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옌롄커의 소설 『사서』는 반우파투쟁과 대약진운동, 대기근을 시대적 배경으로,. 황하(黃河) 강변의 위신구(育新區) 제99구에서 노동 개조의 대상이 된 지식인들을 통하여 국가폭력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폭력이 횡횡하는 극한의 상황에서 생존을 위한 동물적인 본능에 지배되지 않으려는 인간 존엄성을 고찰하였다. 소설 『사서』의 일반적인 인과관계는 붕괴되어 있으며, 현실과 비현실이 교차하고 혼재되어 나타난다. 이 소설이 가진 환상성, 즉 비현실과 현실의 혼재를 좇아가는 것은 이 글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사서』를 관통하는 것은 성경의 문체와 종교적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하늘의 아이(天的孩子)』에서 인물 ‘아이’를 중심으로 성경적 문체와 절대자의 소설적 장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옛길(故道)』에서 인물 ‘작가’를 중심으로 피를 먹고 옥수수알처럼 자라버린 밀알의 서사를 통하여 비현실과 현실의 혼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로써 신실주의와 환상성의 접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新 시시포스의 신화』에서 인물 ‘학자’를 중심으로 ‘시시포스 신화’와 부조리를 분석하였다. 우화를 통하여 과거에서 현재까지 반복의 굴레에 놓인 중국인을 고찰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我佛了”中的模因组合模式探析 = An analysis of the mode of meme combination in "wo fo le" 林志永 p. 1-19

現代漢語和古漢語的通感隱喩映射方向性綜合硏究 = A study on directionalities of linguistic synaesthesia based on modern and ancient Chinese 趙參勳 p. 21-33

제2언어 습득에서의 전이 현상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er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표준중국어(L2)가 한국어(L1)에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조아라 p. 35-48

韩汉语传信标记“-대”与“据说”的对比探析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identiality markers ‘-dae’ and ‘jùshuō’ in Korean and Chinese 单清丛 p. 49-66

인지지도를 통한 어휘 의미 변화 고찰 = Exploring the lexical semantic changes through the use of semantic maps : focusing on ‘shui(水)’ and ‘mul(물)’ : ‘水’와 ‘물’을 중심으로 김시현 p. 67-89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 방위사 오류 분석 연구 = A study on error analysis of localizer for Korean learners of Chinese language : focusing on error judgment and error correction of teachers : 교수자의 오류 판정 및 오류 교정을 중심으로 문유미 p. 91-119

개수(概数) 兩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한국어 대응 표현 연구 = A study on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approximate number "兩" and the expression of Korean corresponding words 심지언 p. 121-142

중국의 인지언어학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trends in cognitive linguistics research in China. 1, Focus on ancient Chinese related research from 2013 to 2022. 1, 2013년부터 2022년까지 古代漢語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백종이 p. 143-167

『說文解字』 構件 ‘目’의 構意 연구 =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or the component '目' in 'Shuowen Jiezi' 노민정 p. 169-191

《三水小牍》的空间叙事研究 = The study on the spatial narrative of San Shui Xiao Du 陈瑶艺 p. 193-206

韓·中·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눈(雪) = Woman and snow in ancient East Asian literature 이경미 p. 207-225

고대 중국인들의 물아(物我)에 대한 인식 구조 = The perception structure of the man and nature in ancient Chinese as seen in Huai nan zi : 『회남자(淮南子)』를 중심으로 오상금 p. 227-246

중국 전통 희곡의 존속에 대하여 = Succession of tradiational[실은 traditional] Chinese opera : focused on connection with the game contents : 게임 컨텐츠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김형란 p. 247-273

浅谈《爱欲》中表现出的佛教观 = A brief discussion of Buddhist view in <Desire> 金垠伶 p. 275-291

唐詩에서 나타나는 부러움 및 질투심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envy and jealousy revealed in Tang Dynasty's poetry 김동진 p. 293-315

「上善若水」의 은유적 의미 = A metaphorical meaning of “supreme virtue is like the water 「上善若水」” 박경령 p. 317-333

論朝鮮詩人金麟厚漢詩中陶淵明意象 = A study on the image of the Korean poet Kim In-hoo's Chinese poet Do Yeon-myeong 任宇男 p. 335-353

중국 근대의 일상과 문학, 그 기억과 표상 = Daily life and literature in China's modern times, its recollection and representations : focusing on ‘detective novels’ : 탐정소설을 중심으로 柳昌辰 p. 355-382

일본 『小說神髓』의 논지를 통해 본 중국 신소설 담론 상의 문예론 형성 고찰 = Examining the formation of literary theory in the discourse of Chinese new novels from the Japanese 『Shosetsu Shinzui(小說神髓)』 : focusing on 「Introduction to Novel(小說總論)」 and 「Novel's Benefits(小說の裨益)」 : 「小說總論」과 「小說の裨益」을 중심으로 丁海里 p. 383-409

옌롄커(閻連科)의 『사서(四書)』 연구 = A study on Yan Lianke's novel 『四書』 박민수 p. 411-429

明末辽东战事题材时事小说中的朝鲜叙写 = The narration of Korea in current event novels about Liaodong War at the end of Ming Dynasty : centered on <Liao Hai Dan Zhong Lu> and <Zhen Hai Chun Qiu> : 以《辽海丹忠录》《镇海春秋》为中心 卢佳艺 p. 431-443

蕭紅香港時期小說再解讀 = Reinterpretation of Xiao Hong's novels in Hong Kong period : focusing on Tales of Hulan River, Ma Bo'le's Second Life, Spring in a Small Town, The Story of Red Glass : 以《呼蘭河傳》,《馬伯樂》,《小城三月》,《紅玻璃的故事》爲中心 趙洪偉 p. 445-458

『靖海氛記』 영역본의 특징과 학술적 가치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value of the translation of History of the Pirates who Infested the China Sea from 1807 to 1810 김경아 p. 459-478

高麗·朝鮮時期漢語教材《忠義直言》的研究現狀與討論 = Current research status and discussion on the Chinese language textbook 'Zhong Yi Zhi Yan' from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periods 张斌 p. 479-501

“链上的艺术” = "Art on the chain" : a metacosmic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and aesthetic value of NFT digital art : 元宇宙视域下NFT数字艺术发展与审美价值探索 刘磊, 金桂台 p. 503-516

중국 특색의 권력은 어떻게 구축되는가? = How is power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nstructed? : 판웨이(潘維)의 반(反)민주론과 그 사유 구조에 관하여 피경훈 p. 517-538

浅谈中国肖像雕塑意境的体现 = A study on the artistic conception of Chinese portrait sculpture 冯贺男 p. 539-552

模因论下网络暴力语言生成机制及特征研究 = Research on the generation mechanism and characteristics of cyber violent language under memetics 金正勋, 金炫兑 p. 553-566

관학 협력을 통한 지역사회 초·중등 중국어 프로그램의 성과와 한계 =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communi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nese language programs through government-academic cooperation : focusing on the Suncheon area : 순천 지역을 중심으로 정동보 p. 567-590

동아시아 및 인도의 홍수남매혼 신화 試探 = A study on the flood myths of brother and sister marriage type in East Asia and India 이주노 p. 591-618

중국 자전에 대한 문화연구적 접근 = A cultural studies based approach to Chinese dictionaries : focusing on the social production of Ganghuijajeon : 『강희자전』의 사회적 생산을 중심으로 전국조, 나도원, 고혜림, 이창민 p. 619-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