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식민지 근대로의 진입기 정점이었던 시기 조선과 대한제국기의 관료이자 유교적 저항지식인이었던, 마침내 일본의 침략에 저항하면서 순국하였던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1855–1907)에 관하여 기존연구동향을 고찰하고 향후의 과제를 진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글에서는 시기적 차원에서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첫째는 1970년대-1980년대로서, 수당연구의 출발기이자 얼개가 조성되었던 시기로 주로 한문학계와 역사학계의 작업이 진행되었고 구국지사로서 위정척사파이기는 하나 근대론자는 아니었던 것으로 인식하면서 주로 애국지사로서의 면모에 관심을 두었다. 다음 1990년대-2000년대는 첫 시기의 관점이 지배적으로 관철되면서도 조금씩 시선의 다변화가 모색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애국가로서의 면모는 여전히 강조되었지만 위정척사파에 대한 부당한 시선을 극복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기도 했다. 세 번째, 2010년대-2023 현재까지는 상당히 큰 폭의 다변화와 심화가 진행된 시기였는데, 특히 수당의 의도적 전통수호 색채에 대해 근대중심적 편견에서 탈피하여 자유롭게 접근한다는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마침 올해는 수당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시작된지 50년을 맞이하는 해이다. 50년간의 연구성과로서는 매우 부족하지만 최근의 연구성과와 속도를 보건대 향후 발전방향과 성과를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李南珪, 『修堂集』 成均館大大東文化硏究院, 1973. | 미소장 |
2 | 이남규 저, 홍승균 역,『국역 수당집』 민족문화추진회, 1997. | 미소장 |
3 | 이남규 저, 홍승균 역,『국역 수당 이남규 문집』 한국학술정보, 2007. | 미소장 |
4 | 강주진, 「수당의 정치적 경륜」『나라사랑』28, 1977 | 미소장 |
5 | 권오영, 「이남규의 학맥과 유학사상」《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수당기념사업회, 2007; 『조선시대사학보』44, 2008. | 미소장 |
6 | 권혁명, 「수당 이남규의 시세계 연구」 『고전과해석』29, 2019. | 미소장 |
7 | 김문식, 「修堂李南珪의 救國방안」 《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2007;『진단학보』105, 2008. | 미소장 |
8 | 金祥起, 「修堂李南珪의 學問과 洪州義兵鬪爭」 《修堂李南珪의 思想과 愛國活動》.1997; 『朝鮮時代의 社會와 思想』, 조선사회연구회, 1998. | 미소장 |
9 | 김시업, 「李南珪의 현실인식과 애국항쟁문학」, 《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수당기념사업회, 2007. | 미소장 |
10 | 김언종, 「수당 이남규 예의식의 특징적 면모」《수당 이남규의 사상과 문학》, 수당기념사업회, 2017; 『민족문화』50, 한국고전번역원, 2017. | 미소장 |
11 | 김종철, 「修堂李南珪律文의 形式과 修辭特性」 『동방한문학』 45, 동방한문학회, 2010. | 미소장 |
12 | 문정우, 「修堂李南珪의 現實認識과 詩世界」, 경상대 박사논문, 2008. | 미소장 |
13 | 박민영, 「수당 이남규의 절의와 항일투쟁」『만해학보』6집, 2003. | 미소장 |
14 | 박우훈, 「충남지역의 한문학」『동방한문학』26, 동방한문학회, 2004. | 미소장 |
15 | 배종석, 「修堂李南珪의 주체적 대외의식과 시」『한문학논집』 29, 2009. | 미소장 |
16 |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상소문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2011. | 미소장 |
17 |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서간 연구」『어문연구』 80, 어문연구학회, 2014. | 미소장 |
18 |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산문 연구」, 충남대 박사논문, 2017. | 미소장 |
19 | 서성준, 「수당 이남규의 <갑오/을미일기> 연구」《수당 이남규의 사상과 문학》, 수당 이남규선생 서세 110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2017.10. 23. 서울역사박물관; 『한문학논집』56, 2020 | 미소장 |
20 |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수당 이남규의 생애와 사상》, 학술발표자료집, 1973. | 미소장 |
21 | 송재소, 「수당 이남규의 시에 대하여」《修堂李南珪의 思想과 愛國活動》, 1997; 『민족문화』22, 고전번역원, 1999. | 미소장 |
22 |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修堂李南珪의 思想과 愛國活動》, 수당 이남규선생 서세 9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1997. | 미소장 |
23 | 수당기념사업회, 《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이남규 선생 서세 100주년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07. | 미소장 |
24 |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평주 이승복의 생애와 독립운동》, 학술발표자료집, 2008. | 미소장 |
25 |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수당 이남규의 사상과 문학》, 수당 이남규선생 서세 110주년 기념학술대회 자료집, 2017, 서울역사박물관. | 미소장 |
26 | 수당이남규기념사업회 &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수당기념학술회의 《수당이남규선생 사상과 업적 재조명》, 예산청소년수련관 비전홀, 2021 | 미소장 |
27 | 신창호, 「수당 이남규 선생의 사상과 교육철학적 함의」《수당 이남규선생사상과 업적 재조명》, 2021; 「수당 이남규의 교육사상 고찰」 『동방학』 46, 한서대 동양고전연구소, 2022. | 미소장 |
28 | 안소라, 「수당 이남규의 한시 연구」, 성균관대 석사논문, 2007. | 미소장 |
29 | 안외순, 「수당 이남규 선생의 국제질서 인식론: ‘자주 독립’과 ‘사대 교린’관념을 중심으로」, 《수당 이남규선생 사상과 업적 재조명》, 2021. | 미소장 |
30 | 외솔회, <수당 논집> 『나라사랑』 28집, 1977. | 미소장 |
31 | 윤병석,「수당 이남규의 생애」 『나라사랑』28,외솔회, 1977. | 미소장 |
32 | 이가원, 「修堂李南珪의 사상과 문학」《수당 이남규의 생애와 사상》, 1973;『나라사랑』28집, 1977. | 미소장 |
33 | 李相益,「修堂李南珪의 歷史意識」《修堂李南珪의 思想과 愛國活動》,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1997; 『한국사상과 문화』 16집, 2002 | 미소장 |
34 | 이성무, 「수당 이남규의 생애와 사상」《수당 이남규의 학문과 사상》, 수당이남규선생기념사업회, 2007 | 미소장 |
35 | 이우성, 「해제」 『修堂集』,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73; 『국역 수당 이남규 문집』, 민족문화추진회, 1996; 『국역 수당 이남규 문집』 한국학술정보, 2007. | 미소장 |
36 | 이정규,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의 대일관(對日觀)과 피살(被殺) 배경에관한 연구」, 순천대 석사논문, 2022. | 미소장 |
37 | 이혜순, 「대한제국의 문학(Ⅲ): 修堂, 梅泉, 滄江의 우국 한시를 중심으로」, 『주제연구』 11집,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1986. | 미소장 |
38 | 임창순, 「修堂과 한문학」, 『나라사랑』 28집, 1977. | 미소장 |
39 | 임형택, 「수당 이남규와 그의 奏議에 대한 이해」《修堂李南珪의 思想과 愛國活動》, 수당이남규선생 서세 90주년 기념학술대회, 1997; 『한문학보』1, 우리한문학회, 1999. | 미소장 |
40 | 임형택, 「修堂李南珪의 사상과 문학」『민족문화』51, 2018. | 미소장 |
41 | 전규태, 「修堂의 문학사적 위치」『나라사랑』 28집, 외솔회, 1977. | 미소장 |
42 | 정순목,「수당가의 충효윤리」『나라사랑』28. | 미소장 |
43 | 조국원, 「牧隱과 修堂」『나라사랑』 28집, 1977. | 미소장 |
44 | 조동걸, 「修堂李南起의 독립정신과 遺志」 『민족문화』 22, 1999. | 미소장 |
45 | 조상우, 「修堂李南珪의 산문을 통해 본 의식지향 연구」『동양고전연구』77집, 2019. | 미소장 |
46 | 조상우, 「수당 이남규의 ‘記’ 연구(Ⅰ)」 『동양고전연구』 82집, 2021;《수당 이남규선생 사상과 업적 재조명》, 2021. | 미소장 |
47 | 천관우, 「수당의 민족정신과 사상」『나라사랑』 28, 1977. | 미소장 |
48 | 한배호, 『한국정치사』,한길사, 2008 | 미소장 |
49 | 한재훈, 「수당 이남규의 예학」 『한국실학연구』 41, 2021. | 미소장 |
50 | 함영대, 「修堂李南珪의 학문적 지향과 비판의식」 『동방한문학』, 92, 2022. | 미소장 |
51 | 洪以變, 「修堂李南珪의 洪州城戰鬪」《修堂李南珪의 生涯와 思想》, 1973; 『나라사랑』 28, 1977. | 미소장 |
52 | 黃明澗, 「韓末民族主體思想: 李南珪를 중심으로」《修堂李南珪의 生涯와思想》, 1973; 『나라사랑』28, 197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