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교육 체계의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서 복무하는 사회복무요원 378명과 사회복무요원이 배치되어 있는 근무기관 담당자 1,8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이 인식하는 교육요구도의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역량별 요구 수준과 현재 수준 불일치 정도를 확인하는 갭 분석과 Locus for Focus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교육요구도 종합 결과를 통해 교육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기관 담당자와 사회복무요원 조사에서 제시된 대부분의 역량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의 수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응답자 집단별로 요구 수준과 불일치 정도가 모두 평균 이상인 역량을 교육요구도가 높은 역량으로 도출한 후, 공통적으로 제시된 역량을 중심으로 결과를 종합하였다.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직무역량으로 ‘이용자지향’, ‘대상자이해’, 관계형성’, ‘커뮤니케이션’, ‘민원응대’ 역량이 선정되었으며, 차순위 역량으로 ‘인권존중’, 이용자욕구파악’, ‘공감’, ‘케어기술(돌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복무요원과 근무기관 담당자 양측의 교육요구와 인식을 함께 조사하고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회복무요원 교육과정을 역량 기반으로 설계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educational priorities for enhancing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us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and refinement of the educational system. Data were collected from 378 social service agents and 1,861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where those social service agents were deployed. Gap Analysis and Locus for Focus analysis were employed to compare perceived levels of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were derived from the combine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desired and current levels of mos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survey of representatives from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service agents. For each respondent group, competencies with above-average levels of both need and discrepancies were identified as high educational needs. The results were then integrated based on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competencies. The job competencies with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ere ‘client orientation’, ‘understanding of the client’, ‘client engagement’, ‘communication’, and ‘complaint response’. Secondary job competencies included ‘respect for human rights’, ‘identification of client needs’, ‘empathy’, and ‘care skil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comprehensiv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s of both social service agents and persons in charge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identifying educational priorities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education curriculu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면세점 여성 판매 노동자의 재생산 건강 관련 경험 및 근무 환경 = Reproductive health-related experiences and work environment among saleswomen in Korean duty-free shops : focusing on menstruation, pregnancy, and childcare : 월경, 임신, 육아를 중심으로 이하영, 김지환, 이가린, 김희원, 김승섭 p. 7-25

코로나19 유행기간 보건소 진료서비스 이용자의 보건소 서비스 중단・축소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Experiences of chronic patients with the interruption of healthcare services in community health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박은자, 송은솔, 윤강재 p. 26-37

한국어판 환자의 공격성 및 폭력성 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측정도구(K-MAVAS)의 심리계량적 속성 =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nagement of aggression and violence attitude scale (K-MAVAS) 김한나, 최희승, 전예슬, 이우진, 안중근 p. 38-54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들의 체험 = Captu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COVID-19 patients who resided in a residential treatment center : a phenomenological approach : 현상학적 접근 정원석 p. 55-71

23개 국가(주)의 직장 내 괴롭힘 정의 및 법령 분석 연구 = Investigation into the definition and legislation of workplace bullying in 23 states 서유정 p. 72-91

다자녀 지원에 관한 광역자치단체 조례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s on the support of multi-child households 배혜원, 김태은 p. 92-113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자의 삶과 죽음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ystematic review of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death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sers 신양준, 김진희, 김희년, 신영전 p. 114-137

사회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 우선순위 분석 = A needs analysis to develop job competency of social service agents 유진선, 손영은, 주연선 p. 138-155

고령장애인의 건강권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ealth rights and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 a typological approach : 유형화를 중심으로 한상윤, 남석인 p. 156-173

호주의 국가장애보험제도(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에 관한 연구 = Australia’s National Disability Insurance Scheme : recent outcomes and satisfaction : 최근 성과 및 만족도를 중심으로 홍나리 p. 174-194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문화적 차이가 사회서비스 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differences on the need for social services of marriage migrant women 유승희 p. 195-209

청년층의 성장 지역과 대학 소재지 경로별 혼인 가능성의 차이 분석 = Differentials in marriage rates by the locations of growing-up and college in Korea : focusing on gender and regional differences : 성별과 지역 차이를 중심으로 김가현, 김근태 p. 210-225

자동차보험 의료 제도에 대한 임상의의 인식 = Clinicians’ perceptions of the car insurance medical system 박지선, 현은혜, 도영경 p. 226-240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과 영향 요인 분석 = A study on natives and immigrants’ first birth patterns in South Korea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임지영, 우해봉 p. 241-261

참고문헌 (5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인숙. (2021). 대학교원의 교수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HRD연구, 23(4), pp.59-80. 미소장
2 권대봉. (1999). 성인교육방법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3 권자영, 문영주, 최은정, 하경희, 황정우. (2018).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핵심역량에 관한 수련 교육 요구분석.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6(1), pp.64-93. 미소장
4 권자영, 김정화, 김린아, 민현순. (2019).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243-258. 미소장
5 김대삼, 김수정. (2012). 사회복지서비스 질에 있어 사회복무요원과사회복지사간 관계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요인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8(3), pp.73-100. 미소장
6 김문희, 정대영. (2020). 중등특수교사의 직무역량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9(1), pp.223-243. 미소장
7 김승용. (2021). 신입 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가? 한국지역사회복지학, 77, pp.83-119. 미소장
8 김은주, 성명희. (2017). 산업체가 인식하는 대학 교양교육과 핵심역량 교육요구도 분석: 보건업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2), pp.121-145. 미소장
9 김진, 이서영. (2013). 노인요양시설 케어인력의 역할 및 역량에 관한연구. 보건사회연구, 33(2), pp.243-273. 미소장
10 문영임, 박형준, 손영은, 주연선. (2022). 델파이 분석을 통한 보건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의 체제 개선방안 연구: 체제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3(4), pp.21-42. 미소장
11 보건복지부. (2021). 2021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보건복지부. 미소장
12 박경옥, 오정숙. (2022). 스마트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특수교사의 요구도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5(3), pp.1-22. 미소장
13 박용호, 조대연, 배현경, 이해정. (2012). 중등교사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pp.299-320. 미소장
14 박진영, 윤대한, 윤현숙, 오선아. (2014). 대학평생교육을 위한 성인대학생 핵심역량모델 개발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학생-교수간 인식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0(3), pp.121-158. 미소장
15 서일보. (2023). 역량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차이와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7(1), pp.183-195. 미소장
16 손영은, 주연선, 유진선, 전영주, 안헌주, 이은형. (2022).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핵심역량 도출 및 직무교육 과정 고도화 연구.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미소장
17 신주연, 김진선, 정윤경. (2020). 역량기반 교양교육에 대한 I 대학교학부생의 교육요구도 분석. 교양교육연구, 14(3), pp.39-54. 미소장
18 신영일, 최종진, 정의식. (2020). 사회복무제도의 시대적 변천사와 사회복지시설 사회복무요원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지, 49, pp.65-87. 미소장
19 양난주. (2018). 한국 사회서비스정책의 전환: 소비자주의를 넘어.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춘추계학술대회, pp.365-386. 미소장
20 엄미리, 권정언. (2017). 일반 교원의 진로지도 및 상담 직무영역에서의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20(1), pp.125-160. 미소장
21 이건남. (2014). 초등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pp.131-151. 미소장
22 이금숙. (2018). IPA 기법을 활용한 요양보호사 직무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28, pp.5-28. 미소장
23 이경희, 박정윤. (2018). 사회복무요원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복무 부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pp.60-76. 미소장
24 이승훈, 유병민. (2015).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 재미요인과 학습만족, 몰입 간 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5), pp.674-683. 미소장
25 이전, 권선진, 임정기. (2014). Kirkpatrick의 교육평가모델을 적용한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6(3), pp.317-346. 미소장
26 이혜순, 정덕유. (2014). 요양보호사의 뇌졸중 관련 지식 및 교육요구도. Health & Nursing (구 간호과학), 26(2), pp.1-12. 미소장
27 장안서, 원일, 김현수, 이찬. (2020). 세종시 사회복지인력 교육체계 개발. 세종시사회서비스원. 미소장
28 조대연. (2006). 국내 성인교육훈련의 요구분석 연구동향: 1990년-2005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Andragogy Today, 30, pp.85-106. 미소장
29 조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pp.165-187. 미소장
30 조혜정, 김용진, 최은정, 채정아. (2021). 중독전문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9(4), pp.5-28. 미소장
31 주석진, 김희영, 최웅. (2019). 학교사회복지사의 수련제도 도입에 대한 인식과 수련교육 요구분석. 학교사회복지, 45, pp.29-57. 미소장
32 주연선, 박형준, 문영임, 손영은. (2022).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직무교육의 성과와 변화요구 분석: 포커스그룹 인터뷰 (FGI)를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39(1), pp.261-289. 미소장
33 최민정, 정효선, 정용선, 이희영. (2021).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유행 대비 요양병원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 우선순위 분석: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활용. 보건사회연구, 41(1), pp.8-21. 미소장
34 최정임. (2002).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서울: 학지사. 미소장
35 통계청. (202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사회복무요원 복무현황-복무분야별.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44&tblId=TX_14401_A121_1&conn_path=I2/에서 2023. 7. 15. 인출. 미소장
36 하은호, 조진영. (2015). 요양보호사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1), pp.108-118. 미소장
37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21).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직무수행 필요역량개발과 직무교육 개편을 위한 교육체계 및 운영체계 고도화를 중심으로.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미소장
38 한국정책평가연구원. (2012). 사회복무요원 직무교육 사업효과성 평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정책평가연구원. 미소장
39 한익희, 최현수, 박준연 박일수, 정경미, 노수현, 박명훈, 최보라, 이재현, 금승임. (2014). 보건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 배치 및 활용적정성 평가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미소장
40 황운성, 최현수, 노수현. (2015). 보건복지분야 사회복무요원 배정체계구축 및 직무관리 방안. 보건복지부,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미소장
41 Boley, B. B., McGehee, N. G., & Hammett, A. T. (201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sustainable tourism initiatives: The resident perspective. Tourism Management, 58, pp.66-77. 미소장
42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pp.39-42. 미소장
43 Boyatzis, R. E. (1982). The compon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미소장
44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pp.1-14. doi:http://dx.doi.org/10.1037/h0034092. 미소장
45 Mink, O. G., Shultz, J. M., & Mink, B. P. (1991). Developing and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Inc. 미소장
46 Moore, D. E. (1998). Needs assessment in the new health care environment: Combining discrepancy analysis and outcomes to create more effective CME.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18(3), pp.133-141. 미소장
47 Holmes, G., & Hooper, N. (2000). Core competence and education. Higher Education, 40, pp.247-258. 미소장
48 OECD. (n.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y(DeSeCo). https://www.oecd.org/education/skills-beyond-school/definitionandselectionofcompetenciesdeseco.htm/에서 2023. 7. 15. 인출. 미소장
49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Canada: John Wiley & Sons, Inc. 미소장
50 Witkin, B. R., & Altschuld, J. W. (1995). Planning and conducting needs assessments: A practical guide. Thousand Oaks. CA:Sage.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