외 교육재정경제 연구 동향과 비교하면서 향후 교육재정경제 연구의 과제를 살펴본 결과, 교육투자의 효과성, 특수한 교육재정 수요 분석, 교육재정의 적정성에 관한 논의, 목적사업의 재정 소요 추정, 교육의 수익 분석, 교육정책평가분석 강화, 교원 노동시장에 관한 연구 확대 등과 같은 연구주제에 대한 학회의 관심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영철(1994). 교육재정·경제학의 발전방향. 교육재정경제연구, 3(1), 107-146. | 미소장 |
2 | 김영철(2005). 교육재정학의 연구동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제44차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21-46. | 미소장 |
3 | 백일우(1994). 교육경제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재정경제연구, 3(1). 53-90. | 미소장 |
4 | 서지영・차양은(2005).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동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14(1), 169-191. | 미소장 |
5 | 서자영・최성륜・김소영・임철연(2013). 최근 교육재정경제학의 연구 동향. 교육종합연구, 11(2), 53-72. | 미소장 |
6 | 윤정일(1994). 교육재정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재정경제연구, 3(1). 1-36. | 미소장 |
7 | 윤홍주(2011). 우리나라 유・초・중등 학교재정 연구의 성과와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0(3), 49-68. | 미소장 |
8 | 김병주(2010). “한국 교육재정경제학의 연구동향: 내용분석”. 문족문화논총, 45, 401-425. | 미소장 |
9 | 김지하(2015). 유·초·중등 교육재정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4(1), 23-58. | 미소장 |
10 | 반상진·이진권(2015). 교육재정·경제학 연구방법론 동향 및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4(1), 1-22. | 미소장 |
11 | 남수경(2015). 고등교육재정 연구의 동향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4(1), 59-84. | 미소장 |
12 | 김예슬·김병주(2016). 「교육재정경제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의 적용. 교육재정경제연구, 25(4), 123-146. | 미소장 |
13 | 문찬주·김옥결·최선·엄문영·오순영(2020). Theory borrowing 개념에 근거한 한국 교육재정경제학의 연구 동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9(3), 199-224. | 미소장 |
14 | Ladd, H. F., & Goertz, M. E. (Eds.). (2014).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Routledge. | 미소장 |
15 | Hanushek, E., Welch, F.(2006).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1. Elsevier. | 미소장 |
16 | Hanushek, E. A., Welch, F.(2006).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2. Elsevier. | 미소장 |
17 | Hanushek. E. A., Machin, S. J., Woessmann, L.(2011a).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3. Elsevier. | 미소장 |
18 | Hanushek. E. A., Machin, S. J., Woessmann, L.(2011b).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4. Elsevier. | 미소장 |
19 | Hanushek. E. A., Machin, S. J., Woessmann, L.(2016).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5. Elsevier. | 미소장 |
20 | Hanushek. E. A., Woessmann, L., Machin, S. J.(2023).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Education, Vol.6. Elsevie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