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까지 인도의 북서부의 광활한 지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방언을 힌디어라는 거대 우산의 아래에 통합하여 힌디어 벨트를 형성하였다. 힌디어 우산 아래 존재하는 다수의 방언들 중에 하나였던 카리볼리는 일상어와 상인의 언어에 지나지 않았으나 19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까지 다른 방언들을 자신의 우산 아래에 두며 대표성을 획득하며 패권을 장악했다. 이는 이후 독립운동 과정에서 힌두 문화 담론과 국가 담론을 내포하며 상징성을 띄게 됨으로써 점차 ‘민족어’, ‘국어’,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하였으며, 다언어 국가인 현재 인도에서 인도어를 대표하는 언어로서 패권을 장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떻게 헤게모니 밖에 있었던 힌디어가 문화적 패권과 동의를 얻었는지 살펴보고, 여기에 내포된 의미가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Dāsa, Śyāmasundara, 『Hastalikhita Hindī Pustakoṃ kā Sṅkṣipta Vivaraṇa』, Kashi: Nāgarī Pracāriṇī Sabhā, 1918. | 미소장 |
2 | Dāsa Śyāmasundara, 『Merī Ātma Kahānī』, Prāyaga: Inḍiyana Presa, 1941. | 미소장 |
3 | Kāśī Nāgarīpracāriṇī Sabhā, 『Kāśī Nāgarīpracāriṇī Sabhā kā Arddhaśatābdīkā Itihāsa』 Kashi: Nāgarī Pracāriṇī Sabhā, 1943. | 미소장 |
4 | Lāla, Śrīkṛṇa, Tripāthī, Karuṇāpati, 『Hīraka Jayantī Grantha』, Kashi: NāgarīPracāriṇī Sabhā, 1954. | 미소장 |
5 | 김용정, 「19세기 중엽 힌디어의 정제(整齊)와 담론의 근대성」, 『인문학연구』116, 2020, pp. 5-44. | 미소장 |
6 | Sunītā, Pāṭhaka, 「Nāgarīpracāriṇī Sabhā Kā Hindī Ko Yogadāna」, Varanasi:Hariścandra Snātakottara Mahāvidyālaya, 1999. | 미소장 |
7 | King, Christopher, “The Nagari Pracharini Sabha of Benares, 1893-1914:A Study of the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of the Hindi Language”,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1974. | 미소장 |
8 | 김찬완, 최지연 편, 『인도 대전환의 실체와 도전: 힌두 헤게모니 담론』, 다해, 2023. | 미소장 |
9 | Agravāla, Mukeśa, 『Vartamāna Sandarbha Meṃ Hindī』, New Delhi: Taruṇa Prakāśana, 2007. | 미소장 |
10 | Bāharī, Haradeva, 『Hindī: Udbhava, Vikāsa aura Rūpa』, New Delhi: Kitāba Mahala, 1984. | 미소장 |
11 | Caudharī, Ananta, 『Nāgarī Lipi aura Hindī Vartanī』. Patna: Bihāra HindīGrantha Akādamī, 1973. | 미소장 |
12 | Nagendra, 『Hindi Sāhitya kā Itihāsa』, Noida: Mayūra Peparabaiksa, 2012. | 미소장 |
13 | Nagendra, 『Nagendra Grathāvalī』, Delhi: Neśanala Pabliśiṅga Hāusa, 1997. | 미소장 |
14 | Rastogî, Girīśa, 『Bhâratendu Sañcayana』, New Delhi: Sâhitya Akâdemî, 2010. | 미소장 |
15 | Sāṅkrityāyana, Rahula, 『Purātattva Nibandhāvalī』, Allahabad: The Indian Press, 1937. | 미소장 |
16 | Śarmā, Rāmavilāsa, 『Bhāratiya Sāhitya Kī Bhūmikā』, Delhi: Akṣara Prakāśana, 1996. | 미소장 |
17 | Śarmā, Rāmavilāsa, 『Nirālā kī Sāhitya Sādhanā』, Delhi: Rājakamala Prakaśana, 1972. | 미소장 |
18 | Śarmā, Rāmavilāsa, 『Rāṣṭrabhāṣā』, Delhi: Akṣara Prakāśana, 1965. | 미소장 |
19 | Siṁha, Baccana, 『Hindī Sāhitya kā Dūsarā Itihāsa』, Delhi: Rādhākṛiṣṇa Prakaśan, 1996. | 미소장 |
20 | Śukla, Rāmacandra, 『Hindī Sāhitya kā Itihāsa』, Delhi: Prakāśana Sansthāna, 2002. | 미소장 |
21 | Śukla, Rāmacandra, 『Hindī Sāhitya kā Itihāsa』, Delhi: Kāntī Publications, 2007. | 미소장 |
22 | Talavāra, Vīrabhārata, 『Rassākaśī: Unnīsvīṁ Sadī Kā Navajāgaraṇa Aura Paścimottara Prānta』, Delhi: Sārāṁśa Prakāśana, 2006. | 미소장 |
23 | Taṇḍana, Pūranacanda, 『Hindī Bhāṣā Sāhitya Aura Saṃskṛti』, New Delhi:Satīśa Buka Ḍipo, 2008. | 미소장 |
24 | Vājapeyī, Kiśorīdāsa, 『Rāṣṭrabhāṣā Kā Itihāsa』, Calcutta: Janavāṇī Prakāśana, 1950. | 미소장 |
25 | Vājapeyī, Nandadulāre, 『Devanāgarī Lipi Svarūpa, Vikāsa aura Samasyāeṃ』, Calcutta: Janavāṇī Prakāśana, 1962. | 미소장 |
26 | Bayly, C.A., The C.A. Bayly Omnibus,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 미소장 |
27 | Cohn, Bernard S, “The Command of Language and the Language of Command”, Guha, Ranjit, Subaltern Studies Ⅳ,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pp. 276-329. | 미소장 |
28 | Dalmia, Vasudha, The Nationalization of Hindu Traditions: Bhāratendu Hariśchandra and Nineteenth-century Banaras,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29 | Freitag, Sandria B., Culture and Power in Banaras: Community, Performance, and Environment, 1800-1980,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9. | 미소장 |
30 | Grierson, George Abraham, Linguistic Survey of India, Ⅸ-1, Calcutta: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1916. | 미소장 |
31 | Gould, William. Hindu Nationalism and the Language of Politics in Late Colonial India. New Delhi: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 미소장 |
32 | Ives, Peter, Language and Hegemony in Gramsci, London: Fernwood Publishing, 2004. | 미소장 |
33 | King, Christopher, One Language, Two Scripts The Hindi Movement in Nineteenth Century North India,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 미소장 |
34 | Orsini, Francesca, Before the Divide: Hindi and Urdu Literary Culture, New Delhi: Orient Blackswan, 2010. | 미소장 |
35 | Orsini, Francesca, The Hindi Public Sphere 1920-1940: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Age of Nationalism,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 미소장 |
36 | Rai, Alok. Hindi Nationalism, Hyderabad: Orient Longman, 2000. | 미소장 |
37 | Simpson, Andrew, Language & National Identity in A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38 | Williams, Raymond, Marxism and Literature, London, Verso, 197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