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관계에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2022년 실시한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SPSS 25.0 통계프로그램으로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디지털정보화 능력,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노인의 사회자본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립변수인 디지털 정보화 능력을 향상하면 사회자본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이 증가할수록 사회자본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의 관계에서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디지털정보화 능력이 사회자본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고,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경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기관의 단순한 콘텐츠 위주의교육에서 좀 더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 전환 등 실천적 노력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digital device use self-efficacy in this relationship. To this end, the digital information gap fact-finding data conducted in 2022 was used as an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gi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using digital devic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s a dependent variabl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lso increased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digital literacy, was improv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social capital increased as the self-efficacy of using digital devices in the elderly increased. Sub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device us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digital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capital, and the path mediated by digital device self-efficac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efforts such as convers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from simple contents-oriented educ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to improve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are suggest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听中国相关课程的大学生的多文化接受度根据个人变因的不同与共情能力、自我尊重感的关系研究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empathy and self-respect of college students listening to the courses related to China : based on N University : 以N大学为中心 傅婷, 张晓清, 张德婧 p. 245-256
노인의 사회참여 동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tivation for social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on depression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검증 최고운, 김준수 p. 1-25
프랑스학 분야의 상호문화 관련 연구 동향 = Trends in intercultural research in French studies 김연주 p. 27-49
심리상담의 목적 = The aim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 focusing on Erich Fromm’s love and productiveness : 에릭 프롬의 사랑과 생산성을 중심으로 김훈희 p. 51-71
다문화 놀이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인식 탐색 = Exploring the multicultural percep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박부숙 p. 73-91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social and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exist between NET and NNETs in South Korea’s English hiring market = 원어민 영어 교사들과 비원어민 영어 교사들 사이에 존재하는 사회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Young Eun Lee p. 93-117
고등학생 예비부모의 영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 The high school student study pre-parents’ perceptions about childcare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박은주 p. 119-134
노인의 전자기기 사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lectronic devic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김영혜, 오현욱, 윤미라, 조한라 p. 135-158
주민주도 마을지향복지관 적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sidents-led village-oriented welfare center : focusing on reflective learning club : 성찰적 학습동아리 중심으로 서상범 p. 159-181
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과 권리존중 보육실행과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ights-respecting childcare practices of childcare teachers 변길희 p. 183-194
노인의 디지털정보화 능력과 사회자본, 디지털기기 이용 자기효능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social capital, and self-efficacy using digital devices of the elderly 이주은, 김준수 p. 195-212
대학생 대인관계 문제 조사 연구 = A study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정성란 p. 213-228
인간의 도덕적 결함과 도덕교육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uman moral defects and moral education 정철영 p. 229-243
직무환경이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the impact of work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서대석 p. 257-272
민간조사제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 = Big data analysis research on private investigation systems 조철규 p. 273-287
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한 장애인의 직업능력 유형과 영향요인 = The types of vocational ability and influencing factor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sing the growth mixture model 이형하 p. 289-308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봉섭·고정현(2020). “고령층 디지털 사회 자본에 대한 디지털 조력자 영향 연구: 디지털정보 활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13(2): 27-57. 미소장
2 윤현숙·이은경·범경아·김영자(2015). “정보화 교육이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에 미치는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5(5): 283-294. 미소장
3 이주형·김기연(2022). “중고령자의 코로나19 이후 인터넷 이용량 변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관계: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5(1): 35-61. 미소장
4 최형임·송인욱(2020). “노인의 디지털 정보활용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6): 246-255. 미소장
5 김유나·변은지(2021). “고령층 디지털 정보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89-97. 미소장
6 김지훈·강욱모·문수열(2013).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의관계 분석: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0(3): 25-50. 미소장
7 김판수·김희섭·이미숙(2014). “고령층의 정보 활용 수준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7(1): 25-47. 미소장
8 박상미·김한솔·박해긍(2022). “장애인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사회적 고립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1): 223-243. 미소장
9 신근영·고재욱(2017). “노인의 자기 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255-267. 미소장
10 오설미·최송식(2021). “노인의 디지털 정보수준이 신기술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기술적자기효능감과 이용성과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6(4): 137-170 미소장
11 윤미선·이종혁(2012). “소셜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매개모델 분석”,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2): 5-44. 미소장
12 이석진·이승진(2018).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의 연관성 분석”, 『평생학습사회』, 14(1): 71-100. 미소장
13 이승민(2013). “스마트기기와 SNS 활용이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161-180. 미소장
14 정민숙·이유리(2012). “정보화교육 참여노인의 인터넷활용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15(1): 63-85. 미소장
15 정현경·박찬주(2022). “코로나19 이후 인터넷 (PC, 모바일) 이용과 디지털정보 기술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농어촌관광학회지』, 25(2):131-144. 미소장
16 최고운·김준수(2022). “임파워먼트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0: 177-204. 미소장
17 최미연·박성복·이형석(2021). “베이비부머 세대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매체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와 미디어 멀티태스킹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17(3): 258-305. 미소장
18 허만섭(2021). “인터넷 심화 활용이 인터넷 사회적 자본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디지털 정보 활용수준격차를 중심으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9):1467-1476. 미소장
19 황은희·신수진·정덕유(2011). “노인의 인터넷 사용 실태, 자아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5(1): 118-128. 미소장
20 황현정·황용석·이현종·박지수·신민호(2022).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고령층 집단 유형화와 영향요인 연구: 디지털역량과 연령변수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3):168-201. 미소장
2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미소장
2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미소장
23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 (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 241–258). New York: Greenwood 미소장
24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5-120. 미소장
25 Kawachi, I., & Berkman, L. (2000).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health. Social Epidemiology, 174(7): 290-319. 미소장
26 Putnam, R. D. (1995).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6(1): 65-78. 미소장
27 Putnam, R. D. (2000).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In Culture and politics (pp. 223-234). Palgrave Macmillan, New York. 미소장
28 Williams, D. (2006). On and off the’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1(2): 593-62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