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牧牛子修心訣』 H68 | 미소장 |
2 | 『圓頓成佛論』 H70 | 미소장 |
3 | 『看話決疑論』 H71 | 미소장 |
4 | 『法集別行錄節要并入私記』 H74 | 미소장 |
5 | 『華嚴論節要』 H75 | 미소장 |
6 | 『六祖壇經』 T2007 | 미소장 |
7 | 『大正新修大藏經』. 高楠順次郞, 渡邊海旭 et al. 東京: 大正新脩大藏經刊行會, 1924-1935 (CBETA Online: https://cbetaonline.dila.edu.). | 미소장 |
8 | 『韓國佛敎全書』. 동국대학교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편). 제4권. 서울:동국대학교출판부, 1979-1989 (https://kabc.dongguk.edu/content/list?itemId=ABC_BJ). | 미소장 |
9 | 김천학.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 『원돈성불론』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33 (2010): 151-188. | 미소장 |
10 | 성 철. 『禪門正路』. 서울: 불광출판사, 1981. | 미소장 |
11 | 예문동양사상연구원⋅이덕진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지눌』. 서울: 예문서원, 2001. | 미소장 |
12 | 이덕진. 「知訥의 性起設에 대한 -考察 -中國華嚴敎學과 關聯하여-」. 『보조사상』 13 (2000): 389-422. | 미소장 |
13 | 이수미. 「지눌知訥, 깨달음과 닦음의 화두를 던지다」.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편. 『테마한국불교』 9. 81-114.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21. | 미소장 |
14 | 인 경. 「普照의 華嚴敎學의 受用과 批判 -緣起門과 性起門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20 (2003): 10-33. | 미소장 |
15 | 최연식. 「한국불교에서의 성기(性起)와 연기(緣起): 의상 화엄사상의성기적 이해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보』 74 (2016): 246-269. | 미소장 |
16 | Robert E. Buswell, Jr. “Pojo Chinul 普照知訥 and the Sudden-Gradual Issue: Kanhwa Sŏn and Korean Buddhist Soteriology,” 『불교학보』 66 (2013): 167-189. | 미소장 |
17 | Robert E. Buswell, Jr. 「頓悟頓修에 對한 知訥의 兩價的 批判」. 『보조사상』 2(1988): 71-88. | 미소장 |
18 | Robert E. Buswell, Jr . The Korean Approach to Zen: The Collected Works of Chinul.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3. | 미소장 |
19 | Robert E. Buswell Jr. and Donald S. Lopez Jr.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