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RGP콘택트렌즈와 각막사이에 생성된 누액렌즈의 두께와 굴절력과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of refractive power and tear lens thickness between post-RGP lens and cornea / 정예린 ; 김기홍 ; 추병선 1

Abstract 1

Ⅰ. 서론 2

Ⅱ. 대상 및 방법 3

1. 대상 3

2. 연구 방법 3

3. 통계분석 4

Ⅲ. 결과 4

1. Fitting에 따른 RPG 렌즈 후면과 각막전면의 눈물층 두께 4

2. Fitting에 따른 눈물 렌즈의 굴절력 4

3. Fitting에 따른 RPG 렌즈 후면과 각막전면의 눈물층 두께와 눈물 렌즈의 굴절력 상관관계 6

Ⅳ. 고찰 6

Ⅴ. 결론 8

References 8

요약 10

초록보기

목적 : 본 연구는 RGP 렌즈 착용 상태에서 렌즈후면과 각막전면에 존재하는 눈물층의 두께와 눈물의 굴절력을측정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명(평균연령 23.02±1.89세)이 참여하였다. 각 참여자는 각막곡률의 측정값에 따라 피팅상태가 flat fit, alignment fit, steep fit이 되도록 3개의 다른 BC의 RGP를 피팅하였다. RGP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OCT로 눈물층 두께 측정, 자동굴절계를 이용하여 눈물렌즈의 굴절력을 측정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렬된 피팅이 된 경우, 최소의 굴절력 조정이 요구되며, 반면 스팁한 피팅인 경우 더 많은 조정이 필요하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post-Rigid Gas Permeable lens (RGP) tear film thickness and its refractive power.

Methods : Twenty participants (23.02±1.89 years old) were enrolled. Each participant was prescribed three different Base Curves (BC) of RGP to induce different fitting patterns (alignment fit, flat fit, and steep fit). The tear film thickness using OCT and refractive power was measure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alignment fitting requires minimum refractive power adjustment while steep fitting requires a more careful approach.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VR 시청이 양안시 및 안구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VR viewing on binocular vision and eye movement : focusing on undergraduates having a major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 체육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현욱, 박창원 p. 209-218

보기
안경테 브랜드 국가에 대한 감성 이미지 설문조사 연구 = A questionnaire study on connotative meanings of eyewear frame country-brand 김민한, 김대웅, 김달영 p. 219-230

보기
비접촉식 경면현미경을 이용한 20대의 각막내피세포 분석 = Analysis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measured by noncontact specular microscopy in 20s 경다슬, 김효진 p. 231-241

보기
망고스틴의 크산톤 화합물을 이용한 항균 및 항산화 기능을 포함한 블루라이트 차단 콘택트렌즈 개발 = Development of blue light blocking contact lenses includ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using mangosteen’s xanthone compound 박지훈, 손형규, 김호중 p. 243-253

보기
주시거리에 따른 모의 시각장애의 신체 안정성 변화 = Changes in physical stability of simulated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gaze distance 이희연, 류영욱, 추병선 p. 255-268

보기
유발 부등상시의 양안 시기능과 독서 능력 측정 = Measurements of binocular visual function and reading ability in induced aniseikonia 김경동, 구본엽, 마기중 p. 269-281

보기
10대 청소년의 COVID-19 전후 굴절이상 비교 분석 = To compare and analyze refractive error before and after COVID-19 in teenagers : focusing on Jeonbuk Region : 전북 지역 중심으로 이선미, 김정희 p. 283-291

보기
타각적 굴절검사값을 기반으로 최적의 안경처방 머신러닝 알고리즘 개발 = Development of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optimum eyeglasses prescription based on objective refraction 이민지, 홍주완, 윤송희, 임현성 p. 293-300

보기
COVID-19 대유행 동안 20~30대의 CVS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 Study on CVS symptoms in 20s and 30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focusing on some visitors to optical shops : 일부 안경원 방문자를 중심으로 윤세빈, 김태훈 p. 301-310

보기
RGP콘택트렌즈와 각막사이에 생성된 누액렌즈의 두께와 굴절력과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of refractive power and tear lens thickness between post-RGP lens and cornea 정예린, 김기홍, 추병선 p. 311-320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Nong K, Anderson DM: Thin film evolution over a thin porous layer: modeling a tear film on a contact lens. SIAM J Appl Math. 70(7), 2771-2795, 2010. DOI: https://doi.org/10.1137/090749748 미소장
2 Fath-Elrahman N, Merghani I et al.: The effects of rigid gas-permeable contact lens wear on tear film of eyes with keratoconus. Sudanese J Ophthalmol. 7(1), 6-9, 2015. DOI: https://doi.org/10.4103/1858-540X.158989 미소장
3 Benedetto DA, Shah DO et al.: The instilled fluid dynamics and surface chemistry of the tear film. Invest Ophthalmol. 12(14), 887-902, 1975. 미소장
4 Prydal JI, Artal P et al.: Study of human precorneal tear film thickness and structure using laser interferometry. Invest Ophthalmol Vis Sci. 33(6), 2006-2011, 1992. 미소장
5 Craig, JP, Willcox MP et al.: The TFOS International workshop on contact lens discomfort: report of the contact lens interactions with the tear film subcommittee. Invest Ophthalmol Vis Sci. 54(11), 123-156, 2013. DOI: https://doi.org/10.1167/iovs.13-13235 미소장
6 Mann A, Tighe B: Contact lens interactions with the tear film. Exp Eye Res. 117, 88-98, 2013. DOI: https://doi.org/10.1016/j.exer.2013.07.013 미소장
7 Morgan PB, Woods C et al.: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20. https://www.clspectru m.com/issues/2021/january-2021/internation al-contact-lens-prescribing-in-2020. Access ed Sep 1, 2023 미소장
8 Kim TH, Song KH: Korean Contact Lens Research Association, RGP Contact Lens, 1st ed., Korea, Hyeonmunsa, pp. 30-31, 1998. 미소장
9 Huang D, Swanson EA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cience 254(5035), 1178-1181, 1991. DOI: https://doi.org/10.1126/science.1957169 미소장
10 Faber DJ, Mik EG et al.: Light absorption of (oxy-)hemoglobin assessed by spectroscopic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tics Letters 28(16), 1436-1438 ,2003. DOI: https://doi.org/10.1364/ol.28.001436 미소장
11 Kim YK: A study on time-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based on piezoelectric transducer optical delay line, 학위수여 대학교University PhD Thesis, pp. 1-8, 2011. 미소장
12 King-Smith PE, Fink BA et al.: The thickness of the human precorneal tear film: evidence from reflection spectra. Invest Ophthalmol Vis Sci. 41(11), 3348-3359, 2000. 미소장
13 Wang J, Fonn D et al.: Precorneal and preand postlens tear film thickness measured indirectly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vest Ophthalmol Vis Sci. 44(6), 2524- 2528, 2003. DOI: https://doi.org/10.1167/iovs.02-0731 미소장
14 Herranz RM, Zarzuelo GR et al.: Contact lens correction of regular and irregular astigmatism. Optics, Physiology and manage. 10, 157-180, 2012. DOI: https://doi.org/10.5772/19001 미소장
15 Fink BA, Mitchell GL et al.: Enhancing RGP contact lens performance: comparing back surface options. Optometry 73(10), 605-613, 200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