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IB PYP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분석하고, IB PYP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B PYP 학교에 근무하는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면접, 면담 성찰지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IB PYP 교육과정 실행 양상의 특징을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 환경의 4가지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B PYP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IB 기본 지향에 기반한 교육과정 실행, 핵심 아이디어 기반 생성형 교육과정 실행, 핵심역량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실행, 국가교육과정과 연계 및 통합한 교육과정 실행, IB 인증 프레임워크에 따른 경직된 교육과정 실행의 5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둘째, 교사와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구와 성찰에 기반한 교육과정 실행, 교사의 관심과 기대에 좌우되는 교육과정 실행, 부담과 소진으로 인한 소극적인 교육과정 실행의 3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셋째, 학습자와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 수준을 반영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실행, 학습자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학생 참여형 교육과정 실행, 학습자의 자발성에 기반한 학생 주도형 교육과정 실행의 3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넷째, 환경과 교육과정 실행 양상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협력적 주도성에 기반한 교육과정 실행, 물적 및 인적 인프라에 영향을 받는 교육과정 실행, 협력과 소통의 학교문화에 기반한 모두가 성장하는 교육과정 실행의 3가지 특징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가 IB PYP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IB PYP curriculum in school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B PYP curriculum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curriculum implementation aligned with the IB basic orientation, the implementation of generative curriculum based on core ideas, and a flexible curriculum for core competencies are in discor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despite compliance with the IB PYP framework.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based on teachers' research and reflection, interests and expectations, and pass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occurring due to burdens and burnout.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 an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tailored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based on the learner's level, student-participatory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based on learner's interests and interests, and the student agency curriculum implementation was based on the learner's autonomy.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revealed that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collaborative leadership was influenced by physical and human resource, as well as the school culture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IB PYP curriculum.*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