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건축 문화재의 기록데이터는 원형데이터, 훼손된 부분의 수리 이력, 노후화에 따른 변화를 포함하여 건축 문화재의 보존과 관리에 필수적인 정보이다. CAD 시스템을 시작으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들이 문화유산 기록데이터의 생성·보존에 적용되기 시작했지만, 통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여 활용성에 한계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문화유산의 HBIM 기반 기록데이터 생성·관리의 대표적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국내 현실에 적용 가능한 건축 문화재 유지보수관리를 위한 HBIM 기록데이터 구축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를 만드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건축문화유산 기록화 기술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건축문화유산 보존·관리를 위한 기록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건축 유산의 유지관리를 위한 HBIM 3차원 정보화 모델링 데이터 구축 방법을 탐구하였다.. 셋째, 성당 디지털 기록화의 특성 파악을 위하여 문헌 조사와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HBIM 정보 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이탈리아(Italia)와 키프로스(Cyprus)에 위치한 해외 사례의 정보 수집 과정, Scan-to-BIM에 적용된 기술, 정보 매핑 프로세스의 특성을 연구하여 국내 건축 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HBIM 정보데이터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4가지 사례를 분석한 결과 HBIM 프로세스의 기법은 다층적이고 복잡한 역사적 건춘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일부 수정·보완되어 적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arma Cathedral은 파르마 도심에 위치하여 주변의 좁은 거리와 인접한 건축물로 인해 성당 상부와 정면의 이미지 생성과정에서 가림현상 등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UAV도 도심 비행 허가 문제로 운영이 제한되었다. 이에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다양한 맞춤형 기술들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Santa Maria di Collemaggio Church는 지진으로 손상된 건축문화재의 상태를 데이터 수집단계에서부터 모니터링 하고, 측량된 데이터와 역사 문헌 자료들과의 비교 작업을 통해 건축문화유산의 물리적 복원계획뿐만 아니라 디지털 재현에 필요한 모델도 동시에 구축하였다. San Nicola Church 사례에서는 건축문화재가 지진에 노출되어 있어, 신속하고 안전한 데이터 수집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세밀한 측량기법을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건축문화재의 상태 변화 모니터링을 진행했다. St. John Cathedral of Nicosia 사례에서는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높은 수준의 최적화 작업을 통하여, 외부 소프트웨어와의 상호연결성이 높은 3차원 데이터베이스로서의 HBIM 모델을 구현했다. (결론) 건축문화유산은 자체만으로도 큰 감동을 선사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부분적으로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많다. HBIM 기술의 도입은 건축 유산 해석과 보존 작업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건축문화유산의 기록방식을 고찰하고, HBIM을 활용한 해외 주요 건축문화유산의 기록데이터 구축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건축문화유산 HBIM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삼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ording data of architectural heritage encompass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original data, repair history of damaged parts, and alterations due to aging, which are crucial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With the advent of computer-aided design systems,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applied to the cre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recording data. However, the absence of an integrated system limits its applica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foundational research data for standardizing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BIM) recording data construction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in Korea by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of HBIM-based recording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of overseas architectural heritage. (Metho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explored development trends in recording technology for architectural cultural heritage and examined the importance of recording data for its preservation and management. Second, based on prior research, we investigated methods for constructing HBIM-based 3D informational modeling data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Third, we analyzed the HBIM information categorization system based o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recording of cathedrals. Fourth, we studied overseas cases in Italy and Cyprus, focusing on their information collection process, technologies applied in scan-to-BI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mapping process. (Results) The analysis of the four cases revealed that HBIM process techniques were partially modified and adapted to reflect the complex and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rchitectural heritage. Parma Cathedral, located in the urban center of Parma, faced difficulties in image creation for the upper and frontal parts of the cathedral because of obstructions from narrow streets and adjacent buildings. In the case of Santa Maria di Collemaggio Church, which was damaged by an earthquake, monitoring began at the data collection stage. The architectural heritage was compared with the surveyed data and historical documents,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both a physical restoration plan and a digital reproduction model. For San Nicola Church, which is exposed to earthquake risk, the focus was on rapid and safe data collection. Detailed survey techniques were used to monitor the changes in architectural heritage conditions over time. In the case of St. John Cathedral of Nicosia, the data generated at the “data collection stage” underwent high-level optimization to create an HBIM model as a 3D database with high interoperability with external software. (Conclusions) The introduction of HBIM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revolutionary changes in the interpretation and conserv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This study examines past recording methods of architectural heritage and analyzes cases of recording data construction at major overseas architectural heritage sites using HBIM, aiming to create foundational research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HBIM in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study on accessibility of urban park in Hefei City intergrating space syntax and Baidu heatmaps = 공간 구문과 Baidu Heatmaps을 결합한 허페이시 도시공원의 접근성 연구 Huang, Zhongshan, Lee, Sunjung p. 11-32

(A) study on the typology of transformable furniture in micro-apartments = 초소형 주거공간에서의 가변형 가구 유형에 관한 연구 Priscila Susana Zumarraga Suarez, Choi, Jeong Ah p. 33-45

GIS를 활용한 육상기반 UAM 이착륙장(Vertiport)과 해양특화 UAM 이착륙장의 입지선정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location selection between land city-based UAM vertiport and marine city-based UAM vertiport using GIS : focused o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예린, 황효민, 김지현, 오광석 p. 47-60

교육시설의 공간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patial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 focusing on career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of the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충청남도 교육청 진로융합 교육원을 대상으로 이지수, 이현성, 김주연 p. 61-74

도심지 지속가능한 도로설계 연구 = A study on sustainable street design in urban areas : focusing on European case analysis and design proposal for Jungang-ro in Daejeon : 동시대 유럽 대도시 사례분석 및 대전 중앙로 설계안을 중심으로 백한열, 이희재 p. 75-86

자율 주행 공간 디자인의 오감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five senses in autonomous driving spatial design 풍리아, 박태욱 p. 87-97

현대 패션쇼 진행방식과 무대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thod of modern fashion show and the change : around the post pandemic period : 펜데믹 이후를 중심으로 윤세미, 임선희, 김주연 p. 99-112

서울시의 안전시설이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afety facilities in Seoul on women's fear of crime 김우림, 박재완 p. 113-120

바이오필릭 개념을 기반으로 브랜드 경험 공간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based on biophilic concept : focusing on the plant content space : 식물 콘텐츠 공간을 중심으로 조혜영, 이정교 p. 121-134

공간구문론을 의한 전시공간 가시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ibility of exhibition space based on spatial syntax : focused on special exhibition in the Wumen Hall : 오문 전시장 특전을 중심으로 한한, 김영진, 김주연 p. 135-149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구도심 복합 용도 전환 마스터플랜 연구 = A study on the master plan for mixed-use conversion in old town using senior collective house 김은광 p. 151-162

생태환경 이론을 기반으로한 공간디자인 분류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design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ecological environment theory : focusing on the Chinese village spaces : 중국 취락 공간을 중심으로 정조룡, 이상해, 최경란 p. 163-174

피터 줌터의 건축에 나타나는 빛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light in Peter Zumthor's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threshold and construction method : Threshold와 시공방법을 중심으로 김미령, 장용순 p. 175-188

진화미학에 기반한 지오 필릭 디자인(Geo-philic Design) 개념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concept of geo-philic design based on evolutionary aesthetics 대우항, 조택연 p. 189-201

공간 지각법칙을 통한 도시 가로의 3차원 보이드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3D void analysis method of urban streets through spatial perception laws : focusing on commercial streets in Seoul : 서울특별시 상업 가로 중심으로 김연지, 송석재, 김용성 p. 203-215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를 위한 근린공원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ighborhood park for aging in place 김민주, 이돈일 p. 217-227

국내·외 건축 설계 스튜디오 사례분석을 통한 메타버스 활용 방법에 관한 연구 = Transforming architectural education : exploring the metaverse in design studio through analyzing case study 이근혜, 박은주 p. 229-238

고령노인을 중심으로 한 실내 주거공간의 창문 환기 방식 연구 = Study of window opening and ventilation methods in indoor living spaces centered on senior citizens 한연, 최경란 p. 239-249

제주도 뮤지엄 건축의 지역성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regionality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Jeju museum architecture : forcusing on the critical regionalism : 비판적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장종구, 김용성, 송석재 p. 251-261

운전자의 심리적 안전성 향상을 위한 지하 고속도로 공간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space design of underground highways to improve drivers' psychological safety 강영진, 이현성, 김주연 p. 263-272

인터랙션 기반의 응답 미디어에서 스페이스 인터페이스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interface types in the equivalence response reaction media based on the interaction 김일석 p. 273-282

CMF를 기반으로 한 중국 도시 내 고령자 주거 환경의 안전성 현황 연구 = Study on residential space situation safety for the senior citizen in Chinese based on CMF 황방연, 이선정 p. 283-297

건강 거리 개념 기반의 보행로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idewalk characteristic elements based on the concept of healthy streets : focusing on China‘s 7 largest cities : 중국 7개의 특대 도시를 중심으로 가지우, 이현성, 김주연 p. 299-310

AHP분석기법을 통한 무인점포 소비자 공간 만족도 평가체계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system of consumer space satisfaction in unmanned stores through AHP analysis technique 주운사, 김경숙 p. 311-323

중국 ‘의경(意境)’ 미학 기반 공간디자인 사고 방식 연구 = A study on the thinking mode of space design based on ‘space artistic conception’ aesthetic theory in China 학춘우, 이선정 p. 325-339

가시성 그래프를 이용한 생성형 AI의 평면도 이미지 분석 = Analysis of generative AI's floor plan images using visibility graphs 허신재, 조택연 p. 341-352

아이돌 팬덤 문화에 기반한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space based on idol fandom culture 권새실, 정강화 p. 353-364

움직임을 모티브로 한 건축물 조명 디자인 작품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architectural lighting with movement as a motif 손동훈 p. 365-375

해외 고령친화 주택디자인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 Characteristics of global age-friendly housing design guidelines 황윤서, 이연숙, 임예지, 전은정 p. 377-389

CVM을 이용한 디지털 공공디자인의 경제적 가상가치측정 분석 = Analysis on economic virtual value measurement of digital public design using CVM 김선영 p. 391-398

위상학 연산을 적용한 경사지 집합주거 계획안 개발에 관한 연구 = Design scheme of sloped collective housing applying topology operations 장도현, 김진호 p. 399-411

탄소중립 건축을 위한 그린빌딩의 입체녹화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3D green design method of green building for carbon neutrality architecture : focusing on office for business : 업무용 오피스 건축을 중심으로 김희수, 송석재, 김용성 p. 413-428

중국 주거지역 근린공간의 인지건강 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gnitive health design of neighborhood space on residential area in China : focusing on Shanghai 'age-friendly community' : 상하이 '고령 친화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천멍커, 한태권 p. 429-443

국립 박물관에 대한 전시 공간의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or national museums 한태은, 김용성, 이남규 p. 445-458

공간의 감각적 요소와 생리적 반응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lements of space and physiological response 강민구, 이현성, 김주연 p. 459-470

도심형 놀이 공간의 체험형 인터랙티브 디자인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experiential interaction design in urban game space 양지아티엔, 이수영 p. 471-483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의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roadside building facade composition on the form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s 이진희, 정진우 p. 485-496

공공미술 작품의 생애주기 정립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defining the life cycle of public artworks 박재은, 장영호, 김주연 p. 497-507

유전알고리즘을 활용한 조망분석 최적화에 따른 볼륨 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olume planning based on optimized view analysis using genetic algorithms 김범진, 김용성, 송석재 p. 509-519

프랙털(Fractal) 자기 유사성(Self-similarity)에 기반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geo-philic architecture based on fractal self-similarity 대우항, 조택연 p. 521-533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색채교육 워크숍 기획을 통한 학교공간의 외부·내부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terior and interior color planing for school space through color education workshops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s 임오연 p. 535-548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으로 본 중국 도시공원의 적용성 평가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evaluation and user satisfaction of Chinese urban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수취안파, 권영재 p. 549-562

수도권 신도시 근린공원의 접근성 및 특징 분석 연구 = Analysis of accessibility and features of metropolitan area new town neighborhood parks 정현영, 김용성, 이남규 p. 563-574

환경조형물의 조형적 특성요인이 가로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factors of environmental sculpture on street environment 이건희, 장영호, 이재규 p. 575-587

돈 아이디의 '신체화' 개념을 통한 확장현실 공간의 ‘META-신체화’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TA-embodiment' in extended reality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embodiment' by Don Ihde 강남, 윤성호 p. 589-602

공간 구문론(Space Syntax)을 통한 공공건물 내부 길 찾기 용이성 연구 = A study of wayfinding in the interior public buildings on space syntax : focus on public libraries in China : 중국 내 공공 도서관을 중심으로 장윤호, 김경숙 p. 603-616

플래그십 스토어 체험마케팅 구성요소가 소비자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flagship store experiential marketing components on consumer brand awareness : focusing on sports brand stores in China : 중국 내 스포츠 브랜드 매장을 중심으로 양정펑, 김경숙 p. 617-629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에서 나타난 지속가능성 분석 모델개발 및 사례 연구 = Development of a sustainability analysis model and case study in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왕영, 윤지영 p. 631-645

이미지생성 인공지능의 유형 및 이미지 활용 분석 = Types of image generative AI and image analysis : focus on representative cases of image transfer, translation and extension : 이미지 전이, 변형, 확장 대표사례 중심으로 박인평, 한정엽 p. 647-655

자원순환 관점의 공공디자인을 통한 지속가능한 순환도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le circulation city through public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esource circulation : focusing on local and international resource circulation village unit projects : 국내외 자원순환 마을 단위 사업 중심으로 김지유, 장영호, 김주연 p. 657-668

복합커뮤니티 공간 공공미디어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media in complex community space 이보아, 이현성, 김주연 p. 669-678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CVR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VR analysis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of metaverse in public sector 김주영, 임선희, 김주연 p. 679-689

건축문화유산 유지보수관리를 위한 HBIM 기록데이터 구축방안 연구 = A study on HBIM-based documentation system for maintenance of architectural heritage : focused on the overseas church information modelling cases : 해외 성당 건축유산정보모델링 사례를 중심으로 천준호 p. 691-704

VMD 구성요소가 소비자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VMD components on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lifestyle brand offline stores in China : 중국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조형여, 김경숙 p. 705-719

세지마 가즈요 건축에 나타난 유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jima Kazuyo architecture 박세현, 윤성호 p. 721-736

발달장애인 그룹홈의 거주유형별 공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housing type : focusing on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community adaptation environment of a group hom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 경기도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을 중심으로 최승현, 김정빈 p. 737-751

명품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파사드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design elements of a luxury brand's flagship store facade : focusing on overseas highend stores in the Seoul areal : 서울 지역의 해외 하이엔드 스토어 중심으로 김기창, 김용성, 이남규 p. 753-766

ESG 사회적 가치 활동 사례분석을 통한 진정성 요소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authenticity factors through analysis of ESG social value activity cases 정선익, 이현성, 김주연 p. 767-778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 Analysis of operating systems for sustainable activ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 focused on the New York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cases :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유재호, 김정빈 p. 779-791

중고통합운영학교 조성을 위한 사전기획의 공간재구조화와 특화공간디자인 = Spatial restructuring and specialized space design in pre-planning for middle and high integrated operational school : case study of Konyang Middle School & Konyang High School : 건양중학교와 건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임오연 p. 793-804

관광 약자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가상현실 기술 적용 연구 = A study on apply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for vulnerable groups in tourism 곽성준, 김기원 p. 805-818

의경(意境)으로 바라본 창덕궁 후원(昌德宮 後苑)과 카츠라리큐(桂離宮)경험에 관하여 = Focusing on Uigyeong(意境), a study of the Changdeokgung Secret Garden and the Katsura Imperial Villa 이수연, 조한 p. 819-832

산림문화 향유 증진을 위한 전시 매체 및 공간 연출 분석 = An analysis of exhibition media and directio space to promote the enjoyment of forest culture 김영주, 김현주, 오정은, 진혜영, 김창준 p. 833-842

구성주의의 반영 = Reflecting constructivism : a case study of McNay Art Museum’s exhibition : McNay Art Museum의 전시 사례 연구 유주영 p. 843-853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 컨설팅을 위한 사용자 중심형 대화형 AI 플로우차트 개발 = A study on user-centered conversational AI flowchart development for interior fabric design consulting 양정아, 안성희 p. 855-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