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헌(2019).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1137-1164. | 미소장 |
2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미소장 |
3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연구자료, ORM 2017-19-2. | 미소장 |
4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초·중학교 교사별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연구보고. | 미소장 |
5 | 김석우(2021). CBAM 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527-549. | 미소장 |
6 | 김석우, 김형란, 배가나, 장재혁(2022). 중학교 교사용 과정중심평가 전문성 척도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2), 411-428. | 미소장 |
7 | 김석우, 장카이, 서원석(2021). 중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IPA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429-441. | 미소장 |
8 |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231-251. | 미소장 |
9 | 김유정, 이경건, 장원형,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T-PEC)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99-121. | 미소장 |
10 | 김유정, 이경건, 홍훈기(2019).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역량에 관한 사례 연구-중·고등학교 과학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과학교육학회지, 39(6), 695-706. | 미소장 |
11 |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 미소장 |
12 | 박정(2019).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 32(3), 421-440. | 미소장 |
13 | 박지현, 조지민, 진경애, 김수진, 이재봉, 배주경, 김현정, 박종임, 이상아, 배화순, 이소연, 이동욱(2018). 초·중학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강사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 KICE RRE 2018-5. | 미소장 |
14 | 박지현, 진경애, 김수진, 이상아(2020). 단위학교의 과정 중심평가 운영 지표 개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2), 157-181. | 미소장 |
15 | 반재천, 김선, 박정, 김희경(2018).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105-130. | 미소장 |
16 | 손준호(2018). 과정중심평가가 반영된 백워드 설계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2), 90-106. | 미소장 |
17 | 신정윤, 박상우(2021). 초등 과학과 과정중심평가문항 예시 자료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40(2), 191-209. | 미소장 |
18 | 신혜진, 안소연, 김유원(2017).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 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2), 135-162. | 미소장 |
19 | 유선아, 곽영순, 양성호(2018). 학습발달과정에 근거한 과정중심 STEAM 역량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2(2), 132-147. | 미소장 |
20 | 이경화, 고은성, 신보미, 이동환, 김선희, 강현영, 이환철 (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 미소장 |
21 | 이현주, 백종민, 곽영순(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행 및 어려움에 대한 인식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4(2), 133-144. | 미소장 |
22 | 임은영, 이인화, 김유향, 심현표(2018). 교사별 학생평가 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75-104. | 미소장 |
23 | 임종헌, 최원석(2018). ‘과정중심평가’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연구: 자유학기제 ‘과정중심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45(3), 31-59. | 미소장 |
24 |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KEDI CP-2016-02-4. | 미소장 |
25 | 전성수(2019).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과정 중심평가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38(1), 16-30. | 미소장 |
26 | 전현욱, 이형연(2019). 과정중심평가 수행 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경기도 초록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123-154. | 미소장 |
27 | 정수경(2017).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5(3), 249-269. | 미소장 |
28 | 최상호, 이동근, 김동중(2017). 과정중심평가 친화적 교사 교육과 평가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33(2), 1-23. | 미소장 |
29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8). 중학교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이렇게 하세요(과학과). | 미소장 |
30 | Swaffield, S. (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433-44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