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만청시기는 중국이 전통에서 현대로 전환하는 가장 중요한 과도기이다. 이 시기 죽지사는 중국이 고대사회에서 근대화로 전환하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하에 산생된 것으로 시대적 특색이 뚜렷하다. 민가에서 발전한 죽지사는 만청시기 시국이 급변함에 따라 이전의 ‘詩情畫意’식의 묘사는 퇴색하고, ‘紀事’ 기능이 한층 강화되어 정치⋅경제⋅문화⋅사회⋅역사 등 직록에 가까운 방식으로 만청 중국인들이 바라본 이국의 형상을 그려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嶺表錄異》의 지리적 배경 및 사료적 가치 연구 | 장미경 | p. 33-60 |
|
|
동양 고전의 생명인문학 : 채식주의의 생명평등 의식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박영록 | p. 1-32 |
|
|
'詞以解西’ : 晚清 西歐竹枝詞에 나타난 서구형상과 상상의 복원 | 金華珍 | p. 61-88 |
|
|
《고인 물에 이는 잔 물결(死水微瀾)》 연구 : '집’과 '연애’에서 보이는 顚覆을 중심으로 | 조홍선 | p. 89-112 |
|
|
韓中 錢鍾書 硏究 동향과 전망 | 오윤숙 | p. 113-142 |
|
|
从老舍的《月牙儿》分析民国时期妓女形象 | 郭明 | p. 143-163 |
|
|
"一…就…"构式语义识解与认知机制 | 袁丽, 李宇哲 | p. 165-178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漢] 司馬遷, 《史記》, 北京: 中華書局, 1982. | 미소장 |
2 | [晉] 葛洪, 《西京雜記》권3, 四庫本(文淵閣). | 미소장 |
3 | [明] 費信著, 馮承鈞校注, 《星搓勝覽校注》, 北京: 中華書局, 1954. | 미소장 |
4 | [清] 尤侗著, 陳倫炯纂, 《外國竹枝詞》, 北京: 中華書局, 1991. | 미소장 |
5 | [清] 王士禎著, 張宗柟纂集, 夏閎校點, 《帶經堂詩話》, 人民文學出版社, 1963. | 미소장 |
6 | [清] 斌椿, 《海國勝遊草》, 鍾叔河主編, 《走向世界叢書修訂本(一)》, 長沙: 岳麓書社, 2008. | 미소장 |
7 | [清] 林鍼, 《西海紀遊草》, 鍾叔河主編, 《走向世界叢書修訂本(一)》, 長沙: 岳麓書社, 2008. | 미소장 |
8 | [清] 袁祖志, 《談瀛錄》, 光緒十年同文書局石印本. | 미소장 |
9 | [清] 王之春, 《使俄草》, 鍾叔河主編, 《走向世界叢書》, 長沙: 岳麓書社, 2016. | 미소장 |
10 | [清] 潘乃光, 《海外⽵枝詞》, 潘乃光著, 李寅生等校注, 《榕陰草堂詩草校注》, 成都:巴蜀書社, 2014. | 미소장 |
11 | [清] 張祖翼, 《倫敦竹枝詞》, 鍾叔河主編, 《走向世界叢書》, 長沙: 岳麓書社, 2016. | 미소장 |
12 | [清] 潘飛聲, 《柏林竹枝詞》, 鍾叔河主編, 《走向世界叢書》, 長沙: 岳麓書社, 2016. | 미소장 |
13 | 王利器, 王慎之等編, 《歷代竹枝詞》, 西安: 陝西人民出版社, 2003. | 미소장 |
14 | 雷夢水, 潘超, 孫忠銓, 鍾山編, 《中華竹枝詞全編》, 北京: 北京出版社, 2007. | 미소장 |
15 | 《申報》同治壬申12월 26일(1873년 1월 24일) 제231호. | 미소장 |
16 | 王慎之⋅王子今, <黃遵憲《日本雜事詩》所見晚清開明人士的近代化觀>, 《廣東社會科學》, 1998(1). | 미소장 |
17 | 王輝斌, 《唐後樂府詩史》, 合肥: 黃山書社, 2010. | 미소장 |
18 | 王輝斌, <清代的海外竹枝詞及其文化使命>, 《閱江學刊》, 2012(1). | 미소장 |
19 | 尹德翔, 《東海西海之間: 晚清使西日記中的文化觀察認證與選擇》,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9 | 미소장 |
20 | 尹德翔, <斌椿西方記述的話語方式>, 《學術交流》, 2009(7). | 미소장 |
21 | 尹德翔, 《晚清海外竹枝詞考論》,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6. | 미소장 |
22 | 余冠英, 《漢魏六朝詩論叢》, 北京: 商務印書館, 2011. | 미소장 |
23 | 章海榮, 《旅遊文化學》,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2004. | 미소장 |
24 | 郭少棠, 《旅行: 跨文化想像》,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5. | 미소장 |
25 | 路成文⋅楊曉妮, <《倫敦竹枝詞》作者張祖翼考>, 《聊城大學學報》, 2012(3). | 미소장 |
26 | 劉運好, 《先唐文史考論》, 蕪湖: 安徽師範大學出版社, 2014. | 미소장 |
27 | 鍾叔河, 《走向世界: 近代中國知識分子考察西方的歷史》, 北京: 中華書局, 2000. | 미소장 |
28 | 김지환, 《철도로 보는 중국역사》, 서울: 학고방, 2014. | 미소장 |
29 | 박현규, <중국 초기 죽지사고>, 《중어중문학》, 1994(15). | 미소장 |
30 | 박종훈, <徐振의 《朝鮮竹枝詞》에 보이는 朝鮮認識>, 《온지논총》, 2011(29). | 미소장 |
31 | 박종훈, <淸柏葰의 《朝鮮竹枝詞》에 드러난 朝鮮認識>, 《한국언어문화》, 2011(44). | 미소장 |
32 | 신하윤, <죽지사 연구를 위한 탐색>, 《중어중문학》, 2005(36). | 미소장 |
33 | 신하윤, <徐振《朝鮮竹枝詞》에 나타난 淸人의 朝鮮인식>, 《중국문학》, 2007(52). | 미소장 |
34 | 이도흠, <역사 현실의 기억과 흔적의 텍스트화 및 해석 - 화쟁기호학을 중심으로>, 《기호학연구》, 2006(19). | 미소장 |
35 | 이혜순, <여행자 문학론 試攷-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비교문학》, 1999(24). | 미소장 |
36 | 하경심, <《澳門記略》을 통해 본 <竹枝詞>의 기능과 수용>, 《중국어문학논집》, 2011(72) | 미소장 |
37 | 홍인표, <죽지사 연구>, 《중국어문논총》, 1993(33). | 미소장 |
38 | 김화진, <만청 중국인들의 이국 여정을 복원하다 - 만청 해외죽지사의 자료활용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20(41). | 미소장 |
39 | 김화진, <만청 해외죽지사의 타자에 대한 소통과 대립>, 《중국문학연구》, 2022(8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