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중국어 술어 내포절에서 나타나는 허사부정 현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韓日越 언어의 유사 현상과 비교하며, 허사부정에 관한 제가설에 대해 통사적 ‧ 의미적 검증을 진행한다.
한국어는 부정적 인식 술어, 긍정적 인식 술어 및 사유‧인지 술어의 내포절에서 허사부정어 ‘-지 않-’이 나타난다(차적 2019). 일본어는 부정적 인식 술어, 긍정적 인식 술어의 내포절에서 허사부정어 nai, masen이 나타난다(Yoon 2013). 베트남어는 부정적 인식 술어와 사유‧인지 술어의 내포절에서 허사부정어 khong이 나타난다(刘娟 2015). 본 연구자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어는 부정적 인식술어와 사유‧인지 술어의 내포절에서 허사부정어 不, 没(有)가 나타난다.
중국어의 허사부정어를 보는 관점은 부정어 맥락상쇄설, 부정극어설, 부정호응어설, 평가표지설이 있다. 부정어 맥락상쇄설은 不, 没(有)를 잉여적인 부정어로 보는 관점이다. 하지만 잉여적인 不, 没(有)가 부정어라면 并,决 등과 공기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부정극어설과 부정호응어설은 주절의 술어가 부정적인 문맥을 구성함을 전제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어에서 难免, 不由得, 保不住/保不定/保不准 등 사유‧인지 술어는 부정적인 문맥을 구성한다고 볼 수 없다. 중국어의 술어 내포절 허사부정어 不, 没(有)는 명제에 대한 화자의 평가와 태도를 나타내는 평가표지로 보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화자의 ‘바라지 않음(Undesirability)’을 나타낸다. 이러한 주장은 한국어 일본어의 허사부정이 평가표지라는 Yoon(2009, 2013)의 주장과 궤를 같이한다.
평가표지설은 확장될 수 있다. 差点儿+허사 没(有) 또한 평가표지로 분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没(有)는 화자의 ‘예기치 않음(Unexpectedness)’을 나타낸다. 베트남어의 허사부정어 khȏng 또한 평가표지로 볼 수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용군(2016), 「한중 잉여부정의 형태와 의미」, 『중국인문과학』 64. | 미소장 |
2 | 나수연(2023), 「3인칭 대명사 ‘他’의 ‘虚指(가상지칭)’ 용법 분석 - ‘V+他+수량구+(NP)’구문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104. | 미소장 |
3 | 박혁재(2022), 「差點兒没구문의 差點兒, 没와 동의⋅중의 관계」, 『중국언어연구』 101. | 미소장 |
4 | 박혁재(2023), 「환황해지역 언어에 나타난 허사부정, 그 생성과 기능 - 현대중국어 술어내포문의 不, 没(有)를 중심으로」, 제118차 중국학연구회 학술대회 자료집. | 미소장 |
5 | 응우웬 띠또땀⋅류지은(2008), 『베트남어한국어입문사전』, 서울: 문예림. → 「네이버베트남어 사전」dict.naver.com/vikodict | 미소장 |
6 | 정은(2016), 「‘难免(不)VP’ 구문 연구」, 『중국학』 55. | 미소장 |
7 | 차적(2019), 「한국어 잉여적 부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 미소장 |
8 | 陈秀清(2018), 「现代汉语羡余否定研究」, 华东师范大学博士论文. | 미소장 |
9 | 渡边丽玲(1994), 「差一点”句的逻辑关系和语义结构」,『语言教学与研究』 3. | 미소장 |
10 | 范晓蕾(2019), 「“差一点”的语义特征及其句法后果—兼谈否定、反预期、时体的关联」, 『当代语言学』 2. | 미소장 |
11 | 李泉(2002), 「从分布上看副词的再分类」, 『语言研究』 2. | 미소장 |
12 | 刘娟(2015), 「汉越否定对比研究」, 华东师范大学博士论文. | 미소장 |
13 | 鲁承发⋅陈振宇(2020), 「透视与展望_“差一点没VP”句式研究60年」, 『语言研究集刊』 2. | 미소장 |
14 | 李静文(2020), 「“难免X”和“难免不X”的同义异构认知研究」, 『河西学院学报』 36(1). | 미소장 |
15 | 吕叔湘主编(1999), 『现代汉语八百词』(增订本),北京: 商务印书馆. | 미소장 |
16 | 乔荣荣(2020), 「羡余否定结构“忍住不”等的对外汉语教学研究」, 华中科技大学硕士论文. | 미소장 |
17 | 唐宫羽(2017), 「现代汉语羡余否定现象语义分析及界面研究」, 南京师范大学硕士论文. | 미소장 |
18 | 王蕾(2015), 「差点(没)VP”的形成机制」, 『理论界』 3. | 미소장 |
19 | 王蕾(2020), 『现代汉语羡余否定格式研究』, 上海: 复旦大学出版社. | 미소장 |
20 | 王志英(2012), 「现代汉语特殊否定现象认知研究」, 上海师范大学博士论文. | 미소장 |
21 | 袁毓林(2012), 「动词内隐性否定的语义层次和溢出条件」, 『中国语文』 2. | 미소장 |
22 | 袁毓林(2013), 「“差點儿”中的隐性否定及其语法效应」, 『语言研究』 2. | 미소장 |
23 | 张明宇(2012), 「极向敏感与极项允准机制」, 上海外国语大学博士论文. | 미소장 |
24 | 张谊生(2004), 『现代汉语副词探索』, 上海: 学林出版社. | 미소장 |
25 |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编(2012),『现代汉语词典』(第6版), 北京: 商务印书馆. | 미소장 |
26 | 钟书能⋅刘爽(2015), 「汉语羡余否定构式中的“没”真的是个羡余标记吗」, 『外国语(上海外国语大学学报)』 38(3). | 미소장 |
27 | 朱德熙(1980), 「汉语句法里的歧义现象」, 『现代汉语语法研究』, 北京: 商务印书馆, | 미소장 |
28 | 柴文竹(2010), 「否定极性词语允准条件的语义加工- 以否定极性词“任何”为例」, 『北京第二外国语学院学报』 32(12). | 미소장 |
29 | Crystal, David(2008), A Dictionary of Linguistics and Phonetics (6th Edition), MA: Blackwell publishing. | 미소장 |
30 | Jin, Yanwei & Jean Koenig(2021), “A cross-linguistic study of expletive negation”, Linguistic Typology 25(1). | 미소장 |
31 | Fischer, 0.(1992), “Syntax”,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ed. N. Blak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2 | Meibauer, J.(1990), “Sentence mood, lexical category filling, and non-propositional nicht in German”, Linguistische Berichte 130. | 미소장 |
33 | van de Wouden, Ton(1994), “Polarity and ‘Illogical Negation’ , in M. Kanazawa and C. Pinon (eds.), Dynamics, Polarity, and Quantification, CSLI, Stanford University. | 미소장 |
34 | Yoon, Suwon(2009), “Expletive negation in Japanese and Korean”, Japanese/Korean linguistics vol. 18, ed. M. den Dikken and W. McClure, 423–434. Stanford: CSLI Publications. | 미소장 |
35 | Yoon, Suwon(2011), ‘Not’ in the mood: The syntax, semantics, and pragmatics of evaluative negation, Ph.D. diss., University of Chicago. | 미소장 |
36 | Yoon, Suwon(2013), “Parametric variation in subordinate evaluative negation:Korean, Japanese versus others”,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22(2). | 미소장 |
37 | cndic.naver.com 네이버중국어사전 → 고려대중한사전, 고려대한한중사전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