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교수설계에서 생성형 AI 기반 챗봇 ChatGP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문헌 검토와 사례 분석을 통해 ChatGPT의 교수설계 활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교수설계 모형 중 하나인 RPISD(Rapid Prototyping for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단계에 따른 ChatGPT 활용 방안을 프롬프트와 함께 도출하였다. 이후 교수설계와 인공지능 분야에서 5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박사급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ChatGPT의 교수설계 활용 방안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여 활용 방안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설계, 개발, 사용성 평가, 실행, 총괄평가 각 단계에 따른 ChatGPT 활용 방안이 프롬프트와 함께 제안되었다. 또한 ChatGPT의 교수설계 활용 방안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ChatGPT를 활용한 교수설계의 경험이 있는 교수설계자 4인 대상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제안된 활용 방안에 대한 교수설계자의 인식과 제안된 방안의 실제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반 챗봇의 교육적 활용이 교수설계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설계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지능 튜터링 시스템 기반 초등학교 수학 수업 설계원리 및 지침 개발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ing system 최서연, 임철일 p. 969-1009

ChatGPT를 활용한 수학 플립러닝 사례연구 = ChatGPT-flipped mathematics class case study : focused on learners’ engagement : 학습자의 참여를 중심으로 윤정은, 박수민, 권오남 p. 1011-1047

ChatGPT와의 협업을 통한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의 미래교육 시나리오 도출 = Deriving future education scenario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through collaboration with ChatGPT 임상훈, 이은택, 오희정 p. 1049-1080

국내외 협력학습분석학(Collaboarative Learning Analytics)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collaborative learning analytics 임규연, 진명화, 정유진, 김혜준, 이다혜 p. 1081-1121

MOOC에서 사전 인출 연습과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와 학업 지속 의향 및 메타인지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pre-retrieval practice and feedback types in MOOCs on academic achievement, persistence intention, and metacognitive judgment 서일보 p. 1123-1151

중학교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맞춤형 학습을 위한 학습자 유형화 탐색 = Exploring learner classification to enhance personalized learning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홍원준, 이선희 p. 1153-1174

지속가능한 대학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체계 개발 및 교육 요구도 분석 = Development of a teaching competency model and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sustainable higher education 진성희, 유미나 p. 1175-1212

교수설계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챗봇의 활용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use of a generative AI-based chatbot for instructional design : focused on ChatGPT and RPISD model : ChatGPT와 RPISD모형을 중심으로 임철일, 고보경, 정예일, 이은서, 전민선, 김승하 p. 1213-1248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는 학습분석학의 적응적 진화 = Adaptive evolution of learning analytics in the ag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정겨운, 조일현 p. 1249-1270

교수설계에서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I in instructional design : focusing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needs of the HRD practitioner : 문헌고찰 및 HRD 담당자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전주희, 김경혜, 정보영 p. 1271-1303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교육서비스에 대한 학교교육 이해관계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Analysis of K-12 stakeholder awareness and needs for AI-based personalized education services 진성희, 유미나, 서경원 p. 1305-1335

ChatGPT를 활용한 텍스트 데이터에서 키워드 추출 = ChatGPT-based keyword extraction from text data : a comparative study of similarity with manual methods : 수동방식과의 유사도 비교를 중심으로 임태형, 양은별, 기수현, 김국현, 정유선, 이선옥, 류지헌 p. 1337-1368

초⋅중등교사의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력이 AI 활용 교육 수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eachers’ innovativeness and soci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ccept AI education : ser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의 직렬 매개효과 김소희, 이영주 p. 1369-1399

ChatGPT가 교육 및 학술연구 분야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 Potential impact of ChatGPT on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 review of trends in Korea and overseas : 국내외 연구동향 검토 주라헬, 최예린, 송지훈, 유명현 p. 1401-1447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미래교육 = Future education with generative AI : from machine to collaborative partner : 기계에서 협력 파트너로 조영환, 이지은, 임규연, 정한호, 한인숙 p. 1449-1478

인공지능(AI)의 교육적 실천을 위한 가능성과 과제 = The possibilities and promises for educational practi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성은모, 김동호, 신서경, 이영주 p. 1479-1508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윤리 지침 개발 = Ethical guidelines for educational use of AI 박연정, 정종원, 노석준, 이은배 p. 1509-1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