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현화, 이현정, 남신혜, 장채린 (2016) 『한국어교육 문법: 자료편』, 서울: 한글파크. | 미소장 |
2 | 김정숙, 김인균, 박동호, 이병규, 이해영, 정희정, 최정순, 허용 (2005)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3 | 김지영 (2018) 『한중 대조분석을 통한 한국어 부사격조사 교수방안 연구 — ‘-에’, ‘-에서’, ‘-에게’, ‘-(으)로’, ‘-와/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 미소장 |
4 | 김춘식, 암바르 이스마일로프, 굴쇼다 미르탈리포바, 라슐로프 노르무로드, 김문옥 (2019) 『한국어-우즈베크어 사전』, 파주: 문예림. | 미소장 |
5 | 김한샘 (2009) 「한국어 관용구의 영어 번역 양상 — 한영 병렬 말뭉치를 기반으로」, 『언어와 문화』 5(3): 241-259. | 미소장 |
6 | 김흥규 외 (2009)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미소장 |
7 | 김혜영 (2021) 「한국어교원을 위한 번역 교육의 현황과 과제」, 『통번역교육연구』 19(2): 73-100. | 미소장 |
8 | 계은진, 김영주 (2019)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의 인지 — 자기조절읽기 연구」, 『이중언어학』 77: 37-64. | 미소장 |
9 | 남기심, 이상섭, 김하수, 서상규 (2008) 『연세 한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 미소장 |
10 | 딜푸자, 박덕유 (2020) 「우즈벡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우즈벡어 격조사 대조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1-27. | 미소장 |
11 | 딜푸자 (2023) 『우즈벡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격조사 교육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 미소장 |
12 | 미쉘 알렉산드라 자자(2021) 『한국어·인도네시아어 병렬 말뭉치에 나타난 인칭대명사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미소장 |
13 | 민경모 (2020) 「다국어 병렬 말뭉치의 구축과 한국어교육 연구에의 활용」, 『한국학논집』 78: 187-220. | 미소장 |
14 | 박명수 (2017) 「ParaConc를 이용한 영·한 병렬말뭉치 분석 연구」, 『번역학연구』 18(5): 29-57. | 미소장 |
15 | 서상규 (2008) 「한국어 특수 말뭉치의 구축 현황과 그 특징: 21세기 세종계획의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12: 41-60. | 미소장 |
16 | 서상규 (200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사전』, 서울: 신원프라임. | 미소장 |
17 | 유현경, 황은하 (2010) 「병렬말뭉치 구축과 응용」, 『언어사실과 관점』 25: 5-40. | 미소장 |
18 | 이문화 (2015)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중국어 대응 양상 연구」, 『국제어문』 65: 103-140. | 미소장 |
19 | 이승찬 (2016) 『모두의 파이썬』, 서울: (주)도서출판 길벗. | 미소장 |
20 | 이정규 (2010) 「병렬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병렬말뭉치 구축을 위한 문장단위 수동 정렬 도구」, 『언어사실과 관점』 25: 115-138. | 미소장 |
21 | 이정희 (2022) 『2021년 한국어-외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 사업』, 서울: 국립국어원. | 미소장 |
22 | 이정희 (2023) 「한국어·외국어 병렬 말뭉치 구축 과정의 쟁점 — 원문 정제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64-277. | 미소장 |
23 | 이화자, 이종희 (2006) 『어미·조사 학습자용 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4 | 이화자, 이종희 (2010) 『어미·조사 전문가용 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25 | 정호정 (2003) 「코퍼스 중심의 번역학 연구」, 『번역학연구』 4(2): 71-88. | 미소장 |
26 | 조인화 (2011) 『Koreys Tili Grammatika Lug‘ati(우즈베크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사전)』, 서울: (주)디자인인트로. | 미소장 |
27 | 최승권 (2010) 「번역 말뭉치로부터 추출한 어휘 번역 패턴의 의미 분류와 자동번역시스템에의 활용」, 『번역학연구』 11(3): 277-301. | 미소장 |
28 | 팜 티 응옥 휘엔 (2023) 『병렬말뭉치 기반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사동 표현 대조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 미소장 |
29 | 한영균 (2008) 「코퍼스에 기반한 한·일 기본어휘의 연어 구성 대조 분석 연구」, 『국어학』 55: 55-103. | 미소장 |
30 | 홍세화, 한재민 (2023) 「병렬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 양태부사 ‘혹시’의 베트남어 대응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39-361. | 미소장 |
31 | 황은하 (2009) 「한·중 인터넷 신문 기사 표제 병렬말뭉치 연구 — 기계번역을 위한 시험적 연구」, 『번역학연구』 10(3): 217-245. | 미소장 |
32 | Juraev, Mahammad (2018) 『한국어와 우즈벡어 문법 요소의 대응에 관한 연구-격조사 대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 미소장 |
33 | Mashrabbekova, Aziza와 이지은 (2019) 『우즈베크어 표준 교재 A1』,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 | 미소장 |
34 | Nigora, Sharipova and Ykema Hanneke (2002) Marhamat 1, Toshkent. | 미소장 |
35 | Nigora, Sharipova and Ykema Hanneke (2016) Marhamat 2, Toshkent. | 미소장 |
36 | Qalandar, Sapayev (2009) Hozirgi O‘zbek Tili, Toshkent. | 미소장 |
37 | Shonazar, Shoabdurahmonov and Asqarova Mazluma (1980) Hozirgi O‘zbek Adabiy Tili, Toshkent. | 미소장 |
38 | Shavkat, Rahmatullayev (2010) Hozirgi Adabiy O‘zbek Tili, Toshkent. | 미소장 |
39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 미소장 |
40 |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나눔터: https://kcorpus.korean.go.kr/index/goMain.do | 미소장 |
41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모두의 말뭉치: https://corpus.korean.go.kr/main.do | 미소장 |
42 | 한국어 기초 사전: https://krdict.korean.go.kr/mainAction | 미소장 |
43 | O‘zbek tilining imlo lug‘ati: https://imlo.uz | 미소장 |
44 | O‘zbek tilining izohli lug‘ati: https://savodxon.uz/izoh | 미소장 |
45 | AntConc v.4.2: https://www.laurenceanthony.net/software/antconc | 미소장 |
46 | EditPlus v.5.7: https://editplus.softonic.kr | 미소장 |
47 | Google Colab: https://colab.research.google.com | 미소장 |
48 | KiwiGui v.0.15.0: https://github.com/bab2min/kiwi-gui/releases | 미소장 |
49 | UTagger v.2019: http://klplab.ulsan.ac.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