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기생충〉은 일견 반지하 등 매우 한국적인 소재와 상황을 바탕으로 한 영화처럼 보이지만, 세계 어느 곳에서나 존재할 수 있는 계층 간의 빈부 격차 문제를 다루며 보편적인 공감을 끌어내었다. 또한 이 영화는 전 세계의 관객들에게 익숙했던 블랙코미디, 스릴러, 그로테스크, 호러 장르 등 기존의 여러 장르를 창의적으로 융합하는 데 성공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장르적 혼합으로 이루어진 〈기생충〉을 스페인에서 비롯된 피카레스크적 전망과 연결하여 탐색해보려고 한다. 특히 이 영화가 케베도의 피카레스크 소설인 『사기꾼』과 어떠한 유사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두 작품이 나온 시대적인 배경인 17세기 스페인과 21세기 한국의 역사적인 현실을 살펴보고, 개인과 사회 사이의 갈등과 관련된 인식론적 유사성을 탐색하였다. 이어서 두 작품의 유사성을 생존 수단으로서의 속임수와 위조, 계급 구분의 여러 상징, 신분의 경계로서 ‘선’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비교에서 나타난 두 작품 간의 이데올로기적 유사성과 가족을 둘러싼 차이점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이렇게 본 연구는 〈기생충〉을 피카레스크 소설인 『사기꾼』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면서 영화가 갖는 외연을 확장해볼 수 있었고, 문학과 영화의 상관성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셸 우엘벡의 작품에 드러나는 여성혐오 연구 = A study of misogyny in Michel Houellebecq's work 강민수 p. 1-34

윌리엄 포크너의 『내려가라, 모세여』에 나타나는 생태주의적 비전 읽기 = The ecological vision in William Faulkner's Go Down, Moses 김미정 p. 35-63

대한민국-스페인 육군 군가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army military song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Spain : with a focus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lyrics : 가사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박소영, 이강호 p. 65-90

프랑스어 인용표지 ‘genre’의 발화 양태에 대한 고찰 = Reflections on the pragmatic use of the French discourse marker 'genre' 서정연 p. 91-117

중국인의 페루 이주와 리마 정착 초기 전염병 확산 과정에서의 사회적 배제 = Chinese migration to Peru and their social exclusion in the spread of the epidemics in Lima in the early 20th century 서지현 p. 119-152

‘오키나와(沖縄) 문학’의 모색 = Exploring 'Okinawan literature' : focusing on Sadatoshi Oshiro's Mabuiwakashi Mysteries : 오시로 사다토시(大城貞俊) 「마부이와카시 기담(マブイワカシ奇譚)」을 중심으로 심정명 p. 153-176

1980년대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사진 담론 = Benjamin's media aesthetics and the formation of photographic discourse in critical realism of the 1980s : 벤야민의 매체미학 수용을 중심으로 여문주 p. 177-200

영상미디어와 ChatGPT를 활용한 외국어 교수법 연구 = A study on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method using visual media and ChatGPT : 직무능력 향상을 목표로 윤애경 p. 201-231

오키나와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 How to remember the war in Okinawa : centering on museums :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애 p. 233-259

『태풍의 계절』의 서사 전략과 ‘검은 열대 지대’ = The narrative strategy and "el trópico negro" of Temporada de Huracanes 이성훈 p. 261-284

하비에르 사모라(Javier Zamora)의 『나 홀로(Solito)』에 드러난 증언 서사의 의미 = Javier Zamora's Solito as a testimonial narrative : meaning of aloneness and representation of sensory memories : ‘홀로 됨’의 고찰과 감각적 기억의 재현 이은아 p. 285-315

시각 언어를 통해 본 <오징어 게임>의 세계성 = Global impact of Squid Game in the perspective of visual language 이재은 p. 317-338

감각론과 유물론 사이의 디드로 = Diderot between materialism and sensualism 이충훈 p. 339-371

피카레스크적 전망에서 본 <기생충> = Parasite from a picaresque perspective : a contrastive comparison with El Buscón : 『사기꾼(El Buscón)』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민현 p. 373-396

여신(女神)이 된 ‘환향녀(還鄕女)’ = The 'returning ladies' who became a goddes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Ui-sun and Huyen Tran : 의순(義順)과 후이옌 쩐(Huyền Trân, 玄珍)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빛나라 p. 397-423

환구시보 사설에 드러난 한국 ‘態度’ 비판적 담화분석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attitudes' in the editorials of global times : 'confident diplomacy' vs. 'neither submissive nor arrogant diplomacy' : ‘당당한 외교’ 對 ‘不卑不亢的外交’ 최태훈 p. 425-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