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 현민영 ; 임다미 ; 정슬기 ; 최고은 ; 김대권 ; 박인우 1
요약 1
Ⅰ. 서론 2
Ⅱ. 이론적 배경 4
1. AI·디지털 기반 수업의 정의 4
2. AI·디지털 기반 수업 운영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4
Ⅲ. 연구 방법 6
1. 연구대상 6
2. 연구절차 7
3. 자료 분석 방법 8
Ⅵ. 연구 결과 9
1. 수업의 정의 9
2. 디지털 활용 역량 11
3. 학습자료 및 환경 14
4. 정책적 지원 17
Ⅴ. 논의 및 결론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민수·김건우·신예은·김대권(2022).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실재감과 몰입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35, 83-116. | 미소장 |
2 | 교육부(2020a). 미래교육 전환 10대 정책과제. https://if-blog.tistory.com/11191 (2023.08.01. 인출). | 미소장 |
3 | 교육부(2020b). 인공지능, 학교 속으로!-인공지능(AI), 초등 수학 공부 도우미로, 고교 진로 선택 과목으로 도입-.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81918&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5&s=moe&m=020402&opType=N (2023.07.30. 인출). | 미소장 |
4 | 교육부(202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 미소장 |
5 | 교육부(2023.02.23.). 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교육으로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시대' 연다. 교육부 자료. | 미소장 |
6 | 김명희·유영의(2022). 인공지능 (AI) 기반 적응형 학습을 적용한 토익수업의 학업성취 효과 및 영향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3), 267-280. | 미소장 |
7 | 김성준·허경·정인기·박선주·심재권(2023). 초등교원의 맞춤형 AI·디지털 연수 내용 설계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7(2), 199–210. | 미소장 |
8 | 김진아·소애진·김현지(2021). 수업 설계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방법연구, 33(4), 655–681. | 미소장 |
9 | 김현진·박정호·홍선주·박연정·김은정·최정윤·김유리(2020).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6(3), 905–930. | 미소장 |
10 | 박찬솔·김성애·김성원·홍지연·박정호(2023). 인공지능(AI) 교과 융합 수업 설계를 위한 AI-TPACK 모델기반 초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6(3), 15–29. | 미소장 |
11 | 부산광역시교육청(2019). 인공지능 기반 교육 가이드북 (부산교육 2019-130). | 미소장 |
12 | 양은별·류지헌(2021). 메타버스 학습환경에서 동료와 교사 아바타가 학습실재감과 시각적 주의집중에미치는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7(4), 1629-1653. | 미소장 |
13 | 이동국·이은상(2022).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에 관한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8(3), 821–842. | 미소장 |
14 | 이동국·이은상·이봉규(2021). 인공지능(AI) 활용 교육을 위한 교사 역량 도출 연구 (충북 2021-65).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 미소장 |
15 | 이소영·이상일·김세창(2023).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연수 수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7), 743–759. | 미소장 |
16 | 이수영(2020). AI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인식. 한국초등교육, 31, 15–31. | 미소장 |
17 | 장지영(2021). 메타버스(Metaverse)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게더타운(Gather.town)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32(4), 279-301. | 미소장 |
18 | 정재원·강성국·김은영·박효원·손찬희·정광희·남창우·신윤희(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방안: 초등교육 중심으로 (RR 2021-13).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19 |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2). 에듀테크 수업 활용 가이드북 (TL 2022-07). | 미소장 |
20 | 한우진·김은영·이상수(2021). 수업설계에서의 AI 활용에 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4), 859–875. | 미소장 |
21 | 한형종·김근재·권혜성(2020).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7). | 미소장 |
22 | 홍선주·조보경·최인선·박경진·김현진·박연정·박정호(2020). 학교 교육에서의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RRI 2020-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23 | 홍지연·김성애·김성원·박찬솔·박정호(2023). 예비교사를 위한 모듈형 AI 기초 소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6(3), 83-91. | 미소장 |
24 | 황영식·김희규·신형석·주영효 (2023). 초·중등학교 교사의 AI·디지털 공통역량에 관한 조작적 정의 및하위역량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41(2), 227-253. | 미소장 |
25 | Harati, H., Sujo-Montes, L., Tu, C. H., Armfield, S. J., & Yen, C. J.(2021). Assessment and Learning in Knowledge Spaces (ALEKS) Adaptive System Impact on Students’ Percep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Education Sciences, 11(10), 603. | 미소장 |
26 | Holmes, W., Bialik, M., & Fadel, C.(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romis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 미소장 |
27 | Krueger, R. A. & Casey, M. A.(2014).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5th ed.).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28 | Miles, M. B., Huberman, A. M., & Saldana, J.(2018). Qualitative data analysis: A methods sourcebook.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 미소장 |
29 | Mishra, P., & Koehler, M. J.(2006).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framework for teacher knowledge. Teachers college record, 108(6), 1017-1054. | 미소장 |
30 | UNESCO (2019, Aprill 3). CENTURY, an AI-powered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 Retrieved July 30, 2023, from https://en.unesco.org/news/CENTURY-ai-powered-teaching-and-learning-platfor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