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지속 가능한 문학 창의도시 운영을 위해 이야기 창작자 교육 기관의 설립 및 운영을 제안하고, 국내 최초의 문학 창의도시인 부천시가 설립한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의 바람직한 모형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문학 창의도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문학 자산’을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바라보며 이야기를 창작, 기획, 교육, 연구하는 전문가가 필요하고, 그 발판을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 기관은 1년 이상의 장기 교육 과정이어야 하고,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의 단계별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또 멀티미디어 이야기 콘텐츠의 창작에 필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융합적, 실용적 교육 과정을 갖춰야 한다. 소수 정예 교육이 바람직하며 뛰어난 졸업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지닌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해야 한다. 이론과 창작 수업을 병행하며 능력 중심, 실습 중심의 교육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전국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홍보 방안이 필요하고, 교육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장기적인 지원 대책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가 대부분 문학 창의도시 가입을 위한 전략 연구인 데 반해, 이 논문은 가입 이후 그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새롭다. 또 스토리텔링 교육의 측면에서도 이야기 창작자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무 경험을 토대로 바람직한 모형을 체계화한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