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의 목적은 조지아오키프(Georgia O'Keeffe) 작품에 나타난 모티브의 선적 특성과 컬러를 활용하여환타지메이크업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냄으로써 뷰티디자인의 창의적인 표현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전문자료를 통해 환타지메이크업의 특성과 조지아오키프의 생애 및 작품을 살펴보았고, 실증적 연구를 위해서는 조지아오키프의 작품을 분석하고 해당 모티브로 하여 환타지메이크업 디자인을 일러스트로 창작하였다. 연구결과, 조지아 오키프의 Autumn Tree-The Maple 작품에 나타난나무 뿌리의 블랙 파상선을 모티브로 하여 생명감이 강조되도록 변형하거나 단순화시켜서 표현하였다.

Red Canna 작품에서는 꽃잎의 반복되는 컬러를 모티브로 하여 회귀하는것이라 해석하여 단순화 시켰다. Music-Pink and Blue 작품에서는 음악적 율동성을 모티브로 하여 확대되는 파장을 강조하기 위해유사색상과 파상선으로 하여금 넓게 퍼지듯 어우러지도록 표현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재에서의 연결어미 기술과 교육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description and educa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textbook 왕효동, 이래호 p. 13-23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 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research at overseas universities 김선경, 구민지 p. 41-51
게더타운을 활용한 독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he Dokd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Gather.town 한지수, 박영주, 박송이, 최선주 p. 65-78
플립드러닝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articipants in flipped learning : A대학 사례 김미경, 권미애 p. 135-144
대학에서의 인공지능 기반 학습보조시스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지원 모델 도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models for the utilization of AI-based learning assistance systems in universitie[s] 이가영, 허선영, 지현경, 김명선, 김민지 p. 181-191
인공지능 교양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과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성 =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AI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홍준성, 윤혜경 p. 209-221

인제대학교 진로교육과정 개편 현황과 전망 =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career curriculum reorganization in Inje University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rse : 진로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강미영, 권도연 p. 239-252
테라피실무 교과목의 문제중심수업(PBL) 사례 연구 = PBL teaching case study of therapy practice course 임주하, 전해정 p. 253-261
K-예능 <피지컬: 100>의 구성적 특징과 한국적 스토리텔링 = Format characteristics and Korean storytelling of K-reality show <Physical: 100> 전영진, 김공숙 p. 417-433
퍼스의 기호학적 방법론을 통한 뱅크시 작품 분석 = A study on the analysis of Banksy’s artworks through the Peirce’s semiotic methodology : focused on the graffiti works : 그래피티 작품을 중심으로 사환규, 전혜정 p. 461-473
현대적 퓨전 국악을 활용한 교육이 문화 이해와 습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modern fusion Gugak on cultural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 focusing on Pansori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판소리 교육을 중심으로 천영순, 이찬규, 최용림 p. 485-500
여성의 난민에 대한 감정과 태도 = Women’s emotion and attitude toward refugees : a qualitative study on women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 국내 수도권 거주 여성 대상 질적 연구 전재은, 김형렬 p. 529-547

수도권 지역문화재단 사업부서 담당자의 직무분석 연구 = A study on job analysis of project manager of cultural found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 최지혜, 김정원 p. 601-611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성의 결혼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rried life experiences of Korean men married internationally 박미숙, 최정호 p. 613-626
인문융합치료학의 자기치유에 관한 개념화 연구 = A conceptual study on self healing in humanities therapy : 초점 집단토론(FGD) 방법을 중심으로 김도경, 김영순 p. 627-642
한국 성인을 위한 갈등관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cale to measure conflict-management competency of Korean adults 장은하, 조대연 p. 643-656

집단미술치료가 경력단절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career-interrupted women 어은경, 김영아 p. 671-679
요가수련자의 그릿이 마인드셋과 수련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grit, mindset and intention to continue training of yoga participants 이지설, 김국화 p. 681-689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indset on resilience :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controlling effect of academic efficacy : 그릿의 매개효과와 학업적효능감의 조절효과 박송이, 정덕현 p. 691-703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한국어 표준교재와 EPS TOPIK 읽기 공개 문제의 연계성 검토 및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ssue of EPS TOPIK reading disclosed questions and the Korean standard textbook for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김태은 p. 1-11
'순례명상’ 개념 정의를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to define the concept of ‘pilgrimage meditation’ 염중섭, 손강숙, 신방현, 문진건, 정소미 p. 705-718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 역사문화 교육의 실제와 개선 방안 = Reality and improvement of Korean historical culture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송시내 p. 25-40
AISAS모델을 활용한 관광지 숏폼(Short-form) 광고가 SNS 관광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hort-form advertising on SNS tourism marketing using the AISAS model 박영광, 이승곤 p. 747-760
수출성과 영향 요인과 지식공유 의도 간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performance influencing factors and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김유경, 김한집 p. 793-809
한·중 대등합성어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equivalent compound words in Korean and Chinese : focusing on the semantic relationships of the components :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를 중심으로 전정 p. 53-64
독서매체에 따른 소설 읽기가 사회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 Comparison of the effect of fiction reading on social cognition according to reading media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정, 이유정 p. 839-852
영어시험 학습서에 나타난 문법 분류 체계와 용어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grammar categorization and grammar terms in TOEIC textbooks 이지연 p. 869-878

로블록스를 활용한 디지털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현상 = A study on the phenomenon in development of digital art therapy program using Roblox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site to prevent burnout of new nurses : 신입간호사의 소진 예방을 위한 개발 현장을 중심으로 이현정 p. 79-97
대학생의 공동체의식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소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consumption in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sense of community on consumer happiness :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 외로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명숙 p. 879-891
증강현실을 활용한 클래식 음악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measures to activate classic music using augmented reality 박주연 p. 99-108
비교과 프로그램이 학습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parative program on improving learning capabilities : focusing on the case of university A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전현옥 p. 893-905
텍스트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웹툰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tical study on the trend of webtoon research using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나윤빈 p. 109-120
조지아오키프 작품을 모티브로 한 환타지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ntasy makeup illustration with the motif of Georgia O'Keeffe's work 박정신 p. 907-917
뉴미디어 매체전환에 의한 K-pop의 특성변화 고찰 = A study on the changing characteristics of K-pop with the turns of new media technology 김명진 p. 121-134
한국어 교사의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직무도전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teacher’s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job challenge 장은미 p. 919-928
2010년대 한국형 블록버스터 영화로 본 내셔널리즘 형상화 연구 = A study on the shape of nationalism as a Korean blockbuster movie in the 2010s 전지은 p. 929-944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학습 만족도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nfluence of learning satisfaction in capstone design subject on career-readiness behavior of undergraduates 강지연 p. 145-154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문제해결능력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the core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김세온, 전해정 p. 945-956
생성형 인공지능과 '프롬프토그래피’의 집단무의식 = Collective unconsciou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mptography’ : focusing on Boris Eldagsen's Pseudomnesia: The Electrician controversy : 보리스 엘닥센의 <허위기억: 전기기술자> 논란을 중심으로 신홍주 p. 957-966
대학 교양수업에서 메타버스 아바타 커스터마이징을 활용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수업 적용과 탐색 = Application and exploration of digital storytelling through metaverse avatar customization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courses : the impact on digital efficacy and learner experience and perception : 디지털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 경험 및 인식을 중심으로 김수연 p. 155-179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난 반복의 기능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s of repetition in the YouTube discourse of North Korean defectors : focusing on <Yoon Seolmi TV, a Joint Area of North and South Korea> : <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를 중심으로 조위수 p. 967-982
Chat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자기소개서 쓰기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writing a self-introduction letter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using ChatGPT 이지영 p. 193-208
사고 구술 기법을 활용한 한국 대학생들의 독해전략 사용 양상 = Aspec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reading strategies through think-aloud protocol : focusing on proficiency levels and item types : 언어 능숙도와 문항 유형을 중점으로 지희정 p. 223-237

해방기 아동 잡지의 문학장 형성과 담론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literary field and discourse in children's magazines in the liberation period : focusing on children's magazines in North and South Korea : 남·북한 아동 잡지를 중심으로 신정은 p. 263-271

현대미술에서 장르 간의 융합적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convergence in-between genres of contemporary fine arts : focused on the comparison Ki-Woong Park and my recent practices : 박기웅과 연구자의 최근작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이동숙 p. 983-997
김승옥의 소설에 나타난 수치심과 혐오 = Aspects of shame and hatred in Kim Seung-ok’s novels : "누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역사", "확인해본 열다섯 개의 고정관념"을 중심으로 류동규 p. 273-284
장애 유아 초등학교 전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ransition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focusing on experiences of a pre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daycare teach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 유아특수교사와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박병숙 p. 999-1012
요괴 서사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of epic monster tales : focusing on the “Myeong-Ju-Bo-Wol-Bing” trilogy : <명주보월빙> 3부작을 중심으로 이후남 p. 285-297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원주 성황림 보존가치평가 = Estimating the preservation value of Wonju tutelary forest of Seongnam-ri using CVM 이성주, 이승곤 p. 1013-1025
고전소설에 나타난 삽입시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 of insertion in classical novels : focused on <Hasaengkiwoojeon> : <하생기우전>을 중심으로 이영환 p. 299-308
델파이 연구방법 중심 ADHD 아동 공감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Foundational study for developing an ADHD children's empathy program with a Delphi research approach 이후희 p. 1027-1040

장애인 소설의 의사소통 발화 양상 변화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communication speech patterns in disabled novels : 정용준의 "떠떠떠, 떠"(2011)와 김멜라의 "나뭇잎이 마르고"(2021)를 중심으로 전희주 p. 309-320
'아르 브뤼 컬렉션’ 작품에 나타난 대칭 구도 고찰 = A study of symmetrical compositions in works from the ‘Collection De l'Art Brut’ : reference to Matte Blanco's theory of the unconscious : 마테 블랑코(Matte Blanco)의 무의식 이론에 기대어 이현지 p. 1041-1054
분단희곡에 나타난 재현의 경향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of representation in division plays : focusing on “The Warriors of Sunshine”, “The Road to Cannes”, “The Cow”, “The Reds, Research for rehabilitation” etc : "선쌰인의 전사들", "깐느로 가는 길", "소", "빨갱이, 갱생을 위한 연구" 등을 중심으로 최상민 p. 321-333

부산 대연우암공동체 주민들의 구술을 통해 본 주민조직의 의미 = The meaning of community organization through oral life-history : a case study of Daeyeon-Wooam Community, Busan 오민정 p. 1055-1069
아브젝트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poetry creation education method using abject 박한라 p. 335-34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정신적 문제에 대한 클래식 음악을 통한 음악치료 = A study on music therapy with classic music for psychological problems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장암 p. 1071-1080
서지자료 분석을 통한 윤동주 시 연구 = A study on Yun Dong-ju's poetry through bibliographic data analysis. 3. 3, "가톨릭소년"을 중심으로 김형태 p. 347-364
이민진의 <파친코>를 활용한 다문화 문학 교육 방안 = A study on multicultural literature education using <Pachinko> by Min Jin Lee 김윤주 p. 365-377
중국의 음악사학과 음악교육 간의 학제 간 관계 분석 = A study on measures to activate classic music using augmented reality 양화평, 양가위 p. 1081-1090
예술작품으로서의 초본 연구 = Study on initial sketches as artworks : focusing on Yi-dang Kim Eun-Ho's initial sketches : 이당 김은호의 초본을 중심으로 이유주 p. 379-398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grit 정수경, 정은정, 김지영 p. 1091-1097
21세기 디지털 오페라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 The posthuman imagination of digital opera in the 21st century : Michel van der Aa's <Upload>(2019-2020) : 미셸 판데르아의 <업로드>(Upload, 2019-2020)를 중심으로 원유선 p. 399-415
인터랙티브 컴퓨터 음악에 대한 분류 방식 연구 = A study on classification methods for interactive computer music 이희영, 김현태 p. 1099-1108
14세기 프랑스 필사본 'Roman de Fauvel’ 연구 = A study of the Roman de Fauvel, a 14th century French manuscript : focusing on the satirical technique of images in Roman de Fauvel : Roman de Fauvel에 수록된 이미지의 풍자적 기법을 중심으로 박주향 p. 435-449
아유르베다와 중국 전통의학의 생명관 연구 = A study on the life view of Āyurveda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김준향 p. 1109-1117
상호작용성과 서사적 몰입의 동시적 획득구조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simultaneous acquisition of interactivity and narrative immersion : focused on <Black Mirror: Bandersnatch> : <블랙미러: 밴더스내치>를 중심으로 윤현정 p. 451-460

2010년대 '어쿠스틱 팝’ 음악의 출현 = Emergence of ‘acoustic pop’ music in the 2010s 서영호, 이유정 p. 1119-1128

K-Pop 팬덤 콘텐츠를 통한 팬덤의 확장된 표현형 = The extended phenotype of fandom through K-Pop fandom content 오윤지 p. 475-483
존 스튜어트 밀(J.S. Mill)의 관용론 = John Stuart Mill’s theory of tolerance : focusing on gambling and drinking problems : 도박, 음주 문제를 중심으로 김은미, 최현철 p. 1129-1138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의 통시적 고찰 = Historical reviews of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이상일 p. 501-513
예비 특수교사의 실패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 창의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탐색 = Exploring the impact of negative reactions to failures on creative self-efficacy in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오혜림 p. 1139-1151
결혼이주여성의 자원체계와 한국생활 적응과정 = The resource system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life in Korea 전혜경 p. 515-527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예술융합교육 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황은지 p. 1153-1164

골목, 힙스터와 놀이의 커먼즈 = Alley, hipsters and commons of fun 권유리야 p. 1165-1178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성소수자 보도 분석 = Analyzing media coverage of sexual and gender minority using topic modeling : focusing on domestic media coverage : 국내언론 보도기사를 중심으로 박정은 p. 549-563
대화에서의 맥락 민감성 함양 교육 연구 = A study on conversational context sensitivity development education : 드라마 '갯마을 차차차’ 대화 분석을 바탕으로 백정이, 구영산 p. 1179-1192
밥상공동체종합사회복지관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f improvement strategies for Bapsang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 원주시를 중심으로 신민영 p. 565-585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정주 체류를 위한 한국어능력 입증 서류에 관한 고찰 = A consideration on documents prov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for foreign students’ permanent residence in Korea 이윤주 p. 587-600

코로나 극복을 위한 전시 미디어 콘텐츠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exhibition media content for overcoming COVID-19 : focused on the exhibition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 utilizing interactive video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 인터랙티브 비디오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사용한 <New Normal + Convergence Design> 전시를 중심으로 남윤태, 오제호 p. 1193-1204
그림책 텍스트의 역동성과 해석의 상대성 = Dynamics of picture book text and relativity of interpretation : focusing on the fusion method and healing function of picture books : 그림책의 융합 방식과 치유 기능을 중심으로 신정아 p. 657-669
메이크업전문가역량이 시니어 여성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keup expert competency on the self-esteem of the senior wome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est in makeup : 메이크업관심도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문태웅, 권기한 p. 1205-1218
디지털 음악중재를 위한 음악의 통증완화효과 탐색연구 = Exploratory study of the analgesic effects of music for digital therapeutics 최수빈 p. 719-726
무용의 심미 확장을 위한 이기지묘(理氣之妙) 연구 = A study on "Yi-Gi-Ji-Myo" (理氣之妙) aimed at broadening the aesthetic scope of dance 이지설, 이돈준 p. 1219-1228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개선을 위한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nee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play support : using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활용 하연수 p. 727-745
네오리만 변형이론(Neo-Riemannian Transformation Theory)을 활용한 화성 진행과 영상의 상호작용 연구 = A study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 and movie used by neo-Riemannian transformation theory : focus on the James Newton Howard’s film scoring : 제임스 뉴튼 하워드(James Newton Howard)의 영화음악을 중심으로 오상호, 한경훈 p. 1229-1241
정신분석적 꿈 분석의 대중화를 위하여 = Popularizing the psychoanalytic dream analysis : focusing on visualizing the dream images with the help of ChatGPT-4, Midjourney, Runway Gen-1, Gen-2, D-ID and Clova Dubbing : ChatGPT-4, Midjourney, Runway Gen-1, Gen-2, D-ID, Clova Dubbing을 이용한 꿈 그림 그리기를 중심으로 김서영 p. 761-777
'AI 이미지' 담론에 관한 질적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IA[실은 AI] image’ discourse : focusing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YouTube video comments : 유튜브 동영상 댓글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박변갑 p. 779-791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그릿(Grit)이 무용능력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mpact of dancing students' ego-resilience and grit on dance ability achievement : focusing on Chinese students in Korea : 재한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여나, 손관중 p. 1243-1256
글로벌 OTT 미국 서비스의 한국 콘텐츠 공급 연구 = A study on Korean content supply of global OTT services in US : 4개의 구독형 OTT 국가 권역별 콘텐츠 분포 현황을 중심으로 신소연 p. 811-825
국내 NFT 연구 동향 및 교육 분야에 대한 시사점 = Domestic NFT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허은철 p. 1257-1268
전문대학의 K-POP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POP educational curriculum status in specialized universities 채승균 p. 827-838
대학생의 챗GPT 활용 글쓰기 경험 탐색 = A study on writing experience with ChatGPT of college students 기혜선 p. 853-868
자연친화적 캠퍼스를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using a nature-friendly campus : application of campus walking and talking program : 캠퍼스 워킹 앤 토킹 프로그램의 적용 죠이치 카이세, 김근향 p. 1269-1279
대학교 신입생은 어떤 교육서비스를 원하는가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university freshmen’s educational services needs : IPA 연구를 중심으로 정환희 p. 1281-1290
대학 원격교육에서 학습관리시스템(LMS)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quality on learner satisfaction in university distance education : 사용 매체별 차이를 중심으로 탁하연 p. 1291-1300
문화예술기반 유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culture : based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 : 유아교사의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을 위해 최은아, 고희선 p. 1301-1314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줄다리기 비교 연구 = Comparative aanalysis[실은 analysis]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ug of war : focusing on Cambodi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 캄보디아, 필리핀, 베트남을 중심으로 남경호 p. 1315-1324
영어전공 대학생의 ChatGPT 사용이 영어 자기조절학습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glish major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grit 차민영, 임희주, 이영림 p. 1325-1334
교양영어수업에서 챗GPT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태도 연구 =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spectives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hatGPT in English classes 임희주 p. 1335-1342
국내 문화예술 정보포털의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tasks of domestic culture and arts information portal 김현영, 이환수 p. 1343-1356
北關詶唱錄에 표현된 17세기 불후의 북방 풍경 = The immortal 17th-century northern landscape expressed in Bukgwan Suchangrok 문희순 p. 1357-1373

피크 재질에 따른 사운드 비교 = Aspects of comparison of sound according to pick material : 일렉기타 클린사운드와 디스토션 사운드 중심으로 박서현, 박정신 p. 1375-1381
문화를 활용한 지역발전 전략 연구 = A study o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using culture : focusing on the cultural city project : 문화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김광용 p. 1383-139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부유럽 = Historical memory and current geopolitics : comparing Czech and Hungarian responses to Russia’s 2022 invasion of Ukraine : 체코와 헝가리의 대응과 기억 비교를 중심으로 양준석 p. 1397-1415
지역사회 문제 해결 서비스러닝 경험이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ocal problem solving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awareness 박선영 p. 1417-1429
공유대학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 Research on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s of shared universities : focusing on building a foundation for sharing liberal arts subjects in universities in local area : 지역 기반 교양 교과목 공유기반 구축을 중심으로 유지성, 이연주 p. 1431-1443
중국 소수민족 오페라 특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ethnic opera : with special focus on Uyghurs : 위구르족 중심으로 이정 p. 1445-1454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란숙(2021). 온라인 플랫폼 기반 발표 과제실행을위한 캡스톤 디자인 모형 연구-학문목적 외국인유학생들에 적용 방안, 문화와융합 43(9), 23-52. 미소장
2 김유경(2014).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회화의 이원론적 특성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김효숙, 강인애(2005). Floral Image Make-up에 관한 연구-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의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3(11), 23-52. 미소장
4 박정원(2006). 환타지 메이크업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특성, 한복문화학회지 9(3), 23-52. 미소장
5 신채기(2014).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와젠더 : 꽃, 누드, 그리고 국가 이데올로기, 젠더와 문화 7(1), 23-52. 미소장
6 신혜순(2016). 조지아 오키프의 초기 작품에 나타난심리분석-분석심리학점 관점으로-, 신학과 사회30(2), 23-52. 미소장
7 안소희(2016).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1986)의 뉴욕도시풍경화(1925-1929)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이봉희(2017). 조지아 오키프 회화의 유기적 형태를응용한 바디아트 제작,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이연서, 김연아(2019). 판타지 메이크업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디자인 사례 분석-대구 국제 바디페인팅 페스티발 수상작을 중심으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0(4), 23-52. 미소장
10 임정미, 구자명(2006). 촉각적 질감을 응용한 바디아트 작품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2(1), 13-19. 미소장
11 장은진(2016). 조지아 오키프 작품의 특성을 응용한네일 디자인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장진미, 우나리야(2010). 환타지 메이크업에 나타난미래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4), 23-52. 미소장
13 정희숙(2017).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의회화세계 연구,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한명숙(2005). 바디아트의 예술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2), 170-178. 미소장
15 한지수(2012). 민화(화조도)를 응용한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8(1), 23-5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