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지속 가능한 문학 창의도시 운영을 위해 이야기 창작자 교육 기관의 설립 및 운영을 제안하고, 국내 최초의 문학 창의도시인 부천시가 설립한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의 바람직한 모형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문학 창의도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려면 ‘문학 자산’을 ‘이야기’와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바라보며 이야기를 창작, 기획, 교육, 연구하는 전문가가 필요하고, 그 발판을 이야기 창작자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 기관은 1년 이상의 장기 교육 과정이어야 하고,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의 단계별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또 멀티미디어 이야기 콘텐츠의 창작에 필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융합적, 실용적 교육 과정을 갖춰야 한다. 소수 정예 교육이 바람직하며 뛰어난 졸업 작품을 창작할 수 있는 기본 역량을 지닌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강사로 섭외해야 한다. 이론과 창작 수업을 병행하며 능력 중심, 실습 중심의 교육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전국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홍보 방안이 필요하고, 교육기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장기적인 지원 대책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가 대부분 문학 창의도시 가입을 위한 전략 연구인 데 반해, 이 논문은 가입 이후 그 운영 방안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새롭다. 또 스토리텔링 교육의 측면에서도 이야기 창작자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무 경험을 토대로 바람직한 모형을 체계화한 논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잔류, 낙인 그리고 환대를 위하여 = Remaining, stigmatization and for the hospitality : focusing on the life and representation of Japanese wives in South Korea after World War Ⅱ : 전후 재한 일본인 처의 삶과 재현을 중심으로 장세진 p. 7-48

한국전쟁과 여성 포로 표상의 젠더 정치 = The Korean War and the gender politics of representation of female prisoners of war 오태영 p. 49-98

전선(戰線)의 여성 시인 = Women poets on the front lines : aspects of the original experiences and poetic representations of Mo Yun-sook and No Cheon-myung in 'Red Cross' : ‘적치 하’ 모윤숙과 노천명의 원체험과 시적 재현 양상 박연희 p. 99-133

『제국신문』의 국문 인식과 한글 독자 = Recognition of Korean alphabet in 『Jeguksinmun(帝國新聞)』 and Hangeul readers. 2, Focusing on readers' letters. 2, 독자 편지를 중심으로 권두연 p. 137-184

박인환 시의 고향 의식과 시 쓰기의 의미 = The meaning of Park In-hwan's hometown consciousness and poetry writing 류상범 p. 185-216

1960, 70년대 남한 기지사회의 일상경제 = The military base economy of South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권창규 p. 217-260

황석영 소설 『장길산』에 나타난 모빌리티와 혁명적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obility and revolutionary characteristics in Hwang Seok-young's novel Jang Gil San 조윤아 p. 261-289

1980년대 무크 문학의 편집 내용과 전략 = The editing contents and strategy of the 1980s mook literary : 'synthesis in diffuse directions' and 'synthesis in comprehensive direction' : ‘확산적 방향의 종합’과 ‘포괄적 방향의 종합’ 김보경 p. 291-342

변증법적 종합의 (불)가능성 = The (im)possibility of dialectical synthesis : focusing on Kim Hoon's Namhansanseong : 김훈의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김원규 p. 343-375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궤적과 쟁점 = Research trends and issues in diaspora literature : focusing on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since 2000 : 2000년 이후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고지혜 p. 377-403

시민 참여형 독서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방안 = A study on the planning and operation plan of citizen participatory reading program : 박경리 『토지』 읽기를 중심으로 이태희 p. 405-426

문학 창의도시 운영과 이야기 창작자 교육 = The operation of a literary creative city and the story-creator education : focusing on the operational case of the Bucheon Storytelling Academy : 부천스토리텔링아카데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최배은 p. 427-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