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논문은 안익태와 부다페스트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안익태는 1936년 여름 부다페스트에서 지휘자로 정식 데뷔한다. 1936년 잘츠부르크 여름 아카데미에 참여하면서 얻게 된 행운이었다. 1937년 말 미국을 떠나 유럽을 향한 안익태는 그의 두 번째 체류 국가를 헝가리로 결정한다. 부다페스트에 도착 직후 에르뇌 도흐나니를 개인적으로 사사한 안익태는 부다페스트에서 그의 《한국환상곡》을 지휘했고 리스트 음악원에서 정식으로 코다이를 사사하게 되었다. 또한 헝가리와 문화교류를 활성화시키고 싶어 했던 일본은 안익태를 각종 음악회에 동원하게 되며 안익태는 두 명의 일본인과 각별한 관계를 갖게 된다. 특히 그의 만주국 합창 악보가 베를린 초연을 앞두고 부다페스트에서 출판된 것은 이번 논문에서 처음 알려진 것이며 이를 통해 그동안 확실치 않던 합창 부분의 가사 내용이 밝혀졌다는 점에도 의미가 있다. 그 외에도 이 논문은 지금까지 초연 연도가 불확실했던 그의 《에텐라쿠》가 부다페스트에서 작곡되었으며 로마에서 1940년 4월에 초연되었음을 보여준다.
The present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hn EakTai(aka Ekitai Ahn) and Budapest, Hungary. He made his official debut as a conductor in Budapest in the summer of 1936, when he was fortunate enough to participate in the Salzburg Summer Academy. At the end of 1937, Ahn left the United States for Europe and decided to make Hungary his second destination. Ahn, who studied privately with Ernst von Dohnanyi immediately after arriving in Budapest in April of 1938, conducted his Korea Fantasy and formally studied with Zoltan Kodai at the Liszt Academy of Music. In addition, Japan, which wanted to revitalize cultural exchanges with Hungary and other countries of Eastern Europe, mobilized Ahn to various concerts from 1940 to 1943. In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his choral score of the Symphonic Fantasy ‘Manchukuo’ in Budapest just before the Berlin premiere is the first known in this thesis, and the contents of the lyrics of the chorus part, which had not been clear so far, were revealed fully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that his orchestral work Etenraku, whose premiere year was uncertain until now, was composed in Budapest and premiered in Rome in April 30th, 1940.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바흐와 그의 음악 = Bach and his music : rethinking modernity : 근대를 다시 생각하다 | 이가영 | p. 11-30 |
|
|
빈 고전주의 시대의 시민계급 여성 음악가 = Female Bürger musicians of the Viennese classical period : in the case of Josepha Barbara Auernhammer : 요세파 바바라 아우언함머의 경우 | 나주리 | p. 31-62 |
|
|
베토벤의 《현악 4중주 Op. 18, No. 1》 1악장 판본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the two versions of Beethoven’s String Quartet Op. 18, No. 1, first movement | 김서희 | p. 63-90 |
|
|
안익태와 부다페스트 = Eaktai Ahn and Budapest, Hungary | 허영한 | p. 91-117 |
|
|
고전주의 소나타형식의 발전부에서 나타나는 거짓재현의 다양한 양상들 = The various aspects of false recapitulation in sonata-form movements in the classical era | 정희원, 송세라, 안소영 | p. 119-149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보국. “안익태 연구 I.” 「한국학연구」 72 (2020): 73-103. | 미소장 |
2 | 김보국. “안익태 연구 II.” 「인문학연구」 33 (2020): 257-282. | 미소장 |
3 | 김보국. “안익태 연구 III.” 「인문논총」 78/1 (2021): 263-292. | 미소장 |
4 | 김보국. “안익태연구 VI.” 「인문논총」 79/2 (2022): 361-390. | 미소장 |
5 | 노동은. 「친일음악론」. 서울: 민속원, 2017. | 미소장 |
6 | 이경분. 「잃어버린 시간: 1938-1944」. 서울: 휴머니스트, 2007. | 미소장 |
7 | 탈라베라, D. 「나의 남편 안익태」. 서울: 신구문화사, 1974. | 미소장 |
8 | 허영한. “《한국환상곡》의 여행: 1937년 미국에서 1946년 스페인으로.” 「낭만음악」 83 (2009): 181-223. | 미소장 |
9 | 허영한. 「사진으로 보는 안익태」. 서울: 릴라쿤스트, 2015. | 미소장 |
10 | 梅原 季哉. 「ポーランドに殉じた禅僧 梅田良忠」. 東京: 平凡社, 2014. | 미소장 |
11 | 德永 康元. 「ブダペスト日記」. 東京: 新宿書房, 2004. | 미소장 |
12 | 百瀬 宏. “第17章 1938年の日洪文化協定の成立事情(研究ノート).” 「東欧史研究」 1 (1978): 203-211. | 미소장 |
13 | Dalos, Anna. “The Forgotten Youth of Sándor Veress.” Studia Musicologica 62 (2021): 327-349. | 미소장 |
14 | Holzmair, Wolfgang. Centenary of the International Summer Academy. Salzburg: Druck GmbH, 2016. | 미소장 |
15 | Konservatorium Mozarteum in Salzburg: Jahres-Bericht Uber das 57. Schuljahr 1936/37. Salzburg: Salzburg Konservatorium Mozarteum, 1937. | 미소장 |
16 | Laki, Péter. “Eine ‘japanische’ Episode in der 1. Sinfonie (1940) von Sándor Veress?” Musik-Konzepte April (2021): 99-108. | 미소장 |
17 | Traub, Andreas. “Ein verlorenes Werk: Die Erste Sinfonie von Sándor Veress.” Die Musikforschung 53/3 (2000): 288-294. | 미소장 |
18 | Brassói Friss Ujság. “A koreai karnagy Budapesten és a paprika.” 1936년 10월 13일. | 미소장 |
19 | Esti Ujság. | 미소장 |
20 | Ellenzék. “A koreai karnagy Budapesten és a paprika.” 1936년 9월 13일. | 미소장 |
21 | Magyarorság. “A koreai karnagy Budapesten és a paprika.” 1936년 9월 8일. | 미소장 |
22 | Magyarorság. “Kelet és Nyugat.” 1936년 9월 13일. | 미소장 |
23 | Rádióélet. “A Koreai Himnusz Szerzője A Stúdióban.” 1936년 9월 11일, p.5. | 미소장 |
24 | Pester Lloyd. “일본인의 눈으로 본 헝가리 음악”(Die ungarische Musik mit dem Auge eines Japaners gesehen), 1941년 10월 8일. | 미소장 |
25 | Bulgarische Wochenschau. 1940년 10월 22일. | 미소장 |
26 | Slovo. 1940년 10월 14일. | 미소장 |
27 | 신한민보. 1936년 5월 14일, 1936년 9월 10일. | 미소장 |
28 | Democrat and Chronicle. 1937년 7월 18일. | 미소장 |
29 | The Morning News Delaware. 1987년 10월 5일. | 미소장 |
30 | Philadelphia Inquirer. 1936년 4월 19일. | 미소장 |
31 | Stockton Evening and Sunday Record. 1939년 6월 22일. | 미소장 |
32 | Radio Corriere. 1940년 4월 28일. | 미소장 |
33 | La Stampa. 1940년 4월 30일. | 미소장 |
34 | Grove Music Online. “Budapest.” https://doi-org.libproxy.karts.ac.kr/10.1093/gmo/9781561592630.article.04250. 2023년 6월 11일 접속. | 미소장 |
35 | Grove Music Online. “Tibor Serly.” https://doi-org.libproxy.karts.ac.kr/10.1093/gmo/9781561592630.article.25467. 2023년 6월 19일 접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