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81년 돈오돈수(頓悟頓修)를 표방한 조계종 종정 성철(性徹, 1912-1993)이 보조지눌(普照知訥, 1158-1210)의 돈오점수(頓悟漸修) 사상을 비판한 이래 진행된 돈점논쟁(頓漸論諍) 속에서 지눌 선(禪) 사상은 다각도로 고찰되어 왔다. 이 논쟁의 주요 초점 중 하나는 지눌의 돈오점수론이 그가 만년에 강조한 간화선(看話禪)과 사상적 연결성을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돈오점수는 불교의 이론적 가르침[敎]에 대한 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해오(解悟)와 연결된 수행법인 반면, 간화선은 지적 이해[知解]를 완전히 떠나 증오(證悟)로 이어진다고 여겨지는 수행법이기 때문이다. 돈오돈수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깨달음에 있어서 지적 요소를 강하게 부정하면서 돈오점수와 간화선의 연결성을 인정하지 않았고, 지눌이 만년에 간화선을 강조한 것도 그가 사상적 전환을 겪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한편 지눌의 사상체계를 지지하는 측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수증론적 연결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해오가 비록 지적 이해를 매개로 얻어지지만 점수를 거쳐 결국 증오로 연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결국 돈점논쟁은 깨달음과 닦음에 있어서 지해(知解)의 역할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이 정합성을 가지는가의 구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돈오점수론과 간화선의 사상적 연결 문제를 해오와 증오의 의미와 관계를 재고함으로써 논의해 보려 한다. 논쟁의 구도 속에서 해오는 증오와 대비되어 전혀 인정되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불완전한 깨달음으로만 여겨진 경향이 있다. 먼저 기존의 해오와 증오에 대한 해석을 깨달음과 닦음에 내재된 근본적 문제를 바탕으로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그리고나서 지눌이 제시하는 해오의 의미를 성기(性起)의 개념을 바탕으로 재조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오와 증오의 수증론적 관계를 논의한 후, 마지막으로 돈오점수와 간화선 수행의 연결성의 문제를 고찰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명학(因明學) 주요 개념의 분석적 이해 = 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major concepts of Hetuvidyā :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the thesis "acandraḥ śaśī" : '회토비월(懷兔非月)’ 논증식 분석을 위한 시론 고승학 p. 31-63
원효찬(元曉撰) 『대승기신론별기』와 색부찬(塞部撰) 『대승기신론사기』 = Special Exposition or Private Exposition[Self Record]? : on the textual change of Wŏnhyo's Special Exposition on the 'Awakening of Faith' : 현행본 『대승기신론별기』의 성격 재검토 최연식 p. 65-102

(The) calamities-solving ritual in medieval Korea = 고려 소재도량의 사상적 배경과 그 유산 : exploring its underlying principles and ideological legacy Kim, Jongmyung p. 103-152

조선 불교에 미친 보조 지눌의 유풍 = Pojo Chinul's influence on Chosŏn Buddhism 김용태 p. 153-181

지눌 수증론의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의 의미 재조명 = Revisiting 'understanding-awakening' and 'realization-awakening' of Chinul's soteriological system 이수미 p. 183-215
연기와 공 = Dependent arising and emptiness : dependently arising things are empty, but empty things do not necessarily arise dependently : 연기하는 것은 공하지만 공한 것이 반드시 연기하지는 않는다 김영진, 홍창성 p. 219-248
후설의 본질 개념 연구 = Husserl's concept of essence : focusing on eidetic singularity : 형상적 독특을 중심으로 김한샘 p. 249-283
한스 요나스의 생태학적 책임 윤리에서 "공포의 발견법"에 대한 대안적 방법 = The heuristics of hope :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heuristics of fear" in Hans Jonas' ecological ethics of responsibility 배희진 p. 285-317
자유의지와 인과적 근원 = Free will and causal sourcehood : an interventionist criticism on manipulation arguments and its problems : 개입주의 인과론자의 조작 논증 비판과 그 문제점 김성수 p. 319-340
ItUML and Esteva-Godo-style standard completeness = 논리 ItUML과 에스테바-고도-스타일 표준 완전성 Yang, Eunsuk p. 341-357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牧牛子修心訣』 H68 미소장
2 『圓頓成佛論』 H70 미소장
3 『看話決疑論』 H71 미소장
4 『法集別行錄節要并入私記』 H74 미소장
5 『華嚴論節要』 H75 미소장
6 『六祖壇經』 T2007 미소장
7 『大正新修大藏經』. 高楠順次郞, 渡邊海旭 et al. 東京: 大正新脩大藏經刊行會, 1924-1935 (CBETA Online: https://cbetaonline.dila.edu.). 미소장
8 『韓國佛敎全書』. 동국대학교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편). 제4권. 서울:동국대학교출판부, 1979-1989 (https://kabc.dongguk.edu/content/list?itemId=ABC_BJ). 미소장
9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3 (2010): 151-188. 미소장
10 성 철. 『禪門正路』. 서울: 불광출판사, 1981. 미소장
11 예문동양사상연구원⋅이덕진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지눌』. 서울: 예문서원, 2001. 미소장
12 이덕진. 「知訥의 性起設에 대한 -考察 -中國華嚴敎學과 關聯하여-」. 『보조사상』 13 (2000): 389-422. 미소장
13 이수미. 「지눌知訥, 깨달음과 닦음의 화두를 던지다」.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편. 『테마한국불교』 9. 81-114.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21. 미소장
14 인 경. 「普照의 華嚴敎學의 受用과 批判 -緣起門과 性起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20 (2003): 10-33. 미소장
15 최연식. 「한국불교에서의 성기(性起)와 연기(緣起): 의상 화엄사상의성기적 이해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보』 74 (2016): 246-269. 미소장
16 Robert E. Buswell, Jr. “Pojo Chinul 普照知訥 and the Sudden-Gradual Issue: Kanhwa Sŏn and Korean Buddhist Soteriology,” 『불교학보』 66 (2013): 167-189. 미소장
17 Robert E. Buswell, Jr. 「頓悟頓修에 對한 知訥의 兩價的 批判」. 『보조사상』 2(1988): 71-88. 미소장
18 Robert E. Buswell, Jr . The Korean Approach to Zen: The Collected Works of Chinul.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3. 미소장
19 Robert E. Buswell Jr. and Donald S. Lopez Jr.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