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나무그림검사의 평가지표에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충남, 충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성인 직장인 307명이며,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나이, 결혼여부, 학력, 고용형태, 근속연수)과 나무그림검사의 자료를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질적인 자료는 교차분석으로, 양적인 자료는 다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와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다. 둘째, 연령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와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다. 셋째, 결혼여부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와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다. 넷째, 학력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고,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고용형태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고,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근속연수에 따른 질적평가지표와 양적평가지표에 유의미한 특성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나무그림검사가 다른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나무그림검사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ree drawing te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office worker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evaluation indicators of tree drawing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 adult office workers in Seoul, Chung-nam, and Chung-buk.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employment type, years of service) and tree drawing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0 program.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ross-tabulation, an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multivariate analysis and post-hoc tes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gender. Secon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age. Third,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Fourth,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and n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Fifth,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and n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Lastly, Significan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years of service. These results showed that tree drawing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variables.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ree drawing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연속 개별시도 훈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 명명하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discrete teaching trial on the number naming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박진영, 최혜승 p. 1-16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특수교사의 교직 경험 = Teaching experience and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a siblings with disabilities 심윤선, 임경원 p. 17-38

신경발달장애아동⋅청소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social skill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neuro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meta-analysis : 메타분석 김동혁, 원규섭, 구병모 p. 39-54

공격성이 학교 및 사이버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교사관계의 조절효과 = A moderating rol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in the effect of aggression on school and cyberbullying behaviors 임진형, 전유라 p. 55-72

Operational plans for lifelong education coordinator certification system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connection with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of the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of universities = 대학교 특수교육과의 학부 교육과정과 연계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코디네이터 인증제 운영 방안 Kim, Young Jun, Kwon, Ryang Hee p. 73-122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 Parenting instability of moth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effect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권미나, 조은빛, 이진숙 p. 123-142

경계선 성격 특성에서 나타나는 조망수용 및 개인적 고통의 양상에 대한 자아분화의 효과 =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aspect of perspective taking and personal distress observed from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김영교, 임종민, 장문선 p. 143-169

생태학적 순간 평가로 본 경계선 성격 성향이 높은 사람들의 정서적 불안정성 = Affective instability in people with high borderline personality features according to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 a focus on negative and positive affect : 부정 및 긍정 정서 중심으로 김혜진, 황성훈 p. 171-189

델파이분석을 통한 장애⋅위험군학생의 5KC-생애핵심역량 강화교육 활성화 과제탐색 = Exploring tasks to revitalize 5KC-life key competency strengthen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t-risk groups through Delphi analysis 이경혜 p. 191-209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양육소진의 관계 = Correlates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al burnout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현지 p. 211-230

영유아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내면화된 수치심 및 사후반추사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ternalized shame and post-reflective thinking on depression in child care teacher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post-reflective thinking :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후반추사고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호정, 김정민, 이지선, 계한비 p. 231-255

ImageTale 앱 기반 반구조화 집단상담에 참여한 성인 발달장애인의 정서인식 경험 = Experience of emotional awareness of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semi-structured group counseling using ImageTale app 최서윤, 강민선 p. 257-281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기본심리욕구가 진로동기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 leadership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career motivation 조현재 p. 283-298

치료놀이(TheraplayⓇ)에서 놀이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play in TheraplayⓇ 홍라나, 신현정 p. 299-328

직장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나무그림검사 반응특성 및 고찰 =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ree drawing te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office workers 김현정, 안미숙, 강영주 p. 329-353

아동⋅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ith imagery rescripting for women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and childhood interpersonal trauma : focused on the changes in cognitive content of negative self-perception and cognitive processes of trauma processing : 부정적인 자기지각의 인지 내용 및 외상 처리 인지 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홍채영, 김정민 p. 355-378

느린학습자의 읽기유창성 향상과 행동변화를 위한 집단게임놀이사례연구 = A study on the case study of group game play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ingenuity and behavioral change of slow learners 이정민, 김윤희 p. 379-40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우유부단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decisiveness :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연실, 서인균 p. 403-418

대학생의 외적 권태 성향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ternal boredom proneness on problem drinking in college stud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impulsiveness and drinking motives : 충동성과 음주동기의 매개효과 홍다은, 고은영 p. 419-43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정서⋅행동장애아 교육’ 수업 설계 적용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 design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강성리 p. 435-457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중등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tresses on secondary teacher’s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환, 김만수 p. 459-479

성인기 발달장애인 대상 국내⋅외 사회성기술 집단실험연구 동향 분석 및 CEC 질적 지표에 의한 평가 =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al skills group experimental studi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ion by CEC qualitative indicators 정다예, 이원희, 곽승철 p. 481-511

실행 과학에 기반 한 미국의 긍정적 행동 중재 및 지원 전략과 시사점 = Implications of the U.S. positive behavior intervention and supports strategies based on implementation science 박계신 p. 513-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