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이경숙 ; 김희규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교사 셀프리더십 4

2. 교사 임파워먼트 5

3. 학교조직효과성 5

Ⅲ. 연구 방법 7

1. 연구 대상 7

2. 측정 도구 및 자료 분석 7

Ⅳ. 연구 결과 10

1. 측정변인의 기술 통계 10

2. 상관관계 분석 12

3.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13

4. 매개변인의 효과 검증 17

Ⅴ. 결론 및 제언 20

참고문헌 22

ABSTRACT 26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표는 교사 셀프리더십이 교사 임파워먼트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구성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광역시 소재 초ㆍ중등학교 교사 7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 셀프리더십은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한 교사 셀프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사 셀프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257(p<.001)이고 교사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543(p<.01)으로 나타나 교사 셀프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서 교사 임파워먼트가 부분매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셀프리더십을 통한 학교조직효과성의 향상을 위해 교사 임파워먼트의 제고 방안을 모색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주체성, 학교 교육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한다는 의식을 키울 수 있도록 학교 현장의 구조와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이즈너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른 수업 평가 준거 탐색 = A study on the teaching evaluation criteria by Eisner’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권채리, 조호제 p. 1-25

보기
디지털휴먼 대화유형이 정서 및 주의집중에 대한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versational style with digital human on learning experience of emotions and attention 김국현, 류지헌, 이선옥 p. 27-49

보기
대학원생 직업적성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job aptitude scale for graduate students 김보영, 정수정, 김유겸 p. 51-72

보기
교사학습공동체 평가준거체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evaluation system for teachers' learning community 김하정, 원효헌 p. 73-101

보기
교사 셀프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경숙, 김희규 p. 103-128

보기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 = Investigating longitudinal chang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이지수, 안현선 p. 129-149

보기
개화기 송당 김성희의 언론활동과 교육관 = A study on Kim Sung-Hee's educational thoughts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1881-1910) in Korea 전민호, 신현정 p. 151-175

보기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역량 우선순위 분석 = An analysis of priorities for AI-digi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정주영, 김희규, 주영효 p. 177-203

보기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text mining 조남옥, 조규락 p. 205-224

보기
Satisfied and working hard in online courses =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성취목표가 학습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만족도 및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chievement goals mediated by classroom sense of community YoonJung Cho, Sungok Serena Shim, Elena Son p. 225-247

보기
정책실패 예방 관점에서의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local talent investment 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failure prevention : implic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 :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주는 시사점 주휘정, 김택형 p. 249-280

보기
교육과정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주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topics for a conceptual approach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한진호, 임유나, 최한올 p. 281-311

보기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현민영, 임다미, 정슬기, 최고은, 김대권, 박인우 p. 313-338

보기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수(2007).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팔로워십 및 학교장 신뢰가 학교조직효과성에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 강대술(2021).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신라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강희경(2011). 학교장의 자율성과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 고병면(2017). 교장·교감의 변혁적 리더십, 학년 부장교사 리더십, 교사 셀프리더십, 동학년 교사 팀웍,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5 고영미, 유영의(2014). [셀프 리더십] 강좌가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541-560. 미소장
6 김동심, 정수인(2017). 공립 대안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 무만족도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35(3), 151-177. 미소장
7 김민환(2002). 교사의 임파워먼트 결정 요인 및 개인 특성과 학교 특성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 29(1), 1-29. 미소장
8 김민환(2006). 교사들의 임파워먼트와 학교 및 교직 헌신간의 관계에 관한 학교문화의 조절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학회, 6(1), 45-65. 미소장
9 김성주(2017).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0 김은숙(2015). 사회복지기관의 혁신풍토가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과 심리적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 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김희규(2010).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효과성과의 관계.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4(1), 19-41. 미소장
12 김희규(2015). 「학교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행정체계의 구축」에 관한 토론.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5-210. 미소장
13 류운석(2006).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도덕적 지도성과 교사의 조직헌신도와의 관계. 한국교육, 33(1), 131-152. 미소장
14 박상완(2009). 학교장의 지도성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1988-2008). 교육행정학연구, 27(1), 349-378. 미소장
15 박원우, 김재원, 최혜원(2003). 레벨이슈(Level Issue)의 의미, 현상 및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11(2), 199-233. 미소장
16 박희경(2014).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박희경, 이성은(2014).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관계. 열린교육연구, 22(2), 145-163. 미소장
18 백현, 김용순(2010). 여행사 종사원의 셀프리더십, 태도 및 고객지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5), 398-406. 미소장
19 송기성(2004). 스포츠산업,경영학 : 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3(4), 565-576. 미소장
20 송정수, 양필석(2008). 셀프리더십과 혁신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관한연구. 인력개발연구, 10(1), 223-246. 미소장
21 오영재(1997). 학교조직 효과성 측정모형의 이론적설계. 교육문제연구, 9, 117-136. 미소장
22 오정재(2013). 초등학교 교장·교감의 지도성 결합유형, 교사의 성숙도,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오정재, 이윤식(2013). 초등학교 교장ㆍ교감의 지도성 결합유형, 교사의 성숙도,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 교육행정학연구, 31(4), 75-104. 미소장
24 유평수(2012).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와 헌신도가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10(2), 207-229. 미소장
25 윤수진(2020). 학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신라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윤창근(2009). 교장의 수업지도성이 학교의 교수.학습풍토 및 교사의 교수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이미영(2020).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장 신뢰, 직무만족의 구조적관계.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28 이미영, 임명희(2019). 중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교육종합연구, 17(4), 19-41. 미소장
29 이정란(2014).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 팔로워십과 교사 컬리그십의매개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0 이정봉(2019). 셀프리더십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1 장영숙(2015). 유치원 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 교사리더십 및 교직헌신 간의 인과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159-179. 미소장
32 정우진(2009). 교사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변혁적지도성, 협동문화,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289-310. 미소장
33 정태연, 김미애, 양희옥(20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셀프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의 구조관계 분석. 관광경영연구, 17(3), 363-388. 미소장
34 정하보, 이정열. (2012). 교사의 셀프리더십, 팀웍, 교수효과성, 업무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51-276. 미소장
35 조부경, 서윤희(201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219-247. 미소장
36 조용선, 정동욱(2018). 학교조직 진단 모형 구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753-770. 미소장
37 주영효, 김규태(2009). 분산적 지도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7(2), 25-54. 미소장
38 주현준, 김갑성(2015). 교사리더십 특성에 기초한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199-217. 미소장
39 주현준, 김태연, 남지영(2012). 교사의 지도성과 학교효과성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119-141. 미소장
40 지성호, 강영순(2015). 셀프리더십 구성개념의 위계와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구조적 관계. 리더십연구, 6(4), 24-44. 미소장
41 채정연(2020). 교직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공정성 인식이 교직헌신에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2 최상균(2012).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의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3 Blase, J., & Blase, J. R.(2001). Empowering teachers what successful principals do(2nd ed.). Thousand Oaks, CA:Corwin Press. 미소장
44 Clauset Jr, K. H., & Gaynor, A. K.(1982). A Systems perspective on effective schools. Educational Leadership, 40(3), 54-59. 미소장
45 Conger, J. A., & Kanungo, R. N.(1988).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71-482. 미소장
46 Covey, S. R.(2010).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The 7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김경섭 역). 서울: 김영사(원저, 1994 출판). 미소장
47 Cunningham, W. G., & Gresso, D. W.(1993). Cultural leadership: The culture of excellence in education. Boston: Allyn&Bacon. 미소장
48 Good, T. L., & Brophy, J. E.(1986). School effects.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49 Houghton, J. D., & Neck, C. P.(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미소장
50 Manz, C. C.(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미소장
51 Manz, C. C., & Sims, H. P.(1980). Self-Management as a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361-367. 미소장
52 Marques-Quinteiro, P., Curral, L. A., & Passos, A. M.(2012). Adapting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o the Portuguese context.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8(3), 553-564. 미소장
53 Neck, C. P., & Houghton, J. D.(2006).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270-295. 미소장
54 Prussia, G. E., Anderson, J. S., & Manz, C. C.(1998).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5) 523-538. 미소장
55 Quinn, R. E.(1988). Beyond rational management: Mastering the paradoxes and competing demands of high performance. San Francisco: Jossey-Bass. 미소장
56 Scheerens, J.(2000). Improving school effectiveness. Fundamentals of Educational Planning, 68, 5-137. 미소장
57 Sergiovanni, T. J.(1996). Leadership for the schoolhouse. San Francisco: Jossey Bass Publishers. 미소장
58 Short, H.(1994). Ownership, control, financial structure and the performance of firms. Journal of Economic Surveys, 8(3), 203-249. 미소장
59 Short, P. M., & Rinehart, J. S.(1992).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951-960. 미소장
60 Spreitzer, G. M.(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442-465. 미소장
61 Verdugo, R. R., & Schneider, J. M.(2005). School quality, safe schools: an empirical analysis REICE. Revista Iberoamericana sobre Calidad, Eficacia 미소장
62 Yun, S., Cox, J., & Sims Jr, H. P.(2006). The forgotten follower: A contingency model of leadership and followe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1(4), 374-38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