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 〈내가 사는 피부〉에 묘사된 ‘시각적 재현’과 ‘촉각적 수행’의 미술창작 방법론을 적용한 자화상 창작 수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현대미술에 있어서 다양한 창작 방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접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영화 내에서 로버트가 베라의 피부를 인공적으로 재창조하는 과정은 시각적 재현의 한 예로 해석할 수 있으며, 베라의 요가 수행, 벽 드로잉, 천을 잘라 인형을 만드는 행위는 촉각적 수행의 방법론을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두 방법론의 차이와 특성을 규명하고, 미술 실천에서의 관련 사례를 검토한다. 신디 셔먼과 헨리 테너의 작품을 통해 시각적 재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에바 헤세, 제닌 안토닌, 로만 오팔카의 작품을 통해 촉각적 수행의 특성을 탐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두 가지 방법론을 활용한 자화상 창작 수업을 구상하고, 용인대학교 회화학과에서 실시한 교육 사례를 통해 미술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시각적 재현과 촉각적 수행의 방법론을 통한 자화상 창작 수업 제안 = Portrait creation class proposition through art methodologies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tactile performance : focused on the film <The Skin I Live In> : 영화 <내가 사는 피부>를 중심으로 이보람, 송수영 p. 103-129

디지털기술 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학 교과목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social welfare subjects to strengthen digital technology convergence competency 김현진 p. 31-60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local university students on life satisfaction :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intention to settle in the region : 진로 장벽과 지역내 정착 의도의 이중매개효과 노윤진, 박희현 p. 159-197

Nussbaum 사상에 기반한 대학교양 세계시민교육 모형개발 = University liberal art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model development based on Nussbaum thought 김미호, 박수홍 p. 1-29

지역-대학 협력기반 공유대학 운영실태 및 과제 분석 = Challenges in region-university collaborative innovation model : a case study of region A's shared university platform in Korea : A지역 공유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여수빈, 김아람 p. 61-101

대학생의 학습성과 잠재프로파일분석 =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outcomes : focusing on learning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class : 수업 내‧외 학습경험의 차이 김민희, 김희정, 신이나, 서화정, 이수연, 최진호, 송영명 p. 131-158