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전문간호사의 전망에 관한 고찰 = Reflections on the prospects of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s : based on Flexner’s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 Flexner의 전문직 특성을 기반으로 김은미, 최수정 p. 1-10
중환자실 환자의 집중치료 경험 및 관련 요인 = Intensive care experience of critical care patients and its related factors : a secondary analysis study : 이차분석 연구 강지연, 우효정 p. 11-23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욕창발생 위험예측을 위한 Braden Scale의 타당도 검증 = Determining optimal cut-off score for the Braden Scale on assessment of pressure injury for tertiary hospital inpatients 박숙현, 최혜연, 손연정 p. 24-33
운동중재가 투석 전단계 만성 신질환 노인의 신체기능 및 신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Effectiveness of exercise for improving physical and renal function in older adults with pre-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이현주, 손연정, 장소은 p. 34-47
상급종합병원 전문간호사의 리더십 경험 = The leadership experie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setting : focus group interview : 포커스 그룹 면담 김은숙, 김나연, 최수정, 김나리, 김영희, 이정윤, 김은혜 p. 48-61
간호사의 일 가치감, 심리적 주인의식 및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 valu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intention of retention in hospital nurses 김지혜, 조윤주, 장소은 p. 62-72
폐이식 환자 삶의 질 영향 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lung transplant patients 황병희, 민혜숙 p. 73-86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성찰 역량, 전문직 자부심, 인간중심간호 수행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linical nurses critical reflection competency, professional pride, and person-centered care practi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이수빈, 신수진 p. 87-98
목표체온유지치료를 적용한 심정지 후 증후군 환자에서 반동성 고체온 발생군과 비발생군의 임상결과 비교 =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between rebound hyperthermia and non-rebound hypertherma groups in postcardiac arrest syndrome patients undergoing targeted temperature management 이하나, 박정윤 p. 99-108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 연명의료결정 인식 및 연명의료중단 결정 후 간호활동의 중요도 변화 = Awareness of good death, percep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nd changes in nursing activities after decision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at tertiary general hospitals 조규영, 배혜리 p. 109-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