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생태환경예술교육 ‘Playing Metaverse 메타夢’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 소재 A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11명을 선정하였고,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진행되었다. 이 수업은 주1회 90분씩, 2023년 04월 18일부터 05월 23일까지 총 6주간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통해 대응표본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학습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생태환경예술교육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콘텐츠가 초등학생의 학습실재감과 능동적 학습을 높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예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아트에듀테크가 초등학생의 생태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미래의 예술교육방법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학생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생태환경예술교육 'Playing Metaverse 메타夢' 참여가 학습실재감 및 능동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playing metaverse meta夢' in eco-environmental arts education using metaverse platform on learning reality and active learning 홍혜전 p. 3-22

윌리엄 포사이드의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에 나타난 기하학적 형태 연구 = A study on the geometric shape of William Forsythe in Synchronous Objects for One Flat Thing, Reproduced 김무, 소신민, 손관중 p. 25-47

춤, 놀라운 치료의 역사 = Dance, a history of amazing therap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Byeonggut and Italian Tarantism : 한국의 병굿과 이탈리아의 타란티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가영 p. 175-197

비천무의 무대장치 활용 전개 양상과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cheonmu's stage device use and its influence 왕예귤, 이주희 p. 99-113

근대 무용가 조택원의 친일 행적에 관한 역사적 성찰 = Historical reflection on the pro-Japanese activities of modern dancer Jo Taek-won 조경아 p. 115-144

중국 조선족무용 선구자 조득현의 미학사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esthetic thoughts of Zhao Dexian, a pioneer of Korean Chinese dance in China 김예나, 김영화 p. 49-72

문화콘텐츠로서 명작무의 가치와 효과 및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value and effect of Myeongjakmu as cultural contents and development plan for activation 함선호, 차수정 p. 145-174

중국 신장(新疆)지역 위구르족(維吾爾族) 사발춤(頂碗舞)의 형성 과정으로 본 춤 문화 원형의 요소와 특성 = Changes to the origin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Xinjiang's uyghur bowl dance 영지 p. 7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