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MPSAT-3와 KOMPSAT-5 SAR 영상을 이용한 토양수분 산정과 결과 검증 =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KOMPSAT-3 and KOMPSAT-5 SAR images and its validation : a case study of western area in Jeju Island : 제주 서부지역 사례 연구
|
이지현, 이하영, 김광섭, 이기원
|
p. 1185-1193
|
|
보기
|
|
해안쓰레기 탐지 및 모니터링에 대한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 기술의 적용성 평가 = Applicability evaluation of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for coastal debris monitoring : a comparative study of YOLOv8 and RT-DETR : YOLOv8과 RT-DETR을 중심으로
|
박수호, 김흥민, 김영민, 이인지, 박미소, 오승열, 김탁영, 장선웅
|
p. 1195-1210
|
|
보기
|
|
위성영상의 방사적 특성을 고려한 구름 탐지 방법 개발 = Development of cloud detection method considering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ry
|
서원우, 강홍기, 윤완상, 임평채, 이수암, 김태정
|
p. 1211-1224
|
|
보기
|
|
가뭄과 폭염 조건에서 MTCI와 CCI를 이용한 수분 스트레스 평가 = Monitoring of crop water stress with temperature conditions using MTCI and CCI
|
김경민, 문현동, 조은이, 김보경, 최수빈, 이유현, 이윤아, 정회정, 류재현, 안호용, 이성태, 조재일
|
p. 1225-1234
|
|
보기
|
|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자료를 이용한 동해 연안 냉수대 탐지 알고리즘 개발 = Detection of cold water mass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products
|
최원준, 양찬수
|
p. 1235-1243
|
|
보기
|
|
W-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영상 복원을 위한 엔트로피 기반의 6 Degrees of Freedom 추출 = Entropy-based 6 degrees of freedom extraction for the W-band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 reconstruction
|
이혁빈, 김덕진, 김준우, 송주영
|
p. 1245-1254
|
|
보기
|
|
GOCI-Ⅱ 및 극궤도 위성 자료를 병합한 Chlorophyll-a 산출물 생산방법 소개 및 활용 가능성 평가 = Introduc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duction method for chlorophyll-a using merging of GOCI-Ⅱ and polar orbit satellite data
|
신혜경, 권재엽, 김평중, 김태호
|
p. 1255-1272
|
|
보기
|
|
Radiometric Tarp를 이용한 현장관측 기반의 차세대중형위성 1호 절대복사보정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field campaign-based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of the CAS500-1 using radiometric tarp
|
전우진, 염종민, 정재헌, 진경욱, 한경수
|
p. 1273-1281
|
|
보기
|
|
KOMPSAT-3A 전정색 영상의 윤곽 정보를 이용한 중적외선 영상 시인성 개선 = Improvement of mid-wave infrared image visibility using edge information of KOMPSAT-3A panchromatic image
|
이진민, 김태헌, 김한울, 이홍탁, 한유경
|
p. 1283-1297
|
|
보기
|
|
Kompsat-3A호 영상을 활용한 산불피해 강도 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stimation of forest burn severity using Kompsat-3A images
|
양민선, 김민아
|
p. 1299-1308
|
|
보기
|
|
랜드마크 코너 추출을 적용한 모바일 카메라 기반 위치결정 기법 = Mobile camera-based positioning method by applying landmark corner extraction
|
이유진, 윤완상, 이수암
|
p. 1309-1320
|
|
보기
|
|
광학위성영상의 해상도에 따른 논지역의 정규식생지수 비교 = Comparison of NDVI in rice padd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of optical satellite images
|
은정, 김선화, 민지은
|
p. 1321-1330
|
|
보기
|
|
나래웨더를 위한 궤적기반 항공기상 정보와 항공교통 정보의 통합 방안 = An integration approach of trajectory-based aviation weather and air traffic information for NARAE-Weather
|
김상일, 안도섭, 김지연, 김승철, 한경수
|
p. 1331-1339
|
|
보기
|
|
Sentinel-1 레이더 식생지수와 AutoML을 이용한 Sentinel-2 NDVI 결측화소 복원 = Gap-filling of Sentinel-2 NDVI using Sentinel-1 radar vegetation indices and AutoML
|
윤유정, 강종구, 김서연, 정예민, 최소연, 임윤교, 서영민, 원명수, 천정화, 김경민, 장근창, 임중빈, 이양원
|
p. 1341-1352
|
|
보기
|
|
영상 강화 기법을 통한 부유성 해양오염물질 탐지 기술 적용 가능성 평가 = Evaluation of application possibility for floating marine pollutants detection using image enhancement techniques : a case study for thin oil film on the sea surface : 해수면의 얇은 유막을 대상으로
|
장소영, 박영빈, 권재엽, 이상헌, 김태호
|
p. 1353-1369
|
|
보기
|
|
Sentinel-1 SAR 영상을 활용한 국내 내륙 수체 학습 데이터셋 구축 및 알고리즘 적용 연구 = A study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land water body training dataset using Sentinel-1 SAR images in Korea
|
이어루, 정형섭
|
p. 1371-1388
|
|
보기
|
|
FLARE 타겟을 이용한 다목적위성3호/3A호의 절대복사 검보정 계수 산출 = Experiment of KOMPSAT-3/3A absolute radiometric calibration coefficients estimation using FLARE target
|
진경욱, 박대순
|
p. 1389-1399
|
|
보기
|
|
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연안 양식장 탐지 기법 분석 = Analysis of offshore aquaculture detection techniques using synthetic aperture radar images
|
황도현, 정한철
|
p. 1401-1411
|
|
보기
|
|
딥러닝과 Landsat 8 영상을 이용한 캘리포니아 산불 피해지 탐지 = Detection of wildfire burned areas in California using deep learning and Landsat 8 images
|
서영민, 윤유정, 김서연, 강종구, 정예민, 최소연, 임윤교, 이양원
|
p. 1413-1425
|
|
보기
|
|
BRDF 앙상블 모델을 이용한 고해상도 Sentinel-2 영상 보정 = High-resolution Sentinel-2 imagery correction using BRDF ensemble model
|
문현동, 김보경, 김경민, 최수빈, 조은이, 안호용, 류재현, 최성원, 조재일
|
p. 1427-1435
|
|
보기
|
|
GeoXAI를 활용한 도시 투수/불투수면과 도시수목 생육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ermeable/impermeable surfaces and urban tree growth using GeoXAI
|
공석준, 이준우, 김근한
|
p. 1437-1449
|
|
보기
|
|
드론 영상 기반 조난 선박 탐지를 위한 해양 환경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딥러닝 모델 개발 = Development of a deep-learning model with maritime environment simulation for detection of distress ships from drone images
|
오정효, 이주희, 전의익, 이임평
|
p. 1451-1466
|
|
보기
|
|
직불제 이행점검 모니터링을 위한 원격탐사 기법 활용성 평가 = Assessment of the utility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for monitoring compliance with direct payment programs
|
안호용, 류재현, 이경도
|
p. 1467-1475
|
|
보기
|
|
천리안위성 해수면온도 자료 기반 동북아시아 해수고온탐지(2012-2021) = Marine heat waves detection in Northeast Asia using COMS/MI and GK-2A/AMI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2012-2021)
|
우종호, 정대성, 심수영, 김나연, 박성우, 손은하, 김미자, 한경수
|
p. 1477-1482
|
|
보기
|
|
일리노이주 옥수수, 콩 재배지 MODIS와 VIIRS NDVI 특성 비교 = Comparison of MODIS and VIIRS NDVI characteristics
|
이경도, 김숙경, 류재현, 안호용
|
p. 1483-1490
|
|
보기
|
|
북극 해빙표면온도 산출을 위한 automated machine learning과 deep neural network의 적용성 평가 =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utomated machine learning and deep neural networks for arctic sea ice surface temperature estimation
|
박성우, 성노훈 , 심수영, 정대성, 우종호, 김나연, 김홍희, 한경수
|
p. 1491-1495
|
|
보기
|
|
천리안 위성자료 융합을 통한적설역에서의 GEMS 지표면 반사도 개선 연구 = Enhancing GEMS surface reflectance in snow-covered regions through combined of GeoKompsat-2A/2B data
|
심수영, 정대성 우종호, 김나연, 박성우 , 홍현기, 한경수
|
p. 1497-1503
|
|
보기
|
|
금강 및 낙동강 하구·연안의 블루카본 저장량 공간정보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blue carbon stock spatial data in the estuaries and coastal areas of the Geum and Nakdong Rivers
|
정지애, 권봉오, 홍현정, 안종호, 이명진
|
p. 1505-1515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