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최근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안’이라는 동일한 명칭의 법안 2개가 국회에 발의되었다. 그런데 이와 유사한 입법안에 대한 논의가 처음으로 있었던 것은 2014년으로, 당시에는 보수단체들의 반대로 발의조차 되지 못했다. 여성가족부가 2020년 성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가족 다양성 국민 여론조사’를 보면, 응답자의 69.7%가 “혼인 · 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주거 · 생계를 공유한다면 가족이라 여길 수 있다.”라고 답했으며, 사실혼, 비혼 동거 등 법률혼 이외 혼인에 대한 차별 폐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0.5%,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도 수용 가능하다고 답한 비율은 48.3%로 나타났다. 여론조사에서 나타나듯이 이미 우리 사회의 인식은 많이 변화하였으며, 혼인 외의 제도에 대한 필요 또는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혼인 외의 결합에 대한 요구는 우리 사회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며,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 이미 혼인 외의 제도를 제정하여 시행해 오고 있다. 특히 벨기에의 경우 1998년 11월 23일 법을 통해 법정동거(cohabitation légale)제도를 신설하였다. 해당 제도는 1998년에 신설되어 200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그 이후 몇 차례의 개정을 거치면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법정동거의 체결 건수는 2000년 시행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 이후부터는 매년 약 4만 건에 이르고 있는데, 이는 혼인과 유사한 건수로 나타나고 있어 벨기에의 법정동거제도는 성공한 제도라는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법정동거는 벨기에에서 함께 거주하고, “공동생활(vie commune)”을 원하는 자에게는 누구에게나 허용되며, 동성 커플이나 이성 커플뿐만 아니라, 형제, 자매, 자녀 또는 친구 등과 같이 동거하는 2인의 성년자는 모두 대상이 된다. 벨기에는 법정동거제도를 통해 법정동거인이라는 법적인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해당 관계를 공식화하였는데, 이는 신분 관계라기보다는 계약적 성격이 두드러지며, “현재의 생활공동체를 위한 결합”으로 이해된다. 그럼에도 법정동거 해소 원인 중에서 법정동거인 2인의 혼인을 목적으로 하는 비율이 약 60%에 이를 정도로, 법정동거제도는 벨기에사회에서 예비혼인제도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cently, two bills with the same title, “Act on the Relationship of Living Companion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re was controversy over similar legislation in 2014, and at that time, they could not even propose it due to opposition from conservative groups. However, according to the “Family Diversity National Poll”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20 targeting 1,500 adults, 69.7% of the respondents said, “Even if you are not married or related, you can think of it as a family.” In fact, 70.5% of respondents said it was necessary to abolish discrimination against marriages other than legal marriages, such as unmarried cohabitation, and 48.3% said it was acceptable to have children without marriage. As polls show, our society’s perceptions have already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re is a need or demand for institutions other than marriage. The demand for unions other than marriage is not unique to our society, and many European countries have already enacted institutions other than marriage. In the case of Belgium in particular, a law of 23 November 1998 introduced a system of “cohabitation légal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n 1998, came into effect on January 1, 2000, and has been maintained to date after several revisions. The number of legal cohabitation agreements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its implementation in 2000 and has reached about 40,000 every year since 2011, which is similar to marriage, making Belgium's legal cohabitation system a success. Legal cohabitation is open to anyone who wants to live together in Belgium and wants to live “vie commune”, not only for same-sex and heterosexual couples but also for brothers, sisters, children or friends. Belgium formalized the relationship by granting the legal status of legal cohabitant through the legal cohabitation system, which is understood as a combination for the current living community because of its contractual nature rather than status. Nevertheless, the legal cohabitation system is being used as a preliminary marriage system, with about 60% of the two legal cohabitants getting marri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지방의회의 지역대표성과 지방의회선거의 선거구획정 간의 관계에 관한 헌법적 고찰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representativeness of local council and electoral redistricting in local council elections 金召娟 p. 7-37

임대주택 양도시 임차인의 지위와 임대인의 통지의무 = A suggestion for the house tenant protection law reform in South Korea : remedies to protect lump sum deposits against recent fraudulent lease transactions : 깡통주택·전세사기로부터 주택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제 개선방안 金齊完 p. 38-77

민사소송에서 외국 거주 증인의 영상증언에 관한 검토 = A study on the testimony of foreign witnesses by video-link in civil proceedings 韓愛羅 p. 78-119

벨기에 법정동거제도에 관한 연구 = Study on legal cohabitation system in Belgium 安文喜 p. 120-144

자율규제와 사적 질서 = Self-regulation and private ordering 李東珍 p. 145-178

집행 과정에서의 불합리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청구이의의 소 = Lawsuit of demurrer against the claim as a means to eliminate irrationality in the enforcement process 宋方兒 p. 179-219

신체촬영물의 압수수색과 관련성 = Relevance in search and seizure of photographs or videos of another person's body causing sexual stimulus or shame against the will of the person 金亨奎 p. 220-251

양형과 인공지능 = Sentenc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ing on public sentiment analysis, risk assessment, and sentencing analysis : 국민의 법감정 수렴, 위험 판단, 양형 분석을 중심으로 朴彗辰 p. 252-293

인·허가 의제의 효력 범위 = The scope of effects for the legal fiction of authorization and approval : focusing on the disposition unit in the Housing Act : 주택법상 처분 단위를 중심으로 朴乾嵎 p. 294-318

행정기본법 하에서의 학교법인 임원취임승인 거부사유 해석 = Interpretation of grounds for refusal to approve the appointment of executives of a school foundation under the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 成再烈 p. 319-345

가상자산의 증권성에 관한 小考 = An analysis on the securities nature of virtual assets : regarding the Terra-Luna case : 테라·루나 사건을 중심으로 全祐正 p. 373-416

프랑스 민법상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구조 = The structure of contract liability in French law : how could it inspire Korean contract law? : 우리 민법에의 시사(示唆)를 생각하며 呂河潤 p. 417-439

상증세법상 간주상속재산으로서 생명보험금에 관한 세법상 쟁점 = Tax issues regarding life insurance money as deemed inheritance property under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金柄宙 p. 440-468

임치물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 = Extinctive prescription for claims for return of bailed articles : review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20Da220140 delivered on August 19, 2022 : 대법원 2022. 8. 19. 선고 2020다220140 판결 金炳瑄 p. 469-505

성명권의 내용 및 인격권에 기한 금지청구권의 인정요건에 관한 고찰 =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naming right and the requirements for prohibition based on the rights of personality : '대법원 2022. 11. 17. 선고 2018다249995 판결'을 중심으로 尹나리 p. 506-533

집합건물 관리단의 공용부분 무단점유자에 대한 시설물철거 및 그 대지인도청구에 관하여 관리단집회의 결의가 필요한지 여부 = Is a resolution at the condominium buildings managing body's meeting necessary for a lawsuit against an unauthorized occupant of the building's section for common use seeking demolition of facilities and return of the site? : Supreme Court decision 2021Da292425 decided September 29, 2022 : 대법원 2022. 9. 29. 선고 2021다292425 판결 文英和 p. 534-560

특허권 소진의 성립범위에 대한 검토 = A review on the scope of patent exhaustion : focusing on the patented items put on the market against patentee's will : 특허권자 의사에 반해 유통된 특허품을 중심으로 曺永善 p. 346-372

참고문헌 (2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주수 ․ 김상용,『친족 · 상속법』, 법문사(2023). 미소장
2 김상용 ․ 안문희, “등록동반자관계는 혼인제도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중앙법학(제24권 제3호), 중앙법학회(2022). 미소장
3 안문희, “PACS(pacte civil de solidarité), 연대의무협약에 대한 연구: PACS 제정 후 십여 년이 지난 지금은?”, 법과사회(제42호), 법과사회이론학회(2012). 미소장
4 안문희, “상속결격제도에 관한 연구 -2012년 12월 10일 및 2022년 1월 19일 벨기에상속법 개정을 중심으로-”, 저스티스(제192호), 한국법학원(2022). 미소장
5 임재우, “없는 존재 돼버린 법외 가족들…“생활동반자법 논의할 시점””, 한겨레(2021. 5. 13.). 미소장
6 용혜인 의원 대표 발의,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안(의안번호 21647), (2023. 4. 26.). 미소장
7 장혜영 의원 대표 발의, 생활동반자관계에 관한 법률안(의안번호 22404), (2023. 5. 31). 미소장
8 “Cohabitation légale”, belgium.be, Informations et services officiels, Service Public Fédéral Belge. 미소장
9 “Contrat de vie commune pour cohabitants”, belgium.be, Informations et services officiels, Service Public Fédéral Belge: . 미소장
10 “Des déclarations de cohabitation légale en phase de stabilisation et des cessations qui évoluent”, STABEL, La Belgique en chiffres, (2023. 6. 23.). 미소장
11 Loi instaurant la cohabitation légale 23 NOVEMBRE 1998. 미소장
12 “Mettre fin à la cohabitation”, belgium.be, Informations et services officiels, Service Public Fédéral Belge . 미소장
13 Moureaux, Vincent Decroly, Frans Lozie et Olivier Maingain), La Chambre des représentants de Belgique (Ch. 49-170/1), (1995. 10. 23). 미소장
14 Nathalie Massager, Droit civil Tome I. Droit familial et droit patrimonial de la famille, droit des biens et droits réels, Anthemis(2020). 미소장
15 Patrick Senaeve, Concubinaat. De buitenhuwelijkse tweerelatie, Acco Leuven/Amersfoort (1992). 미소장
16 Proposition de loi concernant le contrat de vie commune (Déposée par Serge Moureaux, Vincent Decroly, Frans Lozie et Olivier Maingain), La Chambre des représentants de Belgique (Ch. 49-170/1), (1995. 10. 23.) . 미소장
17 Proposition de loi instituant l’union civile (Déposée par Mme Merchiers et consorts), Document parlementaire n° 1-172/1, (1995. 11. 23). 미소장
18 Proposition de loi instituant l’union civile (Déposée par M. Swennen), Document parlementaire n° 1143/1, 1993. 7. 20. 미소장
19 Sénat de Belgique, S. 1-916, Fiche du dossier(Ch. 49-170). 미소장
20 STABEL, La Belgique en chiffres . 미소장
21 “Statistique des cessations de cohabitation légale”, STABEL, La Belgique en chiffres(2023). 미소장
22 “T.I. 123 - COHABITATION LEGALE”, 2020. 1. 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