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구강간호 실태 및 치과위생사의 협력진료 요구도 = The status of nurses's oral care practices and dental hygienist's medical cooperation needs for inpatients / 이태림 ; 임나연 ; 권수희 ; 차은숙 ; 최서정 ; 정금비 ; 곽은비 1

[요약] 1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 2

2. 연구도구 2

3. 자료분석 2

Ⅲ. 연구결과 2

1. 일반적 특성 2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간호 교육 경험 및 주관적 지식 정도 2

3. 구강간호 교육지침서 유무 및 구강간호 수행도 4

4. 구강간호 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구강간호 수행 및 주관적 지식 정도에 대한 차이 4

5. 대상자의 구강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6. 치과와 구강간호 공동접근 및 전담 치과위생사 구강관리 형태 4

7. 치과위생사가 구강간호에 참여함으로써 기대하는 효과 및 구강관리 요구도 5

Ⅳ. 고찰 6

Ⅴ. 결론 7

REFERENCES 7

초록보기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basic data to prove the need for dental hygienists through the cooperation of dental hygienists, who are oral care exper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nurses who perform nursing work in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 wards located in Busan, and Ulsan.

Results: As a result of the oral nursing performance of the subjects with educational experience was higher on average than the subjects without educational experienc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experience had an effect on performing oral ca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oral care the participation of dental hygienists specializing in oral care is required, and it is thought that systematic education on oral care of nursing personnel is necessar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구강간호 실태 및 치과위생사의 협력진료 요구도 = The status of nurses's oral care practices and dental hygienist's medical cooperation needs for inpatients 이태림, 임나연, 권수희, 차은숙, 최서정, 정금비, 곽은비 p. 1-7

보기
직장 내 괴롭힘이 치과위생사의 업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dental hygienists' competency at work 신명숙, 전미경, 이선미 p. 8-16

보기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tress on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강현주 p. 17-23

보기
학생 치과주치의제도 거버넌스 평가와 함의 = Governance evalu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family dentist system for the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손창우, 김정아, 이선주 p. 24-35

보기
일부 성인의 일반적 저작계 특성에 따른 최대교합력 분석 = Analysis of maximum occlusal force according to general and masticatory characteristics in some adults 윤정원, 박정희, 이하원, 김수련, 유수빈 p. 36-42

보기
한국 청소년의 코로나 19 이후 일상생활 변화와 구강건강실천과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daily habits and oral health practices in Korean adolescents after COVID-19 박신영 p. 43-49

보기
치과위생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ole stress on dental hygienist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 전문직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백지민, 지재훈 p. 50-57

보기
COVID-19 이후 청소년의 신체활동 변화와 구강 증상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oral symptoms and physical activity after COVID-19 among adolescents 김영숙, 민희홍 p. 58-64

보기
중환자실 구강간호 교육 및 전담인력의 필요성 = Oral nursing educ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the need for dedicated personnel 김나윤, 김슬기, 장보명, 고예희, 오세윤, 김보람 p. 65-74

보기
우리나라 폐경여성의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치과치료여부와의 관련성 =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e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menopausal women in Korea 한여정 p. 75-82

보기
치경부 마모 환자의 칫솔질 교육을 통한 행동변화 정도와 만족도 = Effects of brushing education on behavioral change in patients with cervical abrasion 여지현, 이병호, 이민경, 김혜진 p. 83-90

보기
치위생과 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terpersonal ability and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stress 유은지, 이혜진 p. 91-97

보기
치위생학 학제일원화를 위한 인식조사 분석 = Awareness survey analysis for interdisciplinary unification of dental hygiene 이선미, 성미경, 김창희, 손정희, 문희정, 임미희, 최성미, 강현경, 구효진, 강용주, 이민경, 황선영, 김영임 p. 98-106

보기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Influencing factors on self-efficacy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on resilien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박영남, 이혜진 p. 107-113

보기
설포라판과 라스베라트롤의 병용투여가 흰 쥐의 안면부 통증조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mbined administration of sulforaphane and resveratrol on orofacial pain control in rats 박민경, 천세희, 김경민, 김혜진, 이민경 p. 114-119

보기
칫솔질 방법에 따른 대상자의 주관적 효과와 구강상태의 전후 차이 = Differences between subjective effects and oral conditions of subjects according to brushing methods 김혜진, 김경민 p. 120-126

보기
부산·경남 지역 치과위생사들의 전신질환 지식수준, 응급상황 대처 인식 수준 및 교육요구도의 관련성 = Relevance of dental hygienists knowledge of systemic diseases, awareness of emergency response, and educational needs in Busan and Gyeongnam gegions[실은 regions] 김소영, 김혜진, 이민경, 윤현서 p. 127-135

보기
치간칫솔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문헌고찰 = A study on the literature for effective use of interdental brush 김혜진, 김경민, 유진실 p. 136-143

보기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oi SH, Jang JE, Lee CH: Some hospitals and ICU nurses awareness of oral health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7(4):205-219, 2013. DOI: 10.12811/kshsm.2013.7.4.205 미소장
2 Eiler J, Million 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ral mucositis in patients with cancer. In Seminars in Oncology Nursing, 23(3):201-212, 2007. DOI: 10.1016/j.soncn.2007.05.005 미소장
3 Ajwani S, Mattila KJ, Tilvis RS, Ainamo, A: Periodontal disease and mortality in an aged population. Special Care in Dentistry, 23(4):125-130. 2003DOI: 10.1111/j.1754-4505.2003.tb00297 미소장
4 Tablan OC, Anderson LJ, Besser R, Bridges C, Hajjeh R: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Recommendations and reports 53(3):1-36, 2004. URI: https://stacks.cdc.gov/view/cdc/11406/cdc_11406_DS 1.pdf 미소장
5 Angela MB, Patricia MD, Janet M, Kaye R: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oral hygiene practices for intensive care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6):552-562, 2007. DOI: 10.4037/ajcc2007.16.6.552 미소장
6 Choi KB, Mo HS, Kim JS: Survey of oral health care practices for intubated patients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Health & Nursing 21(1):1-12, 2009. UCI I410-ECN-0102-2012-690-000205433 미소장
7 Kim SM: Comparison of oral care status during adult daily life and hospitalization.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20. DOI: 10.1111/idh.12613 미소장
8 Choi SM: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ral health care on oral health states of long-term care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Daegu, 2017. DOI: 10.5762/KAIS.2014.15.8.5062 미소장
9 Lee YJ: Oral health care practices for hospitalized pati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7. DOI: 10.3390/healthcare10010115 미소장
10 Ahn JH: Development of an oral care protocol for critical care pati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354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