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滄溪 林泳(1649~1696)은 17세에 李端相에게 수학하기 시작한 후, 13년 연상의 외숙 趙聖期, 金昌協 등과 학문적으로 깊이 토론하는 한편, 소론의 朴世采, 南九萬과도 가까이 지냈다. 임영은 젊어서 경전 대문과 朱子 註와 大全本 小註까지 숙독하고 主一工夫를 專習했다. 동시에, 騈文을 익히고, 『事文類聚』를 열람하여 典故에 밝았다. 1688년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이후 이조참의에 이르기까지 知製敎를 兼帶하면서 館閣文을 다수 製述했다. 이로써 창계는 일생 騈文, 程式詩, 述志詩 등에서 독특한 문학세계를 구축했다. 임영은 ‘因文入道’의 학자로 손꼽힌다. 이는 詞章에 주목했지만 사장에 매몰되지 않고 사장을 도구로 삼고 사장을 극복하고 도학을 닦았다는 뜻이다. 본고는 『창계집』 수록의 시문과 경해, 『辛酉日錄』등의 과거 관련 기록을 통해 임영의 격물치지와 하학상달의 공부법 확립과 그 문학 표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何仙姑의 八仙 진입과 形象化 고찰 = An examination of He Xiangu's inclusion among the eight immortals and the concretization of her image 周鶴群 p. 5-36

鄭道傳의 ‘立法’에 의한 ‘牽制와 均衡’의 정치사상 = Jeong Do-jeon's political thought of checks and balances by legislation 辛正根 p. 37-65

滄溪의 시문과 학술에 대한 일고찰 = A research on Ch'ang'gye Yim Yŏng's literature and learning 沈慶昊 p. 67-101

滄溪 林泳의 疏箚 一考 = A study on Changgye Lim-young's socha 宋赫基 p. 103-139

『증보소비맹자』의 조선 전래와 『맹자비평』의 편찬 = The introduction of 『Jeungbosobimaengja』 and compilation of 『Maengjabipyeong』 鄭雨峰 p. 141-164

지역 엘리트 학교의 주변화 = Provincializing local elites : agriculture education and the making of geographical hierarchy in modern Japan : 가모농림학교(加茂農林学校)로 본 근대 일본 중등농업교육과 지리적 위계 崔子明 p. 165-193

식민지 시대 냉면의 경성 진출과 그 의미 = Naeng-Myeon's entry and significance into Gyeongseong during the colonial era : focusing on <A Bowl of Naeng-Myeon>&<Naeng-Myeon> : 소설 「冷麵한그릇」과 「冷麵」을 중심으로 朴賢洙 p. 195-226

1926~1932년 월간 『朝鮮之光』의 편집과 경영 = Editorial evolution and operational challenges of The Chosun Chi Kwang : a monthly magazine's journey from 1926 to 1932 張信 p. 227-265

1970~80년대 대만 노동문학에서의 노동자 간 갈등의 양상과 그 의미 = Setting of labor issues and its significance in Taiwan's labor literature of the 1970s and 1980s 林筱慈 p. 267-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