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ere are a lot of tasks to develop textbooks or reference books and train teachers before two years whe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notified on December 22 2022) is subject to be applied to first-year students in high schools. In order to prepare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general and detailed remark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2015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s and presented the directions of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in high schools is related to full implementation of the 2025 Credit System in high schools. Under the credit system students are subject to choose necessary subjects for themselves to enhance self-direction learning. The selected subjects are classified into ‘general・career・integrated options’. The ‘integrated options’ are a supplement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include ‘Chinese cultures’.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was categorized as ‘career option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role and direction of appropriate subject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set to deal with unpredictable changes in upcoming societies and circumstances. For the purpose, the ‘Chinese cultures’ subject should give an opportunity in which students strengthen the ability to use various media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have their own careers. This study suggested a project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as a way to realize the goal for diverse careers of students. The ‘Chinese cultures’ could accept a variety of educational needs from students by connecting and integrating many studies. The ‘Chinese cultures’ could also be a subject to help students preparing university entrance exams by relating the activities to personal school records. The ‘Chinese cultures’ is expected to be a small milestone in its directio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孔安國《尚書》博士身份及相關問題覆議 | 高爭爭 | p. 5-18 |
|
|
高麗詩話中"蘇詩"品評的幾個維度 | 吳文善 | p. 19-36 |
|
|
金壽恒 詩의 蘇軾 관련 典故 활용 양상 | 류소진 | p. 37-72 |
|
|
梁启超旧体诗与金泽荣汉诗比较研究 : 以"沉郁顿挫"为中心 | 金贤珠, 王成志 | p. 73-97 |
|
|
질병을 치료 '함’과 '받음’ 사이 : 딩링(丁玲)의 <병원에서(在醫院中)>를 중심으로 | 신민준 | p. 99-122 |
|
|
文化崛起의 일환으로 바라본 중국애니메이션의 躍進 : 古典敍事를 소재로 한 중국 애니메이션의 굴기 | 배주애 | p. 123-149 |
|
|
有關《廣雅疏證》中音轉的考察 : 以聲母為中心 | 金軍梅 | p. 151-175 |
|
|
"复数主语+(都)+是+关系集合名词"构式研究 : 以对称关系集合名词为主 | 李鑫, 柳秀京 | p. 177-199 |
|
|
新兴主观极量构式"A2得不像话"研究 : 兼论"不像话"的准程度副词化 | 胡亭 | p. 201-226 |
|
|
韩汉语预期性副词"도대체"与"到底"的对比探析 | 单清丛 | p. 227-258 |
|
|
2022 개정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과정 분석 및 교육방향 연구 : '중국 문화’ 과목을 중심으로 | 김정미, 이우철 | p. 259-278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정미, <융합교육을 활용한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 방법 연구: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8. | 미소장 |
2 | 손민정,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제2외국어과 언어재료 개선 연구(RRC 2022-1)>,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 미소장 |
3 | 이규민,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경험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성과 분석>,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 미소장 |
4 | 임승규 외 3인, ≪고등학교 중국 문화 교과서≫, (사)한국검인정(서울교육청), 2021. | 미소장 |
5 | 차윤경 외 4인,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4. | 미소장 |
6 | 교육부 홈페이지(www.moe.go.kr) > 법령 정보 > 입법・행정 예고. | 미소장 |
7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re.kr) > 교육과정 자료실 > 교육과정 원문 및해설서. | 미소장 |
8 | 교육부, ≪2015 개정 외국어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2015. | 미소장 |
9 |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22. | 미소장 |
10 | 교육부,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202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