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23년 단행본으로 출간된 마리-클레르 다블뤼의 소설 『페린과 샤를로의 모험들』은 프랑스어권 캐나다 아동문학의 탄생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1921년 프랑스어권 캐나다 최초의 아동 잡지 〈파랑새〉의 지면에 연재되었던 이 소설은 프랑스어권 아동 독자를 대상으로 집필된 역사소설로 허구와 역사적 진실을 흥미롭게 직조하면서 17세기 초반 누벨 프랑스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고 있다. 그런데 다블뤼가 그려낸 누벨 프랑스의 역사적 초상은 무엇보다 1920년대 가톨릭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가치를 추구했던 진영의 이데올로기에 정확하게 부응하는 것이었고, 이것이 다블뤼의 작품을 현대의 독자와 비평가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하는 요소가 되었다. 하지만 다블뤼의 역사 기술의 독창성은 퀘벡 민족의 역사에서 망각되었던 여성의 존재를 가시적으로 만들고, 여성 인물들이 받아 마땅한 관심과 가치 평가를 그들에게 되돌려주는 데 있었다. 이처럼 당시 시대상으로 보아 매우 포용적인 역사의 초상을 그려내고 있다는 점만으로 다블뤼의 소설은 오늘날 다시 읽고 재발견해야 할 가치가 있다.

Marie-Claire Daveluy publie son premier roman destiné à la jeunesse, intitulé les Aventures de Perrine et de Charlot en 1923. Ce roman historique nous propose un portrait historique de la vie des premiers colons de la Nouvelle-France. L’auteur plonge d’abord dans une mémoire spécifique où les valeurs clérico-nationalistes ont une place prédominante. Fidèle à la mémoire collective de l’époque, notamment aux témoignages laissés par les missionnaires jésuites de la Nouvelle-France, Daveluy partage une interprétation de l’épopée nationale du camps nationaliste, largement répandue à son époque. Pourtant, son originalité, sur le plan historiographique, se réside dans son insistance à intégrer les femmes dans le récit national. En effet, la valorisation des femmes est une particularité importante du roman qui peint alors le portrait d’une histoire qui se veut plus inclusive pour l’époqu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ce roman mérite bien d’être redécouverte de nos jou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테를랭크, 사랑을 말하다 = Dire l’amour chez Maeterlinck : Pelléas et Mélisande, Alladine et Palomides :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알라딘과 팔로미드』를 중심으로 권현정 p. 5-36

폴 클로델의 『동양인식』에 나타난 기상 감수성 = La sensibilité au temps qu'il fait dans Connaissance de l'Est 김시원 p. 37-67

해부와 삶의 진실 = L’anatomie et la vérité de la vie : une lecture du testament de 1763 de J.-J. Rousseau : 1763년 장-자크 루소의 유서 김영욱 p. 69-87

환대에 대한 새로운 시선 = Étude sur le Conte du Graal de Chrétien de Troyes : un nouveau regard sur l’hospitalité : 크레티앵 드 트루아의 『그라알 이야기(Le Conte du Graal)』를 중심으로 김정희 p. 89-130

롤랑 바르트의 음악비평 = La critique musicale de Roland Barthes 김주원 p. 131-167

아프리카 문학의 구술성을 둘러싼 논쟁들 = L’oralité dans la littérature francophone en Afrique 선영아 p. 169-186

마리-클레르 다블뤼의 『페린과 샤를로의 모험들』에 나타난 누벨 프랑스의 역사적 초상 = Un portrait historique de la Nouvelle-France revisitée dans les Aventures de Perrine et de Charlot de Marie-Claire Daveluy 신정아 p. 187-210

“누구를 위하여 쓰는가?” = Pour qui écrivons-nous? : les écrits anticoloniaux de Sartre et le problème du public : 사르트르의 반식민 글쓰기와 수용자 문제 오은하 p. 211-245

파스칼 키냐르의 파편적 글쓰기와 에토스 = L’écriture fragmentaire et l’éthos de Pascal Quignard 유재화 p. 247-276

서사학의 역사 서술을 위한 모델 구축 = L’histoire de la narratologie : en vue de la construction d’un modèle historiographique 최용호 p. 277-307

시간적 용법으로 사용된 프랑스어 복합 전치사 “en l’espace de”의 의미 정체성 분석 = Analyse de l’identité sémantique de la préposition complexe en français en l’espace de dans son emploi temporel : En comparaison avec la préposition en : 전치사 en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가영 p. 309-332

어휘부 기술을 위한 «Nom de Nom» 연쇄 연구 = Représentation des séquences «Nom de Nom» sur le lexique : autour des séquences «Nom de Nom» zoologiques : 동물명사를 포함한 «Nom de Nom»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현 p. 333-359

신조어 의미의 불안정성 = L'instabilité sémantique du néologisme : le cas de féminicide : féminicide를 중심으로 김민경 p. 361-383

장소이동성 발현에 따른 프랑스어 이동방식동사의 구분 = La manifestation de la sémantique du déplacement dans les verbes de « manière de déplacement » en français : sur la base des travaux de Boons (1987) et Laur (1991) : Boons(1987), Laur(1991)의 ‘지향’ 관련 부류를 중심으로 우현희 p. 385-426

챗지피티가 구글만큼 번역도 잘할 수 있을까? = ChatGPT peut-il traduire aussi bien que Google ? : Évaluation de ses performances et analyse de ses caractéristiques en traduction du français vers le coréen : 프랑스어 → 한국어 번역에서 성능평가 및 특성 분석 윤애선, 손승희 p. 427-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