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허균은 38세 되던 1606년(병오, 선조39) 원접사 종사관으로서 주지번을 만나 명나라 문단에 대해 깊이 이해하면서 왕세정 등 복고파의 문학 성과에 대해 새삼 관심을 갖게 되었다. 허균은 왕세정 등 복고파가 성당시와 한위악부를 모범으로 삼은 것에 어느 정도 동조하고, 스스로 「속몽시(續夢詩)」에서 악부를 제작했다. 또 허균은 왕세정이 「정희부(靜姬賦)」와 「후정희부(後靜姬賦)」에서 불우의 심사를 노래한 것에 공감했으며, 왕세정의 『열선전전(列仙全傳)』을 열람하고 자유분방한 의식에 동조하여 「열선찬(列仙贊)」을 지었다. 그러나 허균은 왕세정의 문학을 전범으로 숭앙하지는 않았다. 이를테면 왕세정의 『열선전전』은 581선인의 고사를 수록했는데, 허균은 신선이 아닌 인물이나 허탄한 신선설의 주인공을 모두 배제했다. 또한 허균은 명나라 말 제자백가에 대한 관심의 고조에 호응하여 스스로 제자백가의 독후문(讀後文)을 남기되, 왕세정의 『독서후(讀書後)』는 참조하지 않았다. 1615년(광해군7) 9월부터 다음 해 3월 초까지 동지겸진주사행 부사로서 중국에 있으면서 왕세정 편집으로 알려진 『검협전(劍俠傳)』을 탐독하고 왕세정의 「검객편(俠客篇)」과 「유협편(游俠篇)」을 읽고 그 원념(怨念)의 세계에 공감했다. 왕세정은 역사학에서도 중요한 성과를 냈지만 허균은 왕세정의 사학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것은 왕세정의 역사 서술이 조선의 종계변무에 관해 불온한 기록을 담고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런데 허균은 명대 중엽 이후의 박물고증학에 관심을 두지 않았으므로 왕세정의 필기들을 크게 활용하지 않았다. 을병조천의 때에 허균은 양명학적 사유와 거리를 두고자 했고, 사념을 끊고 욕심을 다 없애 원명(圓明)의 깨끗함을 깨우치겠다고 다짐했으며, 결국 존덕성을 위해서는 도문학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중용』의 가르침을 재확인했다. 허균은 왕수인의 치양지가 존덕성의 방편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가하되, 도문학을 통하지 않고는 존덕성을 충분히 이룰 수 없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적 변화가 특히 허균으로 하여금 왕세정의 시문을 선별적으로 수용하게 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 조선인의 만주 체험 기록에 나타난 언어 인식과 표상 =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of language in the records of Joseon people’s experiences in Manchu in modern times : focusing on the travelogues and essays : 기행문과 수필류를 중심으로 강혜종 p. 303-336

근대 조선 문인들의 중국 동북지구 체험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모색 =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i's experience research in Northeast China 곽미선 p. 223-259

허균의 시선집 『당절선산(唐絶選刪)』의 구성과 선시(選詩) 양상 = The composition and the aspect of choosing poems of Dangjeolseonsan (唐絶選刪) 구지현 p. 147-170

근대이행기 퇴계학맥의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인식 = The perception of “Simtongseongjeongdo(心統性情圖)” in the School of Toegye(退溪)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권오영 p. 459-487

1960년 전후 북한 전설 「녹족부인」의 수용과 변용 양상 = Research on the legend of “Nokjokbuin” in North Korea pre- and post- 1960 : 한룡옥과 고정옥의 연구를 중심으로 김광식 p. 549-575

풍류도와 선비정신을 통해 본 '미스터 션샤인’과 '남한산성’ = In(仁, benevolence) and Ui(義, righteousness) of Korean Confucianism in K-culture 이선경, 김윤경 p. 489-511

한국 근대 작가의 이순신 서사 연구 = Korean modern writers’ narratives of Lee Sunshin 김주현 p. 513-547

허균의 『송왕형공이체시초』 편찬의 의미 = Hŏ Kyun’s compilation of Song Wanghyŏnggong Ich’e shich’o(宋王荊公二體詩抄)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노요한 p. 171-211

조선왕조 『열성어필(列聖御筆)』 수록 중국 고전 시문을 통해 살펴본 이미지 정치학 = Image politics viewed in Chinese classical poetry and prose in Yeolseong-eopil : the collection of calligraphic writing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소주영 p. 417-457

허균(許筠)과 왕세정(王世貞) = Hŏ Kyun and Wang Shizhen 심경호 p. 23-146

근대전환기 망명 체험 기록에 나타난 만주 인식과 그 의의 = The perception of Manchuria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exile experienc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전설련 p. 337-375

오천 한백유와 이백 시의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poems of Aochen Han Bakyou and Li Bai 한계호 p. 379-416

참고문헌 (9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許筠, 『惺所覆瓿藁』, 韓國文集叢刊 74, 民族文化推進會, 1988 미소장
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許筠, 『許筠全書』, 亞細亞文化社, 1983. 미소장
3 許筠, 崔康賢譯註, 『乙丙朝天錄』, 國立中央圖書館, 2005. 미소장
4 許筠 著, 심경호 역, 『을병조천록』, 보고사, 2023. 미소장
5 허경진, 『허균연보』, 보고사, 2013. 미소장
6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정보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 미소장
7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kyujanggak.snu.ac.kr/) 미소장
8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db.itkc.or.kr) 미소장
9 王世貞, 『弇州四部稿』, 影印本, 四庫明人文集叢刊 全七冊(弇州四部稿:外六種), 上海古籍出版社, 1993. 미소장
10 王世貞, 『劍俠傳』, 標點本, 上海古籍出版社, 2017. 미소장
11 王世貞, 『弇州山人四部稿』 目錄 12卷, 賦ㆍ詩ㆍ文ㆍ說部174卷 合186卷 43冊(全), 萬曆 5年(1578), 中國 世經堂刊 木版本, 고려대학교 晩松文庫 소장. 미소장
12 王世貞, 『名世文宗』 22卷 10冊, 中國 天祿閣 木版本,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 미소장
13 王世貞, 『弇山堂別集』, 中華書局, 1985年 標點本. 미소장
14 王世貞 刪定, 金鎭玉ㆍ南誠佑ㆍ金泰勳, 『譯註 世說新語刪補』 1-5, 전통문화연구회, 2021. 미소장
15 許建平, 『王世貞書目類纂』(上下), 鳳凰, 2012.7. 미소장
16 鄭利華, 『王世貞年譜』, 上海復旦大學出版社, 1993. 미소장
17 周穎, 『王世貞年譜長編』, 上海三聯書店, 2016. 미소장
18 李鍾殷ㆍ鄭珉編, 『韓國歷代詩話類編』, 서울: 亞細亞文化社, 1988. 미소장
19 趙鍾業編, 『韓國詩話叢編』 全12卷, 東西文化院, 1989 미소장
20 趙鍾業編, 『韓國詩話總編』 1-17, 太學社, 1996. 미소장
21 劉暢ㆍ許慶震ㆍ趙季 編, 『韓國詩話人物批評集』, 寶庫社, 2012. 미소장
22 蔡美花ㆍ趙季 校注, 『韓國詩話全編校注』 1-12,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2012. 미소장
23 何文煥 編訂, 『歷代詩話』, 北京: 中華書局, 1981. 미소장
24 金萬重 著, 沈慶昊 譯, 『西浦漫筆』 上下, 문학동네, 2007. 미소장
25 趙鎭宅 저, 구순옥ㆍ장재석ㆍ조천래 역, 『봉호일기(蓬壺日記)』, 서울시역사편찬원, 2018. 미소장
26 鄺健行ㆍ陳永明ㆍ吳淑鈿 編, 李章佑ㆍ朴韓圭ㆍ崔繼良 譯註, 『(우리나라 선비들의) 中國詩 이야기』(韓國詩話中論中國詩資料選粹) 1-3, 嶺南大學校出版部, 2012. 미소장
27 永瑢, 『四庫全書総目提要』, 影印本 1-4, 商務印書館, 1968. 미소장
28 全寅初主編, 『韓國所藏中國漢籍總目』 1-6, 學古房, 2005.6. 미소장
29 강명관, 「허균과 명대문학: 허균문학 연구에 대한 반성적 고찰」, 『민족문학사연구』 13-1, 민족문학사학회, 1998, 207-235면. 미소장
30 노경희, 『안쪽과 바깥쪽』, 소명출판, 2007. 미소장
31 강민경, 「大自由를 향한 逸脫, 許筠 유선문학 小考」, 『도교문화연구』 21, 한국도교문화학회, 2004, 81-109면. 미소장
32 김경수, 「張伯端의 著述考」, 『한국철학논집』 29(임시증간호),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255-280면. 미소장
33 김명연, 「허균 ‘五傳’ 연구」, 서울대학교 국문학과 석사논문, 2013. 미소장
34 김영연, 「허균 산문의 한정(閑情)과 선취(仙趣)」,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23. 미소장
35 琴知雅, 「조선시대 唐詩選集의 편찬양상 연구: 연세대 소장 4종 唐詩選集의 유형, 특징 및 문헌 가치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84, 중국어문학연구회, 2014, 265-287면. 미소장
36 김방울, 「『百家類纂』의 편찬과 간행」, 『한국전통문화연구』 1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24-36면. 미소장
37 김현주, 「『唐音』 연구」, 경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미소장
38 盧京姫, 『17世紀前半における明と朝鮮との文学交流及び朝鮮漢詩の再発見』, 京都大学 文學博士論文, 2009. 미소장
39 노경희, 「현종실록자본 『世說新語補』 간행과 流傳의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연구』 52, 한국한문학회, 2013, 497-532면. 미소장
40 노경희, 『17세기 전반기 한중 문학교류』, 태학사, 2015. 미소장
41 노경희, 「『세설신어보』의 조선과 에도 문단의 출판과 향유층 비교」, 『한국문화』 7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71-97면. 미소장
42 魯耀翰, 「朝鮮前期 『風雅翼選詩』의 刊行과 『選詩補註』의 註解方式에 對하여」, 『한문고전연구』 36, 한국한문고전학회, 2018, 123-158면. 미소장
43 박경남, 「김창협의 비판을 통해 본 왕세정 산문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46, 한국한문학회, 2010, 163-213면. 미소장
44 박경남, 「王世貞 號의 讀音 문제와 “연구”와 “번역”의 결합」, 『연민학지』 16, 연민학회, 2011, 375-402면. 미소장
45 박경남, 「王世貞을 바라보는 두 大家의 시각: 金昌協과 錢謙益의 王世貞 이해」, 『고전문학연구』 39, 한국고전문학회, 2011, 229-267면. 미소장
46 박경남, 「王世貞의 『史記』 인식과 계승 양상: 16ㆍ17세기 조선 문인들의 『사기』 수용과 계승 양상과 관련하여」, 『대동문화연구』 9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미소장
47 박종훈, 「王世貞의 ‘文章九命’과 朝鮮 文人의 수용 양상」, 『동방학』 35,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미소장
48 박현규, 「千秋 사행시기 허균의 문헌 관련 활동」, 『동방학지』 12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6, 261-285면. 미소장
49 朴現圭ㆍ楊茜雯, 「許筠 『乙丙朝天錄』에 나타난 문언소설과 공연」, 『열상고전연구』 80, 열상고전연구회, 2023, 235-258면. 미소장
50 부유섭, 「허균이 뽑은 중국시(1)」, 『문헌과 해석』 27, 문헌과해석사, 2004, 243-268면. 미소장
51 신향림, 「허균의 양명좌파(陽明左派) 수용에 대한 재론: 『을병조천록』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68, 한국한문학회, 2017, 363-402면. 미소장
52 심경호, 「조선후기 지성사와 제자백가: 특히 『管子』와 『老子』의 독법과 관련하여」, 『한국실학연구』 제13호, 한국실학학회, 2007, 365-405면. 미소장
53 심경호, 「청년 세종의 애독서 『구소수간』」, 박현모 외, 『세종의 서재』, 서해문집, 2016, 208-250면. 미소장
54 심경호, 「허균의 풍악 기행과 시문」, 2018 교산 허균 서거 400주기 추모 국제학술대회, 허균400주기추모전국대회추진위원회 주관, 강릉시청 2층 대회의실, 2018.10.6.(토). 미소장
55 심경호, 『한국의 석비문과 비지문」, 일조각, 2021. 미소장
56 심경호, 「허균의 기행시집 『을병조천록』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 69, 열상고전연구회, 2019, 69-118면. 미소장
57 심경호, 「허균의 기행시집 『을병조천록』에 대하여」, 허경진ㆍ심경호 등 7명, 『초당 4부자의 조천록 연구』, 보고사, 2020, 169-250면. 미소장
58 심경호, 「『皇華集』 序文과 箕子 關聯 唱酬에 나타난 朝鮮文臣의 自主的 文明意識」, 沈慶昊 外, 『皇華集과 皇華酬唱』,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미소장
59 심경호, 「『을병조천록』의 허균 讀後詩에 대해여」, 『연민학지』 39, 연민학회, 2023, 49-86면. 미소장
60 심경호, 「허균과 왕세정」, 연민학 학술대회 제30회 ‘허균전집 출판기념 학술대회’, 강릉시 근로자 종합복지회관 3층, 2023년 6월 16일(금). 미소장
61 안대회, 『朝鮮後期詩話史』, 召命出版, 2000. 미소장
62 이경록, 「『의림촬요(醫林撮要)』 해제: 『의림촬요』 편찬과 증보 과정」,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4, 한국고전번역원 제공. 미소장
63 이규운, 「허균의 문장론과 그 구현 양상」, 성신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10. 미소장
64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시풍의 변화 양상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3-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79-103면. 미소장
65 이종묵ㆍ김형술ㆍ당윤희ㆍ박민수ㆍ백승호ㆍ장유승ㆍ한종진, 『조선에 전해진 중국 문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미소장
66 이현일, 「미국 버클리대학 동아시아도서관 소장 『詩法源流』 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해외한국학자료센터. 미소장
67 임미정, 『국조시산 연구』, 보고사, 2017. 미소장
68 錢念純, 「『藝苑巵言』과 『芝峯類說』의 唐宋詩 批評 일고찰: 시의 作法論을 중심으로」, 『東亞人文學』 36, 東亞人文學會, 2016, 67-92면. 미소장
69 錢念純, 「許筠과 王世貞 시론 비교연구」, 『어문논집』 80, 민족어문학회, 2017, 37-68면. 미소장
70 정길수, 「許筠 문집 번역과 한문 고전 번역의 몇 가지 문제」, 『한국시가문화연구』 30, 한국시가문화학회, 2012, 241-271면. 미소장
71 정길수, 「허균의 사상 전환-『을병조천록』에 담긴 허균 만년의 생각」, 『한국문화』 64,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287-313면. 미소장
72 정길수, 「허균 문학론의 모순과 일관: 왕세정 혹은 의고문파 문학론과의 연관」, 『한국한문학연구』 51, 한국한문학회, 2013, 267-300면. 미소장
73 鄭雨峰, 『朝鮮後期詩論史의 構圖와 展開』,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21. 미소장
74 최은주, 『17세기 시선집 편찬에 대한 연구」, 경북대박사논문, 2006. 미소장
75 하지영, 「왕세정과 조선 중, 후기 한문 산문」, 『한국한문학연구』 57, 한국한문학회, 2015, 197-232면. 미소장
76 허경진, 『許筠 詩 硏究』, 평민사, 1984. 미소장
77 王世貞輯, 汪雲鹏補, 湯志波校點, 『列仙全傳』, 上海古籍出版社, 2021. 미소장
78 沈俊平, 「明中晚期坊刻制舉用書的出版及朝野人士的反應」, 『漢學研究(BIBLID)』 第27卷 第1期, 2009(民國98), 141-176면. 미소장
79 徐兆安, 「驗與博聞: 萬曆朝文人王世貞ㆍ屠隆與胡應麟的神仙書寫與道教文獻評論」, 『中國文化研究所學報(Journal of Chinese Studies)』 53, July 2011. 미소장
80 許建平 編著, 『王世貞書目類纂』 上下, 鳳凰出版社, 2012. 미소장
81 周穎, 『王世貞年譜長編』, 上海三聯書店, 2016. 미소장
82 鄭幸雅, 「王世貞『世說新語補』對『世說新語』體例的回歸與衍異研究」, https://necis. nhu.edu.tw. 미소장
83 趙樹功, 『中国尺牘文学史』, 河北人民出版社, 1999. 미소장
84 鄭利華, 『王世貞研究』, 學林出版社, 2002. 미소장
85 張德建, 『明代山人文學研究』, 湖南人民出版社, 2005. 미소장
86 王水照ㆍ朱剛主編 『中國古代文章學的成立與展開: 中國古代文章學論集』, 復旦大學出版社, 2011. 미소장
87 余暁棟, 「『古今振雅雲箋』偽書考 : 兼談明清尺牘文選之商業化特徴, 『浙江学刊』 第三期, 2016, 106-107. 미소장
88 张健, 「从『学吟珍珠囊』到『诗学大成』『圆机活法』: 对一类诗学启蒙书籍源流的考察」, 『文學遺産 Wen Xue Yi Chan/Literary Heritage』, 2016-3, 74-103. 미소장
89 何璇, 「萬曆文人仙傳對『歷世真仙體道通鑒』的文本繼承」, 『香港中文大學 道敎文化中心 通訊』 第五十一期, 2019. 미소장
90 大木康, 『明末江南の出版文化』, 研文出版, 2004. 미소장
91 井上進, 『中国出版文化史:書物世界と知の風景』, 名古屋大学出版会, 2002. 미소장
92 井上進, 『明清学術変遷史 : 出版と伝統学術の臨界点』, 平凡社, 2011. 미소장
93 千本英史, 「道教と神仙 : 『列仙伝』から『列仙全伝』へ」, 小峯和明編 『東アジアに共有される文学世界 東アジアの文学圏』, 東アジア文化講座 3, 文学通信, 2021.3. 미소장
94 David Pattinson, “The Market for Letter Collections in Seventeenth-Century China”, Chinese Literature: Essays, Articles, Reviews(CLEAR) Vol. 28, 2006, pp.125-15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