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사에서 개발의 시대로 불리우는 1960년대 중반, 전북 임실과 정읍에 걸쳐 ‘섬진댐’이 건설되며 2천 7백여 세대의 수몰민들은 정든 고향을 떠나야만 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그들의 대표적인 정착 후보지로 선정된 곳이 바로 전북 부안의 ‘계화도’ 간척지였다.

수몰민들의 주요 정착지인 계화도 지역은 일제강점기였던 1910년대에는 동진강 하구에서 소형 선박이 왕래하였고 강 연안에는 포구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 흔적과 지명만 남아 있는 실정이다.

특이한 점은 이미 일제 말기에도 계화도에 간척사업이 착공되어 중단되었던 역사가 있었다는 점이다. 즉 1944년 일인들에 의해 ‘조선농지개발영단’이 창설되고 계화도와 육지부를 연결하는 방조제를 축조하여 농경지화하려는 공사가 착공되었다. 그러나 8.15 해방으로 중단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해방 이후 1961년 국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섬진댐의 건설이 시작된 것이다. 전북 정읍의 칠보발전소와 동진강 하류의 간척사업을 묶어 ‘동진강 지역 종합개발 수리간척사업(일명 계화도 간척사업)’이라 명명하며 사업이 추진되었다.

1961~1965년 기간에 섬진강 댐이 완공되며 수몰민 2,786세대의 이주와 정착을 위한 후보지로 선택된 곳은 다름 아닌 계화도 지역이었다. 즉 섬진댐의 건설에 맞추어 동진면의 안성리와 계화도를 연결하는 1호 방조제와 계화도에서 부안군 하서면 돈지마을을 잇는 2호 방조제가 1967년에 건설되고, 1977년에는 매립지에 논이 조성되기에 이른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미 1차적으로 살펴본 ‘섬진댐 수몰민’이야기를 뒤로 하고, 자료와 현장 조사 및 면담 등을 중심으로 ‘계화도 간척지 이주 정착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1960년대에서 근래에 이르는 지난 반세기를 넘는 기간, 그들의 삶과 생활문화, 지역사회의 변동을 검토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관련 기록과 기억이 중심을 이루며,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이후 실시한 현장 조사와 인터뷰 등도 참고가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댐 수몰민의 계화도 이주 초기 이주 정착의 경과와 실태에 대해 검토할 것이다. 즉 이주 초기의 상황에 대한 개관 가운데 가경지의 경작과 주거 조건, 브로커들의 농지매매, 이주권의 매매 실태, 보상주택의 건축 과정과 취락의 건설 추진 사항, 이주 정착민의 고단한 삶 가운데 생업과 부업 상황 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In the mid-1960s. the era of development in Korea's history of social economy, 'Seomjin Dam' was constructed over Imsil-gun and Jeongeup-si, Jeollabuk-do. As a result, people from 2,700 households who used to live in the area to be submerged had to leave their hometowns to be submerged. One of the candidate settlement sites was the reclaimed land in 'Gyehwa Island' in Jeollabuk-do.

Gyehwa Island, which became a major settlement of these displaced people, includes the mouth of the Dongjin River through which small ships would come and go in the 191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used to be docks alongside the river, but now, only their traces and names remain.

One interesting point is that in history, a reclamation project over Gyehwa Island started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it stopped in the middle. In 1944, the Japanese founded the Korea Farmland Development Agency was founded by Japanese people to build an embankment connecting Gyehwa Island to the mainland for space for agricultural land.

However, the project stopped around the national liberation on August 15.

Against this background, the construction of Seomjin Dam started as part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project in 1961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The reclamation over the area of Chilbo Power Plant of Jeongeup, Jeollabuk-do, and at the downstream area of Dongjin River was initiated under the project name,‘the comprehensive revampment and reclamation project over the region of Dongjin River (also called 'Gyehwa Island Reclamation Project).’ As Seomjin River Dam was completed between 1961 and 1965, the region of Gyehwa Island was selected as a candidate for the settlement of 2,786 displaced households. In line with the construction of Seomjin Dam, Embankment No. 1 connecting Anseong-ri of Dongjin-myeon and Gyehwa Island and Embankment No. 2 connecting Gyehwa Island with Donji Village, Haseo-myeon, Buan-gun, were completed in 1967. In 1977, rice paddies were formed in the reclaimed land.

Rather than the story of 'displaced people because of Seomjin Dam' which was discussed already, this study examines 'settlers over the reclaimed land of Gyehwa Island' mainly based on the field survey and interviews as well as documentary investigation. Particularly, changes in their lives, living cultures, and communities during a half century from the 1960s up to now will be examined. The focus will be on related documentary materials and their memories in that process.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ill be followed additionally by the field survey, interviews, etc.

Specifically, the process and actual conditions of displaced people's settlement over Gyehwa Island in the initial stage will be analyzed. In other words, the brief overview of the initial situation of the settlement will include the conditions of farming and housing in the cultivable land, farmland transaction among brokers, the right of migration over the cultivable land, construction of residents for compensation, community construction, haesh life of settlers, their occupations and side jobs, etc.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섬진댐 수몰민의 계화도 간척지 이주·정착의 생활문화와 지역사회의 구조변동(1965-2020) =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and life & culture of the ‘submerged people’ by the Seomjin Dam to the reclaimed Land, Gyehwa-do(1965-2020). 2, Collective memory and records of the settlers. 2, 이주 정착민 관련 기록과 기억을 중심으로 김민영 p. 1-19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기반 갯벌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tidal flat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 오숙현 p. 21-39

생태환경 융합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convergence competency of ecological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pre-service environment teachers in Mokpo, Jeollanam-do : 전남 목포 지역 예비 환경교사를 중심으로 박마라나 p. 41-55
윤석열 정부의 자유·평화·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에 따른 태평양도서국(太平洋島嶼國) 접근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approach strategy of Pacific island countries following the Yoon Seok-yeol administration's Indo-Pacific strategy of freedom, peace, and prosperity 박영민, 이웅규, 김용완 p. 57-78
여수-남해 해저터널 효과 극대화를 위한 채널 터널사례 분석으로 본 여수 발전전략 고찰 = The examination of Yeosu development strategy through channel tunnel case analysis to maximize the effect of Yeosu-Namhae undersea tunnel 이웅규, 김용완 p. 79-95
국내 크루즈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과 재방문 의도 =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cruise tourists 인옥남, 강신영 p. 97-115
동해안 해양관광 방문동기가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tivation to visit east coast marine tourism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focusing on the marine space of Gangneung : 강릉의 해양공간을 중심으로 장수연, 김월호 p. 117-143
다세대 파트너쉽 중심 해안 지역 활성화 및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 연구 = A study on multi-generation-centric coastal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남진보 p. 145-159
우리나라 도서(섬) 지역의 인구소멸 위기 대응전략 = Research strategies to respond to the population extinction crisis in Korea’s island regions 허중욱, 최영순 p. 161-181
도서(섬) 지역에서 치유농업 가능성 탐색 = The research to explore the potential of healing agriculture in Korea island areas : based on case studies :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최영순, 허중욱 p. 183-200
농어촌 지역 자영업자의 구강건조증 및 구취에 관한 조사연구 = A research on the dry mouth and bad breath of self-employed people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aean province : 태안군 지역을 중심으로 문선정, 김은희, 박효정 p. 201-213
일부 농어촌 지역 대학생의 치아미백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A research on tooth whitening attitude in university students in rural communities : fo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Pohang, Gyeongsangbuk-do : 경상북도 포항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김은희, 문선정 p. 215-227
경상북도 포항 소재 대학교 재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피로에 관한 조사연구 = A study on the self-resilience and fatigue of university students in Pohang, Gyeongsangbuk-do 가경환 p. 229-242
농어촌 복합 섬지역 노인의 감염예방행위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실천의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health beliefs related to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and practice of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elderly people in island area 윤치양, 전미양, 김향숙 p. 243-259

멸종위기 식물 정향풀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개체군 현황 등 기초정보 = Population status and other basic information on an endangered plant,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for conservation planning : based on Yellow Sea islands (Baengnyeongdo, Daecheongdo, and Yeonpyeongdo) and Gangwon-do (Sokcho) : 서해 도서지역(백령도, 대청도, 연평도) 및 강원도(속초) 지역을 중심으로 이학봉, 윤영준, 김경순 p. 261-281
당종려(Trachycapus fortunei)의 염분 저항성 생육특징과 연안지역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salinity-resistant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astal area expansion of Trachycapus Fortunei 박재찬, 남진보, 주은혜, 최지훈, 김세빈, 송인희, 김근호 p. 283-300
전남 완도군 조약도 나비 군집의 다양성 및 계절변화 연구 = Biodiversity and seasonal changes research of butterflies community on Joyakdo Island 이상훈, 신학섭, 신만석, 이재호, 안나현 p. 301-314
「가고 싶은 섬」의 갯벌과 토양환경 특성 =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d flats and soil environment on 「Islands that People Hope to Visit」. 7, A focus on Yeondo and Okdo. 7, 연도, 옥도 중심으로 박혜지, 양정고, 박보영, 장성국, 박혜진, 최미연, 문지혜, 김경수 p. 315-331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and occupat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in rural & fishing village who experienced COVID-19 on career identity = 코로나 19를 경험한 농어촌지역 간호학생의 셀프리더십, 직업가치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Jung, Yun-kyung, Lee, Jeong-Hwa p. 333-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