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디지털과 AI가 지배하기 시작한 시대에 접어들며 인문학에 대한 필요성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대화형 인공지능인 챗(Chat)GPT는 광범위한 지식을 학습하며 인간이 요구하는 질문에 문장형으로 대답한다. 게다가 독자적으로 작성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광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전파한다. 이처럼 사고하는 인공지능의 출현으로 인해 인문학에 대한 필요성과 가치는 더욱 하락했다. 특히 고전문학에 대한 교육과 수요는 급격히 줄어들어 대학 전공 강의에서도 찾기 어려워졌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진보한 시대라고 해도 인문학적인 사고와 교육을 통한 인간에 대한 이해와 가치 발견은 여전히 중요하다. 챗GPT가 매우 빠르게 광대한 데이터로 실시간 답을 주고 있지만, 문제를 선택하고 제시하는 것은 인간의 사고이다. 그러한 사고력의 증진과 인류를 위한 기술의 사용에는 인문학 교육이 추구하는 인권과 평화를 존중하는 인간적인 본성의 발견과 인류애에 기반한 삶의 방향성 제시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해 미진하나마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논자가 전공한 닌자(忍者) 콘텐츠를 활용한 전근대 에도(江戸)문학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다. 닌자 콘텐츠를 활용하여 일본 고전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며 교육의 다양성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찾고자 했다. 교육 방법으로는 닌자를 테마로 하여 진행한 전반적인 강의 내용을 살펴보고자 했다. 대표적인 일본 고전 콘텐츠로서 현재까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닌자에 대한 정의 및 의의, 그리고 문학 교육의 도구로서의 닌자, 나아가 일본 서브컬처 연구의 소재로서의 닌자에 관해 강의를 진행했다. 다음으로는 에도문학을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닌자가 메인, 혹은 서브 캐릭터로 등장한 소설 작품을 강독했다. 전반적인 장르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후, 닌자가 등장한 작품들을 선별하여 번역했다. 다양한 장르에 등장한 닌자 작품을 분석한 후, 닌자가 등장한 작품들이 갖는 보편적인 특징과 다양성을 확인하며 구체적인 스토리의 형식까지 확인했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 닌자가 등장한 작품들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과 분석을 가능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는 닌자가 등장한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함께 고찰하여 닌자의 현재적 의미와 영상에서의 특징에 대해서도 강의를 진행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닌자를 주 소재로 설정하여 진행한 교수자의 강의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했다.
本論文では、人文学の危機という問題の対策として、忍者コンテンツを活用した江戸文学の教育を試みたものである。忍者コンテンツを活用して日本の古典への関心を高め、教育の多様性を人文学的な観点から追求しようとした。まず、日本古典の重なコンテンツとして、現在まで人気のある忍者の定義及び意義、文学教育の道具としての忍者、日本サブカルチャー研究の題材としての忍者について授業を行った。その後、江戸文学をジャンルに区分せず、研究の境界線を崩し、作品の講読を進めた。もちろん、ジャンルに関する基本的な説明の後、忍者が登場した作品を先読みして韓国語で翻訳した。さらに忍者が登場した作品が持つ特徴を確認し、具体的なストーリーの形式まで確認した。このような授業を通じて、忍者が登場した作品の学問的なアプローチと分析を可能にした。このように本論文は、忍者を授業の重なテーマにした授業に関する、教授者の授業方法を具体的に分析したものである。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영란. "팬데믹(Pandemic) 시대의 일본고전문학 교육의 가능성 시론(試論)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중심으로 -." 日本語文學94 (2022): 3-20. | 미소장 |
2 | 김학순. "일본 고전 문학의 온택트(ontact) 교육 - 온라인을 통한 에도(江戸)시대 문학과의 조우 -." 日本語文學94 (2022): 21-37. | 미소장 |
3 | 김학순. "에도(江戸)에 숨어든 닌자(忍者)― 닌자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시작과 정의 ―." 日本學報130 (2022): 1-18. | 미소장 |
4 | 김학순. "에도(江戸)문학에 잠입한 닌자(忍者) - 변신하는 닌자와 진화하는 인술(忍術)-." 日本文化學報96 (2023): 165-181. | 미소장 |
5 | 남이숙. "일본고전문학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다케토리 모노가타리(竹取物語)』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38 (2015): 359-379. | 미소장 |
6 | 데구치 히사노리. "일본고전교육의 현장과 미래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의 회화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78 (2022): 175-194. | 미소장 |
7 | 민병훈. "古典文学の教育とサブカルチャー" 日本語文學72 (2017): 241. | 미소장 |
8 | 立石和弘. “古典教育と加工文化.” 日本文学55.3 (2006):9-10. | 미소장 |
9 | 山田雄司. 忍者の精神. 角川選書(2019): 186. | 미소장 |
10 | 山田雄司 編. 忍者學講義. 中央公論新社(2020): 2-9, 10-11. | 미소장 |
11 | 吉丸雄哉. 忍者とは何か. 角川選書(2022): 20. | 미소장 |
12 | 吉丸雄哉, 尾西康充, 山田雄司編著. 忍者文芸読本. 笠間書院(2014): 200-2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