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평안도 지역을 대상으로 어교 생산지와 생산지 별 산출 어교에 관해 검토를 진행한 것이다.
어교 생산지는 『세종실록』지리지에서 어교를 공물로 분정한 지역 이외에 다양한 군현이 생산지로 파악, 상정되었다. 즉 바다 혹은 하천에 인접한 군현을 중심으로 적지 않은 군현이 어교 산출지로 확인되거나 산출 가능성이 큰 지역으로 상정되었다.
군현별 산출 어교는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석수어교와 민어교의 산출 가능성을 가장 적극 상정케 했다. 아울러 은구어교, 오교, 어타 등 기타 어교의 산출 가능성도 기대케 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어교가 공물로 분정된 군현 이외에 다양한 지역에서 전개된 평안도 지역 어교 생산은 무엇보다도 경상, 전라, 충청 지역에 이어 조선시대 어교 생산의 토대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즉 기존 연구에서 인식된 것보다 훨씬 많은 지역에서 전개된 어교의 산출은 조선시대 어교 생산의 토대가 기대보다 견고했음을 인식케 했다. 특히 평안도 지역의 경우 각 도에 부과된 어교 분정 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어교 생산지로서 적극적 인식에 많은 한계를 갖게 했는데 이러한 관점 역시 일정량 재고케 했다. 아울러 어교에 대한 각 지역의 공적 수요뿐만 아니라 민간에서의 사적 수요에 대한 공급 기반 및 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기초를 제공했다. 나아가 각 지방에서 중앙에 공납한 어교의 종류를 일괄하여 하나의 종류 혹은 시선으로 이해하거나 해석하려는 관점을 지양케 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世宗實錄 地理志 | 미소장 |
2 | 東國輿地勝覽 | 미소장 |
3 | 新增東國輿地勝覽 | 미소장 |
4 | 輿地圖書 | 미소장 |
5 | 關西邑誌(1871) | 미소장 |
6 | 關西邑誌(1895) | 미소장 |
7 | 한국학문헌연구소, 邑誌 14평안도(한국지리지총서), 아세아문화사, 1986. | 미소장 |
8 | 김동수, 「세종실록 지리지의 연구-특히 物産・戶口・軍丁・墾田・姓氏項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미소장 |
9 | 김동수, 「世宗實錄 地理志 물산항의 검토」, 역사학연구 12, 1991. | 미소장 |
10 | 김병모, 「국가 수취 대상으로서 조선시대 膠의 분류」, 동아시아고대학 64집,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 미소장 |
11 | 김병모, 「조선시대 교(膠)의 명칭 분화와 제조・생산된 교의 종류」, 동방학 4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 미소장 |
12 |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미술문화연구 24, 동서미술문화학회, 2022. | 미소장 |
13 |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68, 동아시아고대학회, 2022. | 미소장 |
14 | 김병모, 「조선시대 어교(魚膠) 생산지와 산출 어교-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동방학 47,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2. | 미소장 |
15 | 소순규, 「世宗實錄 地理志를 통해 본 朝鮮初 貢物 分定의 실제와 특성-厥貢, 土貢, 土産 항목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161, 한국사연구회, 2013. | 미소장 |
16 | 신 학, 「동양회화에서의 아교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