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조선 관요에서 제작된 백자 ‘祭’·‘壽’·‘福’명 접시는 제작되는 시기에 따라 글자를 쓰는 시점과 명문을 쓰는 안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특히 금사리 관요가 운영되는 18세기 2/4분기부터 제작량이 급증하고 양식상의 변화 역시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접시에 ‘祭’명을 쓰는 시점은 1560년대 이전까지는 소비처에서 정각·묵서로 용도를 표기하다가 1560년대 이후부터 관요에서 제기접시를 제작할 때 제례용임을 의미하는 ‘祭’명을 표기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하지만, ‘壽’·‘福’명은 관요가 설치된 이후부터 관요가 민영화되는 시기까지 접시를 제작할 때 장수와 복을 의미하는 ‘壽’·‘福’명을 표기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서 글자는 쓰는 시점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祭’·‘壽’·‘福’명은 사용되는 안료의 종류에 따라 접시에 쓰는 방식이나 위치에 차이가 있다. 특히, 17세기 이후부터는 ‘祭’·‘壽’·‘福’명을 철화와 청화안료로만 표기하였다, 철화안료를 사용한 것은 원권문이 없고 글자만 단독으로 표기하였으며 굽 안 바닥이나 내저면에 위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청화안료를 사용한 것은 원권문 안에 ‘祭’·‘壽’·‘福’명을 표기하였으며 내저면에 위치한다.

셋째, ‘祭’·‘壽’·‘福’명 접시의 기형상 변화는 금사리와 분원리 관요에서 가장 두르러지게 나타난다. 금사리 관요의 가장 큰 특징은 굽이 높고, 굽과 동체부까지 각이 진 접시를 제작한 점이다. 그러나 굽의 형태가 각형인 ‘祭’명 접시는 제작하지 않고, 굽과 동체부가 각이 진 ‘福’명 접시는 제작하였다. 반면 분원리 관요는 금사리 관요에서 제작된 동일한 형태의 ‘祭’·‘福’명 접시뿐 아니라 굽의 형태가 원형이고, 굽의 높이가 매우 높은 ‘祭’ 명 접시도 제작한 것으로 밝혀짐으로서 ‘祭’명 접시의 변화 양상이 일정부분 밝혀졌다. 특히, 금사리와 분원리관요가 굽과 동체부가 각이 진 ‘壽’명 접시를 제작하지 않은 것이 밝혀진 것도 성과라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후기 왕실 국혼(國婚)용 백자용준의 조형와 성격 =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white porcelain vessels for royal marriage ceremonies in late Chosŏn : porcelain jar with dragon design in underglaze cobalt blue with inscription of chŏnjiugimssijason(傳之于金氏子孫) at the British Museum : 영국박물관 소장 ‘傳之于金氏子孫’명 백자운룡문호를 중심으로 구혜인 p. 5-43

조선시대 백자 ‘祭’명 접시의 변천 = Developments in Chosŏn white porcelain with 祭 inscription : focus on excavations at royal kilns : 관요 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김경중 p. 45-78

한양도성 내 ‘天·地·玄·黃’명 백자와 조선 전기 청화백자 출토 양상 = Aspects of the excavation of white porcelain with the inscription '天·地·玄·黃' and the first half of the Chosŏn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in the capital city Hanyang 박정민 p. 79-111

다채백자와 단색백자 = Polychrome and monochrome porcelain :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new type of colored white porcelain in late Chosŏn : 조선후기 新채색백자의 출현과 전개 김은경 p. 113-144
근대기 일본인의 조선백자 수집과 연구 = Collecting and researching Chosŏn white porcelain in modern Japan : focusing on the late 1920s : 1920년대 후반을 중심으로 정은진 p. 145-172

구례 화엄사 사천왕상과 벽암 각성, 조각승 인균 = Four heavenly kings at Hwaŏmsa, Gurye : Pyŏgam Kaksŏng and sculptor monk In'gyun 임영애 p. 173-200

불상의 발한(發汗) 이적(異跡)에 대한 조선후기 인식의 연원과 전개 = Historical origin and evolution of late-Joseon perceptions on the miraculous perspiration of Buddhist statues 김연미 p. 201-237

조선 시대 行實圖 삽화에 보이는 雷神圖像 연구 = The Chosŏn iconography of thunder god in the illustrated guide to moral deeds 박지영 p. 239-271

19세기 조선왕실 능·원의 천봉(遷奉)과 석물의 제작 = Relocation of Royal Tombs and Stone Sculptures in 19th-century Chosŏn 전나나 p. 273-305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輿地圖書』 미소장
2 『日省錄』 미소장
3 『承政院日記』 미소장
4 『憲宗實錄』 미소장
5 경기도자박물관, 『시적 제314호 광주조선백자요지 발굴조사 보고서-번천리 8호 선동리 2호 일원』, 2013. 미소장
6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3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9b. 미소장
7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4차 발굴조사 보고서』, 2019a. 미소장
8 경기도자박물관, 『광주 분원초등학교 출입 외부계단 조성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2020a. 미소장
9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6차 발굴조사 보고서』, 2020b. 미소장
10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7차 발굴조사 보고서』, 2021. 미소장
11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9차 발굴조사 보고서』, 2022b. 미소장
12 경기도자박물관,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주변지역 3차 발굴조사 보고서』, 2022c. 미소장
13 경기도자박물관, 『김영훈선생 기증도편 자료집-고려·조선시대 도자기 가마터 수집품』, 2016. 미소장
14 경기도자박물관, 『이상기선생 기증도편 자료집-광주 분원 가마터 수집품』, 2021. 미소장
15 국립중앙박물관·경기도박물관, 『京畿道廣州中央官窯-窯址地表調査報告書(圖板篇)』. 1998. 미소장
16 국립중앙박물관·경기도박물관, 『京畿道廣州中央官窯-窯址地表調査報告書(解說篇)』, 2000. 미소장
17 국립중앙박물관, 『廣州郡 道馬里 白磁窯址 發掘調査 報告書-道馬里 1號 窯址-』, 1995. 미소장
18 국방문화재연구원, 『서울 종로구 관수동 4·5·6번지 유적』, 2021. 미소장
19 (재)서경문화재연구원, 『광주 무갑리 10호 도요지 내 유적』, 2015. 미소장
20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중부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광주조선백자요지 발굴보고서–번천리5호·선동리2,3호-』, 1986. 미소장
21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조선시대 마지막 官窯 廣州 分院里 白磁窯址』, 2006. 미소장
22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廣州 樊川里 9號 朝鮮白磁窯址 발굴조사보고서』, 2007. 미소장
23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조선백자』, 2015. 미소장
24 鄭良謨·尹龍二·金得豊, 『韓國白磁陶窯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6). 미소장
25 중원문화재연구원, 『동대문 운동장 유적(Ⅰ본문)』, 2011. 미소장
26 중원문화재연구원, 『동대문 운동장 유적(Ⅱ유물도판)』, 2011. 미소장
27 (재)한강문화재연구원, 『서울 군기시터 유적(본문)』. 2011. 미소장
28 (재)한강문화재연구원, 『광주조선백자요지 보존·정비를 위한 5차 시·발굴조사』, 2019. 미소장
29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 『廣州 新垈里 21·31號 窯址』, 2017. 미소장
30 (재)한라문화재연구원, 『광주 분원리 유적』, 2021. 미소장
31 (재)한성문화재연구원, 『광주 관음리 유적』, 2020. 미소장
32 (재)한울문화재연구원, 『종로 어영청지 유적』, 2011. 미소장
33 (재)한울문화재연구원, 『鐘路 淸進2~3地區遺蹟Ⅱ(유물)』, 2013a. 미소장
34 (재)한울문화재연구원, 『鐘路 淸進12~16地區遺蹟Ⅲ(유물)』, 2013b. 미소장
35 (재)한울문화재연구원, 『鐘路 淸進8地區遺蹟Ⅳ(유물)』, 2013c. 미소장
36 (재)호남문화재연구원, 『高敞 龍山里窯址』, 2004. 미소장
37 김경중, 「17世紀 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生産·消費遺蹟 出土品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77집, 2010. 12 미소장
38 김경중, 「16세기 중·후반 조선 관요 운영 시기 및 제작 양상 연구-가마터 출토 명문백자를 중심으로」, 『야외고고학』 15집, 2012. 11. 미소장
39 김경중, 「17~18세기 전반 조선 관요 유적의 운영시기 재검토-가마터 출토품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101집, 2022. 1. 미소장
40 곽희원, 「朝鮮後期 王室磁器의 銘文과 意味」, 홍익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41 박정민,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42 박혜원, 「朝鮮末期 壽福字文 靑畵白磁 硏究」,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43 유제욱, 「조선후기 각형백자의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44 윤용이, 「朝鮮陶磁의 變遷」, 『朝鮮時代陶磁名品圖錄』, 1992. 미소장
45 윤효진, 「18세기 전반 경기도 광주 금사리 백자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46 정다혜, 「朝鮮 18~20世紀 白磁 高足楪匙 硏究」,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47 정양모, 「京畿道 廣州分院 窯址에 대한 編年的 考察」, 『韓國白磁陶窯地』, 1986. 미소장
48 최경화, 「조선시대 분원리 시기 관요백자 연구-1752-1895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49 최경화, 「분원리 1호요지 가마2호 발굴의 양상 및 의의-상부퇴적 및 바닥내 출토품을 중심으로」, 『陶藝硏究』 제25호, 20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