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실과 ‘건설 기술’ 영역의 내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field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강종표 p. 1-25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 개발 =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invention teacher job training 이승원 p. 27-44
초등학생 대상 지구시민교육의 효과 평가 = Effect of earth citizenship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상은영, 이지영, 김정원 p. 45-69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실과교과서 식생활 단원에 반영된 메이커 역량 분석 = Analysis of maker competencies in dietary life units of practical arts textbook under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이경애 p. 71-95
초등 STEAM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elementary STEAM in Korea : focusing o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기용, 이건남 p. 97-115
신구교육과정의 비교 분석과 실과 중심 창의・융합 수업 모형의 탐색 = The exploration of practical arts subjects-centered instruction model based on a comparison analysis of the revised curriculum 류청산 p. 117-145
초등 실과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방기혁 p. 147-172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초한 의생활 분야 교과서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 A textbook analysis of SDG-based clothing & living area and application effect of ESD program 이윤정 p. 173-195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o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김재호 p. 197-217
실과 교과의 의생활 중심 메이커 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maker-based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home life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이성숙, 김진옥, 박광렬 p. 219-239
후기구석기 오리나시안 문화와 복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urinasian culture and clothing 정미경 p. 241-261
메이커교육을 경험한 초등학생의 감정 탐색 = Exploring the emo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maker education : by applying photovoice :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윤주혁 p. 263-296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예비 교사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진로발달 수준의 차이 분석 = Analyzing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career development using latent class analysis 이건남 p. 297-317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연계교육 내용 분석 = Content analysis of the career linkage education in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장현진 p. 319-347
메이커 기반 비구조화된 문제해결 활동에서 초등학생의 경험의 의미 탐색 =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s in a maker-based unstructured problem-solving activity 류미, 송현순 p. 349-375
교사들의 에듀테크 활용 수업 및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edtech utilized classes and its application 박광렬 p. 377-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