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에서 논의한 제주의 석조미술은 불탑사(원당사지) 오층석탑, 수정사지 청석탑, 복신미륵, 존자암과 태암사지의 승탑, 돌하르방과 문인석, 동자석, 석수 등이다.

본문에서는 먼저 개별 석조미술의 연구현황과 양식적 특징 등을 살펴보았으며 조성 시기 또한 검토했다. 불탑사 오층석탑은 양식적 특징을 12세기 조성된 영동 영국사 망탑봉 삼층석탑과 비교하여 12세기 조성된 제주도 최초의 불탑으로 추정했다. 수정사 청석탑의 조성 시기에 관해서는 그동안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었다. 이 청석탑에 대해서는 고려 전기, 12세기, 13세기 조성설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본문에서는 수정사지 청석탑의 조성 시기를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반경으로 파악했다.

복신미륵은 대정현성과 정의현성 돌하르방의 조성 시기와 양식적 특징 및 원정모형 보개를 통해서 15세기 후반경 조성된 석불임을 논의했다. 존자암지 승탑은 18세기 후반경에서 19세기 조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태암사지 승탑은 기단과 탑신이 붙어 있으며 사리공이 존재하지 않는 점에 미루어 기존에 알려진바와 같은 승탑이 아니라 초석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돌하르방에 대해서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연구사를 종합적으로 정리했으며 돌하르방의 기원을 돌궐계 석인상에서 찾을 수 있다는 근래에 제시된 북방기원설을 정리했다. 탐라왕자묘 문인석과 동자석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으며 기존에 ‘돌코냉이’ 또는 남근석 등으로 알려져 왔던 서자복 옆의 석물이 왕릉급 무덤에 설치되는 석호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논의했다.

제주 석조미술은 해당 작품이 조성된 당대의 역사적 상황을 보여 주는 1차 사료적 가치가 있다는 점을 우선적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 밖에 육지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국제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 역시 중요한 특징이며 강한 문화적 소통력을 갖고 있다는 점 역시 제주 석조미술이 보여 주는 독특한 모습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려시대 제주 지역 불교의 성격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Buddhism in Jejudo Island during the Goryeo Dynasty 박종기 p. 5-35

제주 석조미술의 특징과 의미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Jeju stone art 정성권 p. 37-79

중세 탐라 제주의 물과 조응한 무속과 불교 = Shamanism and Buddhism in tune with water in medieval Tamla Jeju 김창현 p. 81-123

고려시대 제주 지역 기와의 제작계통과 특징 = Production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in Jeju during the Goryeo Dynasty 최영희 p. 125-160

탐라 제주의 고려 유적 출토 명문 기와의 성격 = Characteristics of inscribed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Goryeo in Tamla, Jeju 홍영의 p. 161-202

고려 후기 제주 법화사의 위상과 역할 = Status and role of Beophwasa Temp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박용진 p. 203-242

제주도 돗제 연구 = Research on Jeju Island's Dotje tradition : 구좌읍 김녕리 돗제 전승을 중심으로 류진옥 p. 243-276

「上太師侍中狀」의 '太師侍中'과 최치원의 재입당 사행항로 = Which sea route did Choe Chi-won use to re-enter the Tang Dynasty as an envoy? 최희준 p. 277-304

조선시대 표류 지식인층에 대한 표착 국가의 송환 우대 양상 = A study on special treatment of local countries for repatriation of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ase of drifting from Jeju to other countries : 제주도에서 이국(異國)으로 표류해 간 사례를 중심으로 김나영 p. 305-337

『승정원일기』와 『일성록』의 조선후기 측우기록 분석 및 <한양우량표>(1770-1907)와 <서울 250년간 우량표> 개발 연구 = A study of Chukwookee rainfall historical meteorology through consolidated records of Diary of the Sungjungwon & the Ilsung-rok and newly developed Hanyang Rainfall Chart (1770-1907) & Modern Seoul Rainfall Chart 김일권 p. 339-436

조선 후기 제주도 풍운뇌우단의 폐치와 복설 = The removal and restoration of Pung-unnoeudan(風雲雷雨壇) on Jeju Island in the late Joseon period 송문기 p. 437-473

일제강점기 일본어 신문을 통해 본 제주해녀들의 활동과 삶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tivities and life of Jeju Haenyeo(Women Divers) in the Japanese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강경희 p. 475-517

제주 4⋅3 홀어멍 마을의 여성 생애사 연구 = A study of women's oral life history on Jeju Uprising of April 3 at the Holeomeong village : focusing on the cases of women with husbands : 서방 이신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염현주 p. 519-547

유치환 시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구현 양상 = Aspects of the realization of heterotopia in the poetry of Yu Chi-hwan : focusing on the 『Saengmyeonguiseo』 : 『生命의 書』를 중심으로 이지원 p. 549-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