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성불과 불교문화를 보다 본격적인 비교 텍스트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으로 삼는 이야기는 한국 『三國遺事』의 〈감통편: 郁面婢念佛西昇〉과 베트남 『嶺南摭怪列傳』의 〈만랑전〉에 대한 비교 고찰이다. 그간의 비교 연구가 다소 거시적이고 인상 비평에 머물렀다면, 본 연구는 텍스트 자체에 대한 미시적인 문화비교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서사가 비교의 논리적 근거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세 가지 측면이다. 첫째, 낮은 계층인 여성과 높은 계층인 남성의 문화 이분화가 드러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둘째, 『三國遺事』의 욱면과 『嶺南摭怪列傳』의 만랑이 모두 신성성을 보이면서 성불한다는 점을 살폈다. 그들의 성불 과정에는 성스러움을 드러내는 히에로파니(hierophanie)가 공통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셋째, 욱면과 만랑이 궁극적으로 도달한 지점이 남성성과 여성성이 결합된 상징적 부처이미지로 양성성을 보여주는 부처되기임에 주목했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아우르는 양성성의 의미는 엘리아데와 버지니아 울프의 개념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과 베트남의 신화서에 등장하는 여성 성불과정을 살펴보면서 두 나라에서 불교문화 속 여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해석해보았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무경 , 박희병 옮김,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 - 영남척괴열전』, 돌베개, 2000. | 미소장 |
2 |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민음사, 2002. | 미소장 |
3 | 구가인, 『백의민족 : 베트남과 한국의 고대사, 그 영겁의 시간을 넘어』, 지식공감, 2013. | 미소장 |
4 | 김영순,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북코리아, 2013. | 미소장 |
5 | 미르치아 엘리아데, 강응섭 옮김, 『신화 〭 꿈 〭 신비』, 도서출판 숲, 2006. | 미소장 |
6 |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은봉 옮김, 『성과 속』, 한길사, 2006. | 미소장 |
7 |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옮김, 『메피스토펠레스와 양성인』, 문학동네, 2008. | 미소장 |
8 | 송정남, 『베트남 사회와 문화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 미소장 |
9 | 유인선, 『(새로 쓴) 베트남의 역사』, 이산, 2002. | 미소장 |
10 |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 소명출판, 2013. | 미소장 |
11 | 임진호, 『(용의 후예)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 지성人, 2014. | 미소장 |
12 | 전혜경, 『한국 베트남 설화 비교 연구』, 문예림, 2006. | 미소장 |
13 | 고동, 「선묘(善妙) 설화와 베트남 만랑(蠻娘) 설화의 비교 연구」, 『인문학연구』 60,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 미소장 |
14 | 김병권, 「「욱면비면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 연구」, 『퇴계학논총』 34,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 미소장 |
15 | 레 찌 꾸에, 「베트남 전설의 양상」, 『비교민속학』, 비교민속학회, 2000. | 미소장 |
16 | 박다원, 「『삼국유사』 구도설화에 나타난 하층민의 구도 양상과 그 의미」, 『국학연구논총』21, 택민국학연구원, 2018. | 미소장 |
17 | 박서연, 「수행불교로서의 염불결사에 관한 연구-신라 중대(中代)를 중심으로」, 『불교학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 미소장 |
18 | 서철원, 「『三國遺事』에 나타난 비현실적 존재와의 만남」, 『고전과 해석』32,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0. | 미소장 |
19 | 신은경, 「「삼국유사」 소재 ‘郁面婢念佛西昇’에 대한 페미니즘적 조명」, 『여성문학연구』 27,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 미소장 |
20 | 응우옌티타잉쑤언, 「베트남 신화, 전설, 민담 속의 여성」, 『東南亞硏究』 10,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0. | 미소장 |
21 | 이지환,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 텍스트의 상보적 서술 양상에 대한 전체론적 해석」, 『한국고전연구』 51,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 미소장 |
22 | 이한우, 『베트남 한류를 보는 한국과 베트남의 시각』, 이매진, 2013. | 미소장 |
23 | 이현주, 「신라의 ‘여인왕생’ 인식과 의미 -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조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107, 한국역사연구회, 2017. | 미소장 |
24 | 정환국, 「베트남 불교 서사의 성격」, 『한국어문학연구』 63, 동악어문학회, 2014. | 미소장 |
25 | 조승미,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와 티벳 밀교 전기문의 비교 -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의유사성을 중심으로」, 『불교학보』 100,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 미소장 |
26 | 최귀묵, 「만랑전(蠻娘傳)에 나타난 신불(神佛)관계론」, 『동남아연구』 31-2,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21. | 미소장 |
27 | 최빛나라, 「베트남 관음신앙(觀音信仰)의 특징 연구- 관음 유래담(由來談)을 중심으로」, 『베트남연구』 17, 한국베트남학회,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