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남북 특수교육의 원활한 소통과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자 남북 특수교육 용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북한의 장애아동 조기교육기관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북한 특수교육 문헌을 조사하여 306개의 특수교육 용어에 대해 남북 용어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전반에서 남북 어휘와 고유어 및 외래어 사용의 차이로 인해 남북 특수교육 용어의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은 한자어와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북한은 외래어를 순화하여 고유어와 한자어를 주로 사용한다. 한민족으로서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에 남북 공통사용 용어가 나타난다. 공통사용 용어는 교육학, 상담학, 심리학 등에서도 사용된다. 진단검사 및 평가, 교육방법, 통합교육 등에 관한 북한 미사용 용어가 많은데 이는 북한에 특수교육학이 아직 정립되지 않고, 학문적 유입이 제한되어 남북 특수교육의 학문적 편차가 있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둘째, 장애 유형에서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건강장애는 의학 관련 용어와 관련하여 남북 공통사용 용어가 다소 많이 나타난다. 기타 장애 유형에서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질장애-발성장애, 기분장애-감정장애 등 정의에 있어 개념적 차이가 나타난다. 북한에는 장애유형별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데 이는 장애 선정기준에 대한 제도적 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과 관련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pecial education terminolog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order to further aid their communication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eight teachers working in an early education institu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and North Korea special education literature was examined.

Firstly,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North and South Korean special education terminology that appear in terms of the vocabulary, native languages, and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North Korea predominately uses the native language while South Korea has included vocabulary derived from foreign languages. There are also common terminologies used. These similarities are found not only in special education terminology, but also in education, counselling, and psychology. Not many of North Korea terminology is related to diagnostic tests and evaluation, educational methods, and integrated education.

Secondly, there are many common terminologies used in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such as visual, hearing, physical, and health disabilities, but some differences in other types such as articulation, voice quality, and mood disorder. There is also no legal standard to diagnosis any type of disability in North Korea,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se standards and develop evaluation tools for diagnosi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각장애 대학생의 그릿(Grit)과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grit,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이신영 p. 1-20

초등학교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적응 기간 운영에 대한 경험, 인식 및 지원 요구 = Experience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e adaptation period in inclusive classrooms 백지은 p. 21-50

특수교육학개론 강의 내용 주제 분석 = Analysis of topics i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 focusing on the textbook table of contents : 교재목차를 중심으로 최나리 p. 51-66

특수교육 전문가가 인식하는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과제 = Tasks for developing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experts 조창빈 p. 67-86

중국 시각장애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spir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Chinese visually disabled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레이, 강영심, 옥혜숙 p. 87-109

지역사회 기반 교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 사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al program on the fast-food restaurant kiosk utiliz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양해수, 이태수 p. 111-134

지적장애 대학생의 그림책 읽기를 통한 감정 기억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emotional memory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in universit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진선, 고선영 p. 135-158

경도인지장애 성인 대상의 다분야 중재 및 언어기능 개선에 대한 국내 문헌 연구 = Literature review on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and improvement of language function in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Korea 김소담, 장찬, 윤지혜 p. 159-187

지체장애 및 뇌성마비 중고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 분석 = Analysis of self-assess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among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cerebral palsy 강병선, 박경옥 p. 189-210

한국판 바인랜드 적응행동검사 3판(K-Vineland-3) 교사평정형 주영역판의 신뢰도와 타당도 =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s-third edition(K-Vineland-3) : domain level version of teacher form 박우람, 홍상황 p. 211-237

도식 기반 전략교수가 초등학교 수학학습부진학생의 분수 덧셈과 뺄셈 문장제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chema-based strategy instruction on fractional addition and subtraction word-problem solving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fficulties 이연경, 김애화 p. 239-263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행 인식 및 실행도 분석 = An analysis of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levels of implementation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조현주, 박윤정 p. 265-285

남북한 특수교육 용어 비교 = Comparison of special education terminology in North and South Korea 이영주, 이효신 p. 287-308

델파이 조사를 통한 뇌성마비아의 의사소통 능력 감별척도 개발 예비본 검증 = Preliminary verification of the development of cerebral palsy communication ability discrimination scale through Delphi survey 강경민, 김정완 p. 309-323

발달장애인을 위한 도시형 스마트팜 엽채류 재배 직무 수행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urban smart farm leaf vegetable cultivation job performance model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case study of Gachimandso in Gwangju regional center : 광주지역센터 가치만드소(所) 사례 배성환, 이지훈, 서승호, 백지영 p. 325-356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대옥, 강병일, 김기주, 김남진, 김창평 (2018). 특수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2 광명백과사전 편집부 (2011). 광명백과사전 7; 교육, 어학, 출판보도.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미소장
3 교육부 (2021). 2021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서울: 에프앤 미소장
4 국립특수교육원 (2018).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미소장
5 김동일, 배성직 (2001) 북한의 특수교육: 역사적 전개와 현황에 대한 이해. 특수교육연구, 08, 27-46 미소장
6 김동일, 이태수 (2007). 북한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2(3), 149-165 미소장
7 김락호, 배재선 (2017). 부정교합과 발음장애에 대하여. 치과, 안과, 이비인후과, 1(1), 32-33 미소장
8 김원경, 신진숙, 박현옥, 김용욱, 김미숙, 윤광보, ...홍종관 (2017). 특수교육학개론. 파주: 양성원 미소장
9 김정권, 김동극, 이상춘, 김승국, 원영조, 노재중, ...장병호 (2006). 한국 특수교육의 뒤안길에서.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미소장
10 도지인 (2021) 북한의 교육관·사제관계의 변화와 특징: 북한이탈주민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85, 5-50 미소장
11 로경희, 김송란 (2018). 침과 약물병합료법으로 청력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 고려의학, 1(1), 43-44 미소장
12 로경희, 박성 (2015). 현증관찰에 기초한 어린이자페증의 림상적특징에 대한 연구. 조선의학, 4(1), 42-43 미소장
13 로경희, 박은별 (2015). 어린이자페증의 진단. 조선의학, 1(1), 49-50 미소장
14 로경희, 전충호 (2017). 어린이자페증을 약물로 치료하기 위한 연구. 조선의학, 1(1), 42 미소장
15 리인숙, 박경선, 김경수 (2003). 발달이 지연된 어린이를 조기발견하기 위한 몇가지 지표에 대한 연구. 예방의학, 3(1), 29-30 미소장
16 림영학, 최혜숙 (2006). 유치원어린이들의 지능발달특성에 대한 연구. 예방의학, 3(1), 41-42 미소장
17 문현미 (2013). ‘정서·행동장애 정의, 진단, 분류에 대한 적절성 조사연구’에 대한 토의.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학술발표논문집. 99-107 미소장
18 박원희, 김기창, 김영일, 김영욱, 이은주, 신현기, ...양경희 (2017). 특수교육학. 파주: 교육과학사 미소장
19 왕정남, 조련희 (2017). 어린이전간환자들의 주요정신장애치료에 대한 연구. 소아, 산부인과, 1(1), 30-31 미소장
20 의학과학출판사 (2014a). 시력손상어린이들을 위한 몇가지 실천적문제.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1 의학과학출판사 (2014b). 장애와 관련하여 알아야 할 몇가지 상식.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2 의학과학출판사 (2014c). 절단환자들을 위한 몇가지 실천적문제.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3 의학과학출판사 (2016a). 뇌성마비.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4 의학과학출판사 (2016b). 발육조절장애.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5 의학과학출판사 (2016c). 발육지연.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6 의학과학출판사 (2016d). 자페증.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7 의학과학출판사 (2016e). 청력손상. 평양: 의학과학출판사 미소장
28 이경미, 변찬석 (2015).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의사관점 연구. 학습장애연구, 12(1), 145-177 미소장
29 이미선, 이경숙 (2021). 북한 아동기 발달장애 진단 및 지원 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52(1), 33-54 미소장
30 이미숙, 구신실, 노진아, 박경옥, 서선진 (2016) 특수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31 이상복 (2008). 개정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정서·행동장애 관련 교육 과제. 정서·행동장애연구, 24(4), 1-18 미소장
32 이상훈 (2013). ‘정서․행동장애’의 명칭과 정의에 대한 특수교육학적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9(3), 1-29 미소장
33 이승희 (2008). 전반적 발달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개념적 비교. 정서·행동장애연구, 24(3), 25-43 미소장
34 이승희 (2012). 정서행동장애 정의와 출현율의 개념 및 관계에 대한 체계적 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8(3), 37-58 미소장
35 이연숙, 한영선, 정영숙 (2016). 통일 대비 남북한 가정생활 용어 비교 분석: 소비자ㆍ가정경영 영역을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19- 140 미소장
36 이윤경 (2021). 생애주기의 연령기준과 연령규범에 대한 인식. 보건복지포럼, 293(1), 38-54 미소장
37 이효신 (2008). 영아기 자폐성 장애 선별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7(4), 65-90 미소장
38 이효신, 신윤희 (2013). 정서행동장애 정의⋅진단⋅분류에 대한 적절성 조사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9(3), 31-59 미소장
39 전정란 (2007). 남북 언어의 이질성과 통일과제. 중국조선어문, 2(1), 15-19 미소장
40 전정희, 김건희, 오승진 (2018). 남북한 간호학용어집. 서울: 대한간호협회 미소장
41 정용석 (2020). 특수교육학에서 발달장애의 정체성에 대한 일 연구. 발달장애연구, 24(4), 117- 140 미소장
42 조선말대사전 편집부 (2017). 조선말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미소장
43 조선장애자보호련맹 (2011-2017). 2011-2017년 년보. 평양: 조선장애자보호련맹 중앙위원회 미소장
44 한용운 (2008).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합할까. 내일을 여는 역사재단, 6(1), 118-126 미소장
45 DPRK (2018). Initial Repor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Pyongyang, DPRK.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