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교사-영유아 관계 효능감에 미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매개적 인과모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피어슨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델링(SEM), 부트스트래핑, 소벨 테스트, AMOS 10.0,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링(SEM)을 통해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자아탄력성은 교사-영유아 관계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영유아 관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자아탄력성, 교사-영유아 관계 효능감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사의 영유아와의 관계 역량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가신현, 윤영순(2020).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25(6), 253-274. | 미소장 |
2 | 강진숙, 이경남(205).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1), 321-342. | 미소장 |
3 | 국준봉, 경미선, 김갑성(2023).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효능감, 교사 직무만족도 간 관계. 교육행정학연구, 41(1), 117-141. | 미소장 |
4 | 권수현, 이승연(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137-157. | 미소장 |
5 | 권순구, 봉미미, 김성일(2016).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30(3), 469-496. | 미소장 |
6 | 김기철, 이선채(2016). 영아 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 및 민감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6(4), 201-226. | 미소장 |
7 | 김상림, 박창현(2015). 유아의 기질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37-58. | 미소장 |
8 | 김세곤(2021).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자아탄력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영희, 정수진(2021).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 909-929. | 미소장 |
10 | 김태연, 조원혁(2021). 우리나라 공공기관 경영실적 및 재무성과와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의 관계에 대한실증 연구: 인적자원관리의 제도적 상황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30(1), 47-80. | 미소장 |
11 | 김혜순(2017). 초등교사의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박은혜, 전샛별(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253-275. | 미소장 |
13 | 박춘희, 이지연(2012). 장애학생 부모의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3(2), 479-504. | 미소장 |
14 | 박현진, 권이정(2021). 저경력 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 경험. 한국유아교육연구, 23(4), 185-210. | 미소장 |
15 | 서석원, 박지선(2016).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실환경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4(3), 293-305. | 미소장 |
16 | 서윤희(2020).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인식 및 경험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5(4), 275-299. | 미소장 |
17 | 오승현, 권연희(2017).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1), 1-17. | 미소장 |
18 | 우덕례, 이선미(2020).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2), 49-69. | 미소장 |
19 | 임현주, 최항준, 김현정(2015). 유아의 성별과 출생순위, 어머니변인 및 가정환경,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인지·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247-264. | 미소장 |
20 | 윈커옌, 문은식(2022).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 자아탄력성, 직무몰입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인간발달연구, 29(1), 151-177. | 미소장 |
21 | 장숙현, 문혁준(2015). 유치원 주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전문성 지원환경이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9(2), 75-92. | 미소장 |
22 | 정예지, 김해원(2019). 미디어 조직 내 변혁적 리더십과 팀 지원 인식이 창의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탐색적 연구-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0(2), 85-119. | 미소장 |
23 | 최미경(2023). 반응성 상호작용 교육이 예비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41, 59-84. | 미소장 |
24 | 황연옥(2022). 유치원 초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해 및 현장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40(4), 1-30. | 미소장 |
25 | 황지선, 박창현(2021). 사립유치원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과 교육과정 실행 개선에 대한 이야기. 영유아교육지원연구, 6(2), 23-42. | 미소장 |
26 | Bass, B. M., & Avolio, B. J. (2000). MLQ-Multi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technical report. Redwood City, CA: Mind Garden. | 미소장 |
27 | Bass, B. M., & Avolio, B. J. (1994).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28 | Bass, B. M., & Avolio, B. J. (1990). Transfrormational leadership development: Manual for the multifactor questionnaire.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 미소장 |
29 |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 미소장 |
30 |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70(2), 349-361. | 미소장 |
31 |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 미소장 |
32 | Chen, Y., McCabe, B., & Hyatt, D. (2017).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resilience, interpersonal conflicts at work, and safety outcomes of construction worker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43(8). 10.1061/(ASCE)CO.1943-7862.0001338. | 미소장 |
33 | Ferreira, T., Cadima, J., Matias, M., Leal, T., & Mena Matos, P. (2020). Relations between child selfcontrol, maternal relational frustration, and teacher-child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with children from dual-earner families.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34(1), 1-4 | 미소장 |
34 | Gooty, J., Gavin, M., Johnson, P. D., Frazier, M. L. & Snow, D. B. (2009). In the eyes of the beholder:transformational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erformance.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15(4), 353-367. | 미소장 |
35 | Hendricks, M., & Scheerens, J. (2013). School leadership effects revisited: A review of empirical studies guided by indirect-effect models. School Leadership & Management, 33(4), 373–394. | 미소장 |
36 | Hoyle, R. (1995).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 issues. In R. H.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 1-15). Thousand Oaks. CA: Sage. | 미소장 |
37 | Judge, T. A., & Piccolo, R. F. (2004).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tic test of their relative valid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5), 755-768. | 미소장 |
38 |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Y: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39 | MacKinnon, D, P., Fairchild, A. J. & Fritz, M. S. (2007). Meditation analysi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8, 593-614. | 미소장 |
40 | Maldonado, C.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academic trajectories across elementary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 미소장 |
41 | Miller-Lewis, L. R., Sawyer, C. P., Searle, A. K., & Sawyer, M. G., (2014). Child and family predictors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rajectories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4(3), 235-243. | 미소장 |
42 | Ninković, S. R, & Knežević Florić, O. C. (2018). Transformational school leadership and teacher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46(2). 49-64. | 미소장 |
43 | OECD(2019), OECD Learning Compass 2030: A Series of Concept Notes,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teaching-and-learning/learning/learning-compass-2030/OECD_Learning_Compass_2030_Concept_Note_Series.pdf | 미소장 |
44 | Pirola-Merlo, A., Hartel, C., Mann, L., & Hirst, G.(2002). How leaders influence the impact of affective events on team climate and performance in R&D teams. The Leadership Quarterly, 13, 561-581. | 미소장 |
45 | Qayyum, A. (2019).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and moderation and mediation effects of PsyCap:A comparative study. Doctoral Dissertation. Zhejiang Normal University. | 미소장 |
46 | Shim, S. Y., & Lim, S. A. (2019). The influence of Korean preschool teachers’ work environments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9, 1749-1762. | 미소장 |
47 | Skaalvik, E. M., & Skaalvik, S. (2007). Dimensions of teacher self-efficacy and relations with strain factors,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 611-625. | 미소장 |
48 | Sun, R., & Henderson, A. C. (2017).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processes: Influencing public performanc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77(4), 554-565. | 미소장 |
49 |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7), 783-805. | 미소장 |
50 | Tschannen-Moran, M., Woolfolk Hoy, A., & Hoy, W. K. (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8, 202-248. | 미소장 |
51 | Valero, J. N., Jung, K., & Andrew, S. A. (2015). Do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ild resilient public and nonprofit organizations.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24(1), 4-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