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권역별 대기환경연구소 기반의 대기 분야 연구 성과 = Major achievement based on the regional air quality research center in NIER / 신혜정 ; 송인호 ; 정해진 ; 안준영 ; 김대곤 ; 박정민 1

Abstract 1

1. 대기환경연구소의 구축 및 운영 현황 1

2. 대기환경연구소 자료 공개 현황 3

3. 대기환경연구소의 주요 연구 성과 5

3.1. 연구협약 체결 5

3.2. 관측 및 분석 인프라 강화 5

3.3. 권역별 대기질 특성 분석 6

3.4. 국내·외 대기질 공동연구 7

3.5. 연구논문 성과 9

4. 향후 계획 및 제언 10

References 10

Authors Information 12

초록보기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fine particles and Asian dust through real-time measurement and comprehensive analysis, air quality research center have been established at 11 regions as of 2023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research centers have settled up a operation method for newly introduced equipment, verified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sources of fine particles by region. Furthermore, box model has been developed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formation mechanism of secondary pollutants such as fine particles and ozone based on the site-specific measurement data. The infrastructure is actively being used for domestic and foreign joint research. In the future, it plans to expand not only air quality research, but also health research based on a joint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위성을 활용한 대기질 연구 = Satellite observation based air quality study 이권호, 배민석 p. 571-587

보기
권역별 대기환경연구소 기반의 대기 분야 연구 성과 = Major achievement based on the regional air quality research center in NIER 신혜정, 송인호, 정해진, 안준영, 김대곤, 박정민 p. 588-599

보기
우리나라 권역별 초미세먼지 특성과 저감 방향 =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directions of fine particles by regions in Korea 최은락, 임용빈, 김용표 p. 600-614

보기
탄소중립 시대의 분야별 공기질 관리 기술 현황과 전망 = The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air quality management technologies in the era of carbon neutrality 한방우, 조윤행, 이정훈, 권순박, 김대성, 이건희, 홍기정, 박인용, 박대훈 p. 615-626

보기
대기화학 연구를 위한 상자모형의 적용 = Box model applications for atmospheric chemistry research : photochemical reactions and ozone formation : 광화학반응과 오존 생성 박성훈 p. 627-660

보기
CMB 모델을 이용한 새만금 지역의 PM2.5 오염원 기여도 추정 = Estimation of source apportionment for PM2.5 data of Saemangeum area using the CMB model 황인조, 송지한 p. 661-674

보기
서울 지하철 승강장 내 초미세먼지의 농도 변화 특성 분석 =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ulate variations in the underground subway platforms : a case of Seoul 권용범 p. 675-695

보기
2000년 이후 내연기관 자동차 배출가스와 온실가스 저감 정책 및 기술 동향과 전망 = Trend and prospect on the policies and technologies for reducing emissions and green house gases from vehicles us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ince 2000 김홍석, 정용일 p. 696-709

보기
제3차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의 의의와 정책 이행 방향 = The significance of the 3rd comprehensive national air quality improvement plan and directions for policy implementation 심창섭, 최기철, 공성용, 한진석, 이승민, 정예민, 정은혜, 나건수 p. 710-722

보기
대기오염물질 항공관측의 국내외 연구 및 동향 = Review and recommendatio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aircraft-based measurements for air pollutants 박태현, 반지희, 안준영, 이태형, 박진수 p. 723-750

보기
저에너지 (0.2 MeV) 전자가속기를 이용한 축산악취 원인물질인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저감연구 = Removal of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as livestock odor using a low-energy (0.2MeV) electron beam accelerator 정희봄, 조상희, 손지은, 오용환, 김태훈, 김탁현, 유승호, 김동우, 조영민 p. 751-762

보기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개발 및 활용 현황 = Status of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eostationary environmental satellites 장임석, 유정아, 정재훈, 이원진, 강경희, 이동원 p. 763-774

보기
국내 대기오염 배출자료의 평가와 발전 방향 = Review of emission inventory in Korea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장영기, 김순태, 우정헌 p. 775-795

보기
항공기 운항 모드별 (LTO, Cruise)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 도출 및 2019년~2021년 배출량 비교 = Extraction of emission factors by flight mode(LTO, cruise) of domestic aircraft and comparison of air emissions during 2019~2021 조현정, 박윤서, 박민, 김선미, 유철 p. 796-806

보기
국내 대기환경기준 및 대기오염도 변천과 향후 과제 = Historical changes of air quality standards and air pollution of Korea, and challenges for their improvements 김경찬, 이춘상, 최다영, 주흥수, 홍유덕, 김성태, 이강웅, 박진수, 박정민, 한진석 p. 807-829

보기
주행 측정 차량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대기오염 연구 동향 = Trend on the domestic vehicle-related air pollution studies using a mobile laboratory 배귀남, 이승복, 김경환, 곽경환 p. 830-841

보기
지역맞춤형 초미세먼지 원인 진단을 위한 3차원 광화학 대기질 모델링 기반(CAMx-PSAT) 지역별 배출부문별 기여도 추정 연구 = A study on estimating the contributions by emission source sector and province based on CAMx-PSAT for the region-specific analysis of the causes of high PM2.5 concentrations 박성규, 김형천, 김지현, 오효숙, 김세기, 유철, 배창한 p. 842-865

보기
국내외 스모그 챔버 연구동향 = Review of smog chamber research trends 김준태, 이지원, 김경환, 김나진, 김지민, 김산, 김환동, 황민우, 송예진, 김진영, 배귀남, 이승복 p. 866-904

보기
핵심어 분석을 통한 국내 대기환경분야의 연구 경향 추이 분석 = Research trend analysis of atmospheric science in Korea based on keywords us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KOSAE) during 1985~2022 : 1985년부터 2022년까지 한국대기환경학회 출간 논문을 중심으로 배민석, 김조천, 김기현, 이태형, 한영지, 오세호, 백성옥 p. 905-91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