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자생적으로 출발한 교사전문학습공동체가 교육행정기관의 하향식 교육정책으로 변형되었을 때, 교사 자율성이 유지될지 아니면 하향식 정책의 특성을 드러낼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해서 연구자는 대전의 미래중학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정책과 학교 그리고 행정기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은 McLaughlin과 Berman의 정책집행이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미래중학교 정책집행의 특성은 정책의 내용과 학교조직의 관행이 서로 달라지는 ‘상호적응’이 주로 나타났으며, 학교의 관행에 따라 정책을 변화시키는 ‘흡수’ 양상이 일부 나타났다. 미래중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집행에서 ‘상호적응’이 주요 적응 양상으로 나타난 것은 ‘자율성’과 ‘독립성’이 핵심가치였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하향식 정책으로 변화한 이후에도 유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학교의 적극적 대응 노력과 함께 교사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교육청도 존중하면서 정책을 조정해갔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정책집행을 위해서 교육청의 정책 집행자와 학교의 집행자들이 상호적응할 수 있는 정책의 유연함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교육기본권과 능력주의의 접합 = A study on the combining of basic educational right and meritocracy : 헌법상 '능력에 따라’의 해석 전환과 교육기본권의 왜곡 김용 p. 1-25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정책의 미시적 집행 사례분석 = Micro-level implementation study o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olicy : 대전 미래중학교를 중심으로 채은영, 김미숙 p. 27-57
교장 양성체제 전환을 위한 교장양성프로그램 제도변화 분석 = An analysis of changes in the principal training program system for the transition of principal training system : focusing on the future education teacher leadership academy : 미래교육 교원리더십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최춘지, 이수정, 신범철 p. 59-85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한 초등돌봄교실 정책변동 분석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are program policy applying Kingdon’s policy streams model : focused on the ‘Nulbom school’ policy : 늘봄학교 정책을 중심으로 김건아, 김수지, 김하연, 황재운 p. 87-117
혁신 저항이론에 기반한 교육전문대학원 제도 도입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탐색 연구 = A study exploring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 introduction of a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고명정, 김이경, 조은샘, Gao, Shang p. 119-146
미국 교육정치학의 연구동향 = Research trends in politics of education in U.S.. 2, Focusing on thematic analysis of the period of academic leaps and settlements. 2, 학문적 도약과 정착 시기의 주제 분석을 중심으로 신현석, 박수아, 선애경 p. 147-186
학생 시민의식 편차 실태 및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variatio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student civic competencies : ICCS 2016 분석과 FGI 분석을 중심으로 이호준, 강성우, 문지영, 김선 p. 187-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