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최근 발표된 마이클 마리슨의 연구, “근대(성)에 반(反)하는 바흐”(“Bach against Modernity”) 는 2010년 이후 서구의 바흐 연구에서 등장한 바흐와 근대성 담론을 혹평하면서, 작곡가는 근대가 아닌 전근대의 가치와 호응했던 인물이라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당대의 신학 언어, 즉 당대의 루터교가 전근대적인 가치를 선포하고 수호하였고, 바흐는 이러한 루터교의 입장을 저항 없이 수용했던 전형적인 루터교인이라는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글은 마리슨의 주장, 즉, 바흐와 그의 음악이 전근대의 가치를 담고 있다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주장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논의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당대 루터교의 교리를 보다 넓은 신학적 맥락에서 설명하고, 바흐가 창작한 음악과 그것의 성격을 분석한다. 최종적으로 이 글은 바흐 담론에 등장한 바흐와 근대의 문제를 어떤 태도와 방식으로 바라보아야 할지 질문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current discussions about the notion of modern and premodern reflected in J. S. Bach and his works. In his recent article, “Bach against Modernity,” Michael Marissen argues that Bach’s close relation to the notion of modernity proposed by John Butt in his study, Bach’s Dialogue with Modernity, is wrongly formulated. Instead, Marissen claims that Bach and his music conveys pre-modern mentality and attitudes that adhere to the Lutheran theology of the time. This study examines Marissen’s arguments by focusing upon the theological langueges of the time, also examining the musical expressions that Bach set for his cantatas. After critically analyzing the theological as well as musical contexts of Bach’s cantatas, this paper leaves a question if the discussion about Bach in light of modernity is useful in order to apprehend the composer and his work.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바흐와 그의 음악 = Bach and his music : rethinking modernity : 근대를 다시 생각하다 | 이가영 | p. 11-30 |
|
|
빈 고전주의 시대의 시민계급 여성 음악가 = Female Bürger musicians of the Viennese classical period : in the case of Josepha Barbara Auernhammer : 요세파 바바라 아우언함머의 경우 | 나주리 | p. 31-62 |
|
|
베토벤의 《현악 4중주 Op. 18, No. 1》 1악장 판본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two versions of Beethoven’s String Quartet Op. 18, No. 1, first movement | 김서희 | p. 63-90 |
|
|
안익태와 부다페스트 = Eaktai Ahn and Budapest, Hungary | 허영한 | p. 91-117 |
|
|
고전주의 소나타형식의 발전부에서 나타나는 거짓재현의 다양한 양상들 = The various aspects of false recapitulation in sonata-form movements in the classical era | 정희원, 송세라, 안소영 | p. 119-14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가영. “요한 세바스찬 바흐와 18세기 초 독일의 신학적 지형.” 「음악논단」 27 (2012): 1-26. | 미소장 |
2 | 이가영. “바흐와 보편에 관한 짧은 논의.” 「서양음악학」 21/2 (2018): 52-68. | 미소장 |
3 | Althaus, Paul.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66. | 미소장 |
4 | Begbie, Jeremy. “Disquieting Conversation: Bach, Modernity, and God.” In Music, Modernity, and G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1-72. | 미소장 |
5 | Berger, Carol. Bach’s Cycle, Mozart’s Arrow: An Essay on the Origins of Musical Modernity: Perspectives on the Passion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 미소장 |
6 | Butt, John. Bach’s Dialogue with Modernity: Perspectives on the Pass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7 | Chafe, Eric. Tonal Allegory in the Music of Bach.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1. | 미소장 |
8 | Chafe, Eric. Analyzing Bach Cantata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 미소장 |
9 | Chafe, Eric. J. S. Bach’s Johannine Theology: St. John Passion and the Cantatas for Spring 172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 미소장 |
10 | Chafe, Eric. Tears into Wine: Cantata 21 in its Musical and Theological Contex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 미소장 |
11 | Cox, Howard H(Ed.). The Calov Bible of J. S. Bach. Ann Arbor: UMI, 1985. | 미소장 |
12 | Dürr, Alfred. The Cantatas of J. S. Ba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 미소장 |
13 | Leaver, Robin. “The Mature Vocal Works and their Theological and Liturgical context.” In The Cambridge Companion to Bach. Edited by Johh Butt: 86-12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 미소장 |
14 | Lohse, Bernhard. Martin Luther: An Introduction to His Life and Work. Edinburgh: T. & T. Clark, 1980. 이형기 번역. 「루터 연구 입문」.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1993. | 미소장 |
15 | Luther, Martin. Luther’s small catechism. St. Louis: Concerdia Publishing House, 1934. 지원용 번역. 「소교리 문답서 해설」. 서울: 컨콜디아사, 1960. | 미소장 |
16 | Luther, Martin. Sermons on Gospel Texts for the 13th-26th Sundays after Trinity.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Company, 2000. | 미소장 |
17 | Luther, Martin. Table Talk. Translated by William Hazlitt. Grand Rapids: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1856. 이길상 번역. 「탁상담화」. 서울: 크리스찬 다이제스트, 2005. | 미소장 |
18 | Marissen, Michael. Lutheranism, Anti-Judaism, and J. S. Bach’s St. John Pas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 미소장 |
19 | Marissen, Michael. Bach and Go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 미소장 |
20 | Marissen, Michael. “Bach against Modernity.” In Rethinking Bach. Edited by Bettina Varwig: 315-33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 미소장 |
21 | McGrath, Alisted. The Theology of the Cross. New York: Wiley, 1985. 정진오⋅최대열 공역. 「루터의 십자가 신학」. 서울: 컨콜디아사, 2001. | 미소장 |
22 | McKim, Donald K(Ed.).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tin Luthe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 미소장 |
23 | Varwig, Bettina. “Metaphors of Time and Modernity in Bach.” Journal of Musicology 29 (2012): 154-190. | 미소장 |
24 | Varwig, Bettina. Rethinking Bac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 미소장 |
25 | White, Harry. “Evangelists of the Postmodern: Reconfigurations of Bach since 1985.” Understanding Bach 12 (2017): 85-10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